Skip to content
Home » 중형 세단 판매 순위 |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차 1~10위 | 현대 기아차 순위? 295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중형 세단 판매 순위 |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차 1~10위 | 현대 기아차 순위? 295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중형 세단 판매 순위 –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차 1~10위 | 현대 기아차 순위?“?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hu.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hu.taphoamini.com/photos.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더드라이브 TheDriveKorea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5,630회 및 좋아요 41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2019년 주요 중형 세단 판매량은 ▲현대차 쏘나타 9만9503대 ▲기아 K5 3만8152대 ▲한국지엠 말리부 1만2581대 ▲르노삼성 SM6 1만6610대 등이며 합계는 16만6846대다.

중형 세단 판매 순위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차 1~10위 | 현대 기아차 순위? – 중형 세단 판매 순위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지난해 반도체 수급난이 전 세계를 덮치며
자동차 생산까지 심각한 공급난으로 이어졌죠.
차량을 구매해도 언제 출고될지 모르는 상황이 생길 정도였습니다.
그런 가운데에도 차량 판매는 크게 늘었습니다.
그렇다면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모델은 무엇일까요?
현대, 기아차의 미국 판매 성과는 어땠을까요?
영상으로 확인하시죠.
#미국차량순위 #미국자동차순위 #미국자동차판매량
구독하기 https://url.kr/6lxevj
제보 및 문의 [email protected]
더드라이브 www.thedrive.co.kr

중형 세단 판매 순위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2021년 12월, 국산차 판매량 순위 TOP 10 – 브런치

기아 중형세단 K5는 한 달 동안 4,592대가 판매되어 9위에 올랐다. 11월과 비교하면 판매량은 2.4% 소폭 증가했고, 순위는 유지했다.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brunch.co.kr

Date Published: 4/1/2021

View: 4574

국내 자동차 판매 순위, 판매량 – 2022.08 업데이트 – This is IT

국내 자동차 판매 순위, 판매량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자동차가 잘 팔리는지 대게 잘 팔리는 자동차가 일명 가성비가 좋을 것은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nhj12311.tistory.com

Date Published: 11/29/2022

View: 6208

Top 8 중형 세단 판매 순위 27244 Votes This Answer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2021년 12월, 국산차 판매량 순위 TOP 10 기아 중형세단 K5는 한 달 동안 4,592대가 판매되어 9위에 올랐다.

+ 여기를 클릭

Source: chewathai27.com

Date Published: 4/11/2021

View: 258

대한민국 부촌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는? – 매일경제

수입차 브랜드별 판매순위에서도 테슬라(1만1629대)는 벤츠(4만2248대), … 국산차 톱5 중 제네시스의 준대형 세단 ‘G80’과 중형 SUV ‘GV70’이 각각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mk.co.kr

Date Published: 8/26/2021

View: 4483

2022년 2월, 국산차 판매량 순위 TOP 10 – 오토버프

현대자동차 중형 세단 쏘나타는 4,176대가 판매되어 6위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 1월 아산공장 라인 개편으로 인해 판매량이 2,036대로 줄어들었지만,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autobuff.co.kr

Date Published: 5/20/2022

View: 4195

중형 세단 판매 순위 |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차 1~10위

중형 세단 판매 순위. 2021년 7월 국산차 판매량 순위를 정리했다. 7월은 국내 제조사 모두 반도체 쏘렌토는 중형 SUV 판매 1위를 …

+ 여기에 표시

Source: aodaithanhmai.com.vn

Date Published: 11/7/2021

View: 8081

2021년 3월, 국산차 판매량 순위 TOP 10 – 오토트리뷴

현대 중형 세단인 쏘나타는 6,233대가 판매되어 8위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 2월 4,186대가 판매됐던 것에 비해 판매량은 48.9% 성장했고, 순위는 1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autotribune.co.kr

Date Published: 4/27/2021

View: 8034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중형 세단 판매 순위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차 1~10위 | 현대 기아차 순위?.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차 1~10위 | 현대 기아차 순위?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차 1~10위 | 현대 기아차 순위?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중형 세단 판매 순위

  • Author: 더드라이브 TheDriveKorea
  • Views: 조회수 5,630회
  • Likes: 좋아요 41개
  • Date Published: 2022. 2. 1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biBGHuzUYmw

성공의 상징 ‘중형 세단’… 이젠 찬밥 신세

▶기사 게재 순서

(1) 성공의 상징 ‘중형 세단’… 이젠 찬밥 신세

(2) ‘세단 사랑’ 끝났다… 세대 초월한 ‘SUV 선호’ 뚜렷

(3) 람보르기니 잡는 G70… ‘공포의 대상’ 됐다

AD

━ 차종 다양화… 지속되는 하락세 ━

성공의 상징이자 패밀리카로 사랑받던 중형 세단이 고전하는 현실은 수치로도 드러난다.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세단 판매(국토교통부 등록 기준) 1위는 14만6923대가 팔린 현대차의 그랜저, 2위는 8만7357대가 나간 현대차 아반떼, 3위는 8만5589대가 팔린 기아의 K5다.

쏘나타는 SUV 쏘렌토에 밀린 5위에 올랐으며 판매량은 6만8509대로 전년(9만9503대)보다 31.1%(3만994대↓)나 감소했다. 쏘나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자동차용 반도체 수급이 불안한 상황에서 자동차 생산이 전체적으로 줄어든 것을 감안해도 최근 몇 년 동안 지속적으로 판매량이 줄며 이미 예년의 영광이 지워진지 오래다.

실제로 최근 3년(2019년~2021년 1~9월) 동안 국내 주요 중형 세단 판매량을 살펴보면 쏘나타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중형 세단의 부진은 두드러진다.

2019년 주요 중형 세단 판매량은 ▲현대차 쏘나타 9만9503대 ▲기아 K5 3만8152대 ▲한국지엠 말리부 1만2581대 ▲르노삼성 SM6 1만6610대 등이며 합계는 16만6846대다.

AD

올해(1~9월)도 상황은 비슷하다. 올해는 ▲쏘나타 4만5433대 ▲K5 5만100대 ▲말리부 2387대 ▲SM6 1992대로 총 9만9912대가 팔려 전체적으로 판매량이 부진하다.

이 같은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차급별 다양한 모델이 소비자를 공략하는 가운데 친환경차까지 등장해 소비자 선택의 폭이 갈수록 더 넓어진 탓이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 관계자는 “상반기 승용차 판매는 대형 SUV에 집중된 영향으로 SUV 판매가 세단을 넘어섰다”고 분석했다. 이어 “세단형은 중형, 대형급 모두 10%대가 줄며 전체적으로 11.1% 줄었다”며 “국산 베스트셀링 모델의 신차효과 약화, 동급 SUV와의 경쟁 심화 등으로 이 같은 흐름은 앞으로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성공의 상징이자 패밀리카로 사랑받던 중형 세단이 고전하는 현실은 수치로도 드러난다.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세단 판매(국토교통부 등록 기준) 1위는 14만6923대가 팔린 현대차의 그랜저, 2위는 8만7357대가 나간 현대차 아반떼, 3위는 8만5589대가 팔린 기아의 K5다.쏘나타는 SUV 쏘렌토에 밀린 5위에 올랐으며 판매량은 6만8509대로 전년(9만9503대)보다 31.1%(3만994대↓)나 감소했다. 쏘나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자동차용 반도체 수급이 불안한 상황에서 자동차 생산이 전체적으로 줄어든 것을 감안해도 최근 몇 년 동안 지속적으로 판매량이 줄며 이미 예년의 영광이 지워진지 오래다.실제로 최근 3년(2019년~2021년 1~9월) 동안 국내 주요 중형 세단 판매량을 살펴보면 쏘나타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중형 세단의 부진은 두드러진다.2019년 주요 중형 세단 판매량은 ▲현대차 쏘나타 9만9503대 ▲기아 K5 3만8152대 ▲한국지엠 말리부 1만2581대 ▲르노삼성 SM6 1만6610대 등이며 합계는 16만6846대다.지난해의 경우 ▲쏘나타 6만8509대 ▲K5 8만5589대 ▲말리부 6678대 ▲SM6 8921대가 팔려 총 16만9697대가 판매됐다. 전체적으로 판매가 부진한 가운데 신형이 출시된 K5의 선전으로 전체 판매량이 전년보다 다소 뛰었다.올해(1~9월)도 상황은 비슷하다. 올해는 ▲쏘나타 4만5433대 ▲K5 5만100대 ▲말리부 2387대 ▲SM6 1992대로 총 9만9912대가 팔려 전체적으로 판매량이 부진하다.이 같은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차급별 다양한 모델이 소비자를 공략하는 가운데 친환경차까지 등장해 소비자 선택의 폭이 갈수록 더 넓어진 탓이다.한국자동차산업협회 관계자는 “상반기 승용차 판매는 대형 SUV에 집중된 영향으로 SUV 판매가 세단을 넘어섰다”고 분석했다. 이어 “세단형은 중형, 대형급 모두 10%대가 줄며 전체적으로 11.1% 줄었다”며 “국산 베스트셀링 모델의 신차효과 약화, 동급 SUV와의 경쟁 심화 등으로 이 같은 흐름은 앞으로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후 전혀 다른 느낌의 LF쏘타나가 나왔지만 반대로 너무 점잖다는 평을 받았고 당시 쏘나타 신형을 출시하기까지도 시간이 부족한 상황이어서 형님인 그랜저의 영역을 넓히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2018년 기준 쏘나타 판매량 절반은 택시였다.당시 현대차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극복하면서 고급 브랜드로 변신을 꾀하겠다는 복안을 내놨다. 이때 출시된 그랜저(IG)는 월 판매 1만대를 넘기며 단숨에 베스트셀링카로 올라섰다.쏘나타는 30년 동안 국내·외 시장에서 연간 최소 10만대씩 팔린 베스트셀링카지만 갈수록 그랜저·싼타페·아반떼는 물론 기아의 카니발·쏘렌토 보다도 적게 팔리며 체면을 구겼다. 현대차는 장기적으로 대표 모델인 쏘나타의 상징성을 유지하면서 장수 모델의 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해 과감히 택시를 포기한 것으로 풀이된다.자동차업계 관계자는 “결과적으로는 쏘나타 대신 그랜저가 많이 팔려 회사 입장에선 오히려 이득이 된 셈”이라며 “하지만 회사의 얼굴과도 같은 차종의 판매가 곤두박질 친 상황은 어떻게든 회복하려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자동차 판매실적 : 다나와 자동차

모델별 판매실적 모델 판매량 점유율 전월대비 전년대비 1 그랜저 6,777 그래프로 보기 36.7% 7,919 1,142▼ 5,247 1,530▲ 2 K8 4,807 그래프로 보기 26.0% 4,012 795▲ 6,009 1,202▼ 3 G80 2,966 그래프로 보기 16.0% 3,630 664▼ 5,028 2,062▼ 4 등급별 보기 E-Class 1,674 그래프로 보기 9.1% 1,657 17▲ 2,566 892▼ E220d 4MATIC 298 E250 516 E300d 4MATIC Coupe 74 E300e 4MATIC 48 E350 4MATIC 638 E450 4MATIC 44 E450 4MATIC Cabriolet 37 E450 4MATIC Coupe 1 AMG E53 4MATIC+ 10 AMG E53 4MATIC+ Coupe 8 총합계 : 1,674 휘발유 1,254 경유 372 하이브리드 48 5 등급별 보기 A6 638 그래프로 보기 3.5% 794 156▼ 1,281 643▼ 40 TDI 76 40 TDI quattro 66 45 TDI quattro 1 45 TFSI 192 45 TFSI quattro 301 S6 TDI 2 총합계 : 638 휘발유 493 경유 145 6 등급별 보기 5 Series 387 그래프로 보기 2.1% 876 489▼ 1,601 1,214▼ 520i 205 523d 18 523d xDrive 10 530i 97 530i xDrive 12 530e 45 총합계 : 387 휘발유 314 경유 28 하이브리드 45 7 등급별 보기 CLS-Class 344 그래프로 보기 1.9% 345 1▼ 0 344▲ CLS300d 4MATIC 152 CLS450 4MATIC 167 Mercedes-AMG CLS53 4MATIC+ 25 총합계 : 344 휘발유 192 경유 152 8 등급별 보기 S90 319 그래프로 보기 1.7% 187 132▲ 292 27▲ B5 104 B6 AWD 103 T8 AWD 112 총합계 : 319 휘발유 207 하이브리드 112 9 등급별 보기 ES 257 그래프로 보기 1.4% 327 70▼ 0 257▲ ES300h 257 총합계 : 257 하이브리드 257 10 등급별 보기 6 Series 152 그래프로 보기 0.8% 195 43▼ 514 362▼ 620d Gran Turismo 61 620d xDrive Gran Turismo 26 630i xDrive Gran Turismo 51 640i xDrive Gran Turismo 14 총합계 : 152 휘발유 65 경유 87 11 등급별 보기 A7 103 그래프로 보기 0.6% 122 19▼ 164 61▼ 45 TDI quattro 21 50 TDI quattro 11 55 TFSI quattro 69 RS7 1 S7 TDI 1 총합계 : 103 휘발유 70 경유 33 12 등급별 보기 Avalon 34 그래프로 보기 0.2% 16 18▲ 21 13▲ 2.5 Hybrid 34 총합계 : 34 하이브리드 34 13 등급별 보기 V90 Cross Country 14 그래프로 보기 0.1% 1 13▲ 37 23▼ B5 AWD 3 B6 AWD 11 총합계 : 14 휘발유 14 14 등급별 보기 Ghibli 13 그래프로 보기 0.1% 27 14▼ 18 5▼ Ghibli 6 Ghibli Hybrid 7 총합계 : 13 휘발유 13 15 등급별 보기 CT5 5 그래프로 보기 0.0% 4 1▲ 10 5▼ CT5 4 CT5-V Blackwing 1 총합계 : 5 휘발유 5 16 등급별 보기 XF 1 그래프로 보기 0.0% 2 1▼ 0 1▲ P250 1 총합계 : 1 휘발유 1

총합계 18,491 휘발유 17,178

경유 817

LPG 0

하이브리드 496

전기 0

다나와자동차의 판매실적은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와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의 공식 자료를 이용합니다.

전월 판매실적은 국산차는 1일(상세 트림별 수치는 매월 25일 추가 반영), 수입차는 15일경 업데이트됩니다.

협회 자료와 다나와자동차의 모델 구분 기준이 달라 일부 수치가 다를 수 있습니다. (버스/상용차, 연료 구분 등)

2021년 12월, 국산차 판매량 순위 TOP 10

2022년 1월이 시작되며, 지난 2021년 12월 국산차 판매량이 집계됐다. 12월 한 달간 국산 5개 제조사의 판매량(버스, 대형트럭 제외)는 126,815대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약 2.7% 감소했다. 하지만 지난 11월 120,595대가 판매됐던 것에 비해 약 5.2% 판매량이 증가했다. 또한 제네시스를 포함한 현대차, 기아의 점유율은 87.8%에 달했다. 또한 12월은 대부분의 모델이 생산 차질을 겪고 있는 만큼 판매 순위는 출고가 원활한 모델 순서대로 이뤄졌다.

10위. 기아 셀토스 (4,191대)

2021년 마지막 12월 국산차 판매 순위 10위는 기아 소형 SUV, 셀토스가 차지했다. 한 달 동안 4,191대가 판매됐는데, 경쟁 모델이 많은 소형 SUV 세그먼트에서 오랜만에 10위 권에 올랐다. 11월과 비교하면 판매량은 39.1% 증가했고, 순위는 11위 상승했다. 2021년 누적 판매량은 40,090대로 15위를 기록했다.

9위. 기아 K5 (4,592대)

기아 중형세단 K5는 한 달 동안 4,592대가 판매되어 9위에 올랐다. 11월과 비교하면 판매량은 2.4% 소폭 증가했고, 순위는 유지했다. 세부모델 판매량을 살펴보면 하이브리드 모델이 867대가 판매되어 18%의 비중을 차지했다. 2021년 누적 판매량은 59,499대로 8위를 기록했다.

8위. 기아 쏘렌토 (5,561대)

기아 중형 SUV 쏘렌토는 5,561대가 판매되어 8위에 이름을 올렸다. 11월 대비 판매량은 13.4% 늘었지만, 순위는 1순위 하락했다. 쏘렌토는 현재 출고 대기가 가장 긴 모델 중 하나로 하이브리드 모델의 경우 1년 이상 대기기간이 있을 만큼 인기가 높다. 세부 판매량을 살펴보면 12월 전체 판매량 5,561대 중 하이브리드 모델 판매량은 2,667대로 약 48%의 비중을 차지했다. 2021년 누적 판매량은 69,934대로 5위를 기록했다.

7위. 기아 카니발 (5,619대)

5,619대가 판매된 기아 카니발은 11월 대비 판매량이 무려 65%나 증가해 7위를 기록했다. 순위 역시 지난 11월과 비교하면 8순위나 상승했다. 경쟁 모델인 현대 스타리아 라운지가 출시했지만, 꾸준한 인기를 이어가고 있으며, 2021년 누적 판매량은 73,503대로 3위에 올랐다.

6위. 현대 쏘나타 (6,036대)

현대 중형 세단 쏘나타는 12월 6,036대가 판매되어 6위에 이름을 올렸다. 11월 5,179대가 판매됐던 것과 비교하면 16.5% 증가했고, 순위는 유지했다. 세부모델 판매량은 하이브리드 모델이 907대가 판매됐고, 구모델(LF 택시)가 1,998대가 판매됐다. 2021년 누적 판매량은 63,109대로 6위를 기록했다.

5위. 제네시스 G80 (6,194대)

제네시스 G80은 12월 한 달 동안 6,194대가 판매됐다. 11월과 비교하면 판매량은 무려 57% 증가했고, 순위는 7순위 상승했다. 전체 판매량 중 순수 전기차 모델인 G80 전동화 모델은 230대가 판매됐다. 2021년 누적 판매량은 59,463대로 9위를 기록해 우수한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

4위. 현대 아반떼 (6,955대)

12월 한 달 동안 6,995대를 판매한 현대 아반떼는 4위에 올랐다. 11월과 비교하면 판매량은 27.8% 증가, 순위는 1순위 상승했다. 세부모델 판매량은 하이브리드 모델이 798대가 판매됐고, 고성능 N 모델은 188대가 판매됐다. 2021년 누적 판매량은 71,036대로 4위를 기록했다.

3위. 기아 스포티지 (7,442대)

지난 11월 국산차 판매량 1위를 기록했던 기아 스포티지는 7,442대가 판매되어 3위로 2순위 하락했다. 하지만 판매량은 11월 7,540대가 판매됐던 것 대비 1.3% 소폭 감소한 수준이다. 하이브리드 모델은 전체 판매량 중 1,683대가 판매되어 22.6%의 비중을 차지했다. 7월 신형 모델을 출시한 스포티지는 2021년 구모델 포함 39,762대가 판매되어 16위에 올랐다.

2위. 현대 포터 2 (7,633대)

현대 소형 트럭인 포터 2는 7,633대가 판매되어 2위에 이름을 올렸다. 11월 대비 판매량은 4.7% 소폭 증가했고, 순위는 유지했다. 친환경 순수 전기차 모델인 포터 2 일렉트릭은 1,144대가 판매되어 전체 판매량 중 약 15%를 차지했다. 2021년 누적 판매량은 92,218대로 국산차 1년 판매량 1위를 기록했다.

1위. 현대 그랜저 (7,740대)

2021년의 마지막 12월 국산차 판매량 1위는 현대 그랜저다. 총 7,740대가 판매됐는데, 11월 대비 판매량은 11.9% 증가, 순위는 2순위 상승했다. 하이브리드 모델의 경우 2,202대가 판매되어 전체 판매량 중 약 28%의 비중을 차지했다. 2021년 누적 판매량은 89,084대로 10만대의 벽을 넘지 못했고, 국산차 1년 판매량 2위에 올랐다.

이외에 11위 현대 캐스퍼(4,127대), 12위 기아 봉고 3(4,108대), 13위 기아 K8(4,011대)가 뒤를 이었다.

오토버프([email protected])

국내 자동차 판매 순위, 판매량

국내 자동차 판매 순위, 판매량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자동차가 잘 팔리는지 대게 잘 팔리는 자동차가 일명 가성비가 좋을 것은 자명한 사실이니까요. 자동차를 구입하는데 좋은 참고 지표가 됩니다.

국내 자동차 판매 순위, 판매량

국내 자동차 판매 순위는 현대차와 기아차가 모델을 출시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앞서거나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동영상 시청이 가능하다면 시각적 그래프로 표현한 아래 영상을 보시면 어떤 제품들이 지난 기간 별로 국민차에 등극했는지 대우와 르노 삼성차는 몇년 정도를 기점으로 순위에서 자취를 감췄는지 등 참고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13년간 국내 자동차 판매순위, 판매량

13년간 국내 자동차 판매순위, 판매량 – 출처 : 데이터다람쥐

한국자동차산업협회 공식자료를 제공하는 다나와 사이트 자료를 정리하였습니다. 2022년 07월 업데이트 자료입니다.

NO 모델 판매량 점유율 전월대비 전년대비 1 포터2 8,986 7.4% 6,980(2,006▲) 8,804(182▲) 2 쏘렌토 6,940 5.7% 5,593(1,347▲) 6,339(601▲) 3 그랜저 6,777 5.5% 7,919(1,142▼) 5,247(1,530▲) 4 봉고 3 6,407 5.2% 4,480(1,927▲) 5,339(1,068▲) 5 카니발 4,901 4.0% 5,590(689▼) 5,632(731▼) 6 K8 4,807 3.9% 4,012(795▲) 6,009(1,202▼) 7 아반떼 4,489 3.7% 3,143(1,346▲) 5,357(868▼) 8 캐스퍼 4,478 3.7% 4,401(77▲) 0(4,478▲) 9 레이 4,125 3.4% 3,812(313▲) 3,325(800▲) 10 셀토스 4,120 3.4% 3,261(859▲) 3,152(968▲) 11 스포티지 3,406 2.8% 4,513(1,107▼) 2,427(979▲) 12 모닝 3,278 2.7% 2,414(864▲) 2,767(511▲) 13 더 뉴 팰리세이드 3,113 2.5% 5,760(2,647▼) 0(3,113▲) 14 아이오닉5 3,102 2.5% 1,507(1,595▲) 3,447(345▼) 15 EV6 3,049 2.5% 1,808(1,241▲) 0(3,049▲) 16 스타리아 2,998 2.5% 2,432(566▲) 4,018(1,020▼) 17 G80 2,966 2.4% 3,630(664▼) 5,028(2,062▼) 18 쏘나타 2,901 2.4% 3,890(989▼) 2,885(16▲) 19 K5 2,859 2.3% 2,352(507▲) 5,205(2,346▼) 20 토레스 2,752 2.3% 33(2,719▲) 0(2,752▲) 21 버스/트럭 (현대) 2,535 2.1% 1,747(788▲) 1,411(1,124▲) 22 QM6 2,517 2.1% 4,386(1,869▼) 3,189(672▼) 23 K3 2,468 2.0% 1,610(858▲) 3,147(679▼) 24 G90 2,274 1.9% 2,456(182▼) 0(2,274▲) 25 GV70 2,231 1.8% 2,219(12▲) 3,792(1,561▼) 26 니로 1,955 1.6% 2,882(927▼) 0(1,955▲) 27 GV80 1,931 1.6% 1,745(186▲) 2,159(228▼) 28 트레일블레이저 1,870 1.5% 1,987(117▼) 1,991(121▼) 29 투싼 1,548 1.3% 2,864(1,316▼) 3,972(2,424▼) 30 쏘나타 뉴 라이즈 1,511 1.2% 827(684▲) 827(684▲) 31 싼타페 1,361 1.1% 2,913(1,552▼) 4,452(3,091▼) 32 XM3 1,254 1.0% 2,596(1,342▼) 1,280(26▼) 33 렉스턴 스포츠 1,231 1.0% 1,088(143▲) 1,515(284▼) 34 모하비 1,125 0.9% 1,095(30▲) 971(154▲) 35 렉스턴 스포츠 칸 1,036 0.8% 1,047(11▼) 1,313(277▼) 36 스파크 1,005 0.8% 1,205(200▼) 1,571(566▼) 37 니로 플러스 923 0.8% 939(16▼) 0(923▲) 38 코나 630 0.5% 733(103▼) 696(66▼) 39 G70 574 0.5% 492(82▲) 616(42▼) 40 넥쏘 573 0.5% 907(334▼) 490(83▲) 41 K9 567 0.5% 79(488▲) 796(229▼) 42 베뉴 548 0.4% 896(348▼) 754(206▼) 43 GV60 536 0.4% 670(134▼) 0(536▲) 44 SM6 459 0.4% 389(70▲) 202(257▲) 45 트래버스 420 0.3% 229(191▲) 0(420▲) 46 티볼리 416 0.3% 1,254(838▼) 1,244(828▼) 47 렉스턴 324 0.3% 314(10▲) 357(33▼) 48 버스/특수 (기아) 313 0.3% 112(201▲) 47(266▲) 49 코란도 218 0.2% 588(370▼) 751(533▼) 50 콜로라도 212 0.2% 264(52▼) 548(336▼) 51 아반떼 N 208 0.2% 167(41▲) 29(179▲) 52 볼트 EUV 150 0.1% 1(149▲) 0(150▲) 53 더 넥스트 이쿼녹스 136 0.1% 299(163▼) 0(136▲) 54 말리부 133 0.1% 271(138▼) 277(144▼) 55 티볼리 에어 123 0.1% 261(138▼) 472(349▼) 56 트랙스 114 0.1% 112(2▲) 114(0▼) 57 스팅어 112 0.1% 184(72▼) 277(165▼) 58 타호 34 0.0% 63(29▼) 0(34▲) 59 볼트 EV 34 0.0% 0(34▲) 0(34▲) 60 마스터 27 0.0% 143(116▼) 57(30▼) 61 코나 N 18 0.0% 25(7▼) 3(15▲) 62 벨로스터 N 17 0.0% 29(12▼) 29(12▼) 63 카마로 9 0.0% 1(8▲) 7(2▲)

이렇게 보면 현대, 기아를 제외한 브랜드 점유율이 안쓰러울 정도군요. 정리하면서 다시 느꼈지만 국내 자동차 판매 순위, 판매량은 거의 완전 독점이나 마찬가지군요.

절대 아성 1위 – 준대형 자동차 그랜저

절대 1위 베스트셀러 그랜저

최근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그랜저의 아성을 보면 대단하다는 소리가 절로 나옵니다. 한 5년 전만 하더라도 그랜저가 준대형 위치에 있으면서 그렇게 접근성이 좋은 차라고 생각하지 못했는데 말이죠. 원래 국민차는 소나타였지만 소나타가 이상한 디자인(?)과 함께 포지션을 젊은 층을 겨냥한 20대에게 어필되면서 그랜저는 30대 이상으로부터 꾸준히 선택을 받는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더군다나 차량 가격 상승분보다 물가 상승과 많은 자산 가격 상승으로 인해 비교적 저렴해(?) 보이는 효과까지 더해져서 3~4천만원 대 그랜저는 더이상 중산층 이상만 타는 고급차량은 아니게 된것입니다.

더이상 예전의 CF감성에 맞는 차량은 아니죠. 유명한거 있죠?

“요즘 어떻게 지내냐는 친구의 말에 그랜저로 대답했습니다. ” 그때는 작은 성공의 아이콘이였던거죠.

대체재가 없는 카니발 – 아빠들의 로망

대체재가 없는 카니발 – 아빠들의 로망

넓은 공간,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아이들이 좋아하는 슬라이딩 도어. 차박도 가능한. 만능 자동차. 단점이라면 너무 크다는거? 디젤 기준 정숙하지 못한것도 휘발유 모델을 선택하게 되면 사라지고… 좀 피곤한듯한 승차감(?) 정도인

그렇지만 대체재를 찾을 수 없다는 그 카니발입니다. 혹시 더 탈지 몰라서 구입하게 된다는 그 차량(?) 일수도 있겠구요. 최근 직장 동료가 사서 너무나 잘 타고 있다는 그 차… 저도 관심이 많이 가는 차량입니다.

포터2

포터2

말이 필요없는 포터2입니다. 카니발은 사실 팰리세이드도 있고, 수입차량을 보게 되면 몇가지 선택지가 있기는 한데 포터에게도 그런게 있을까요? 없습니다;; 1톤 트럭이 필요하다면 사야되는… 그런거겠죠.

대세가 된지 오래 – SUV – 쏘렌토, 산타페, 팰리세이드

쏘렌토, 팰리세이드, 싼타페

SUV를 구입한다면 위 세가지 모델 중에 고민을 안해본 사람이 있을까 싶을정도로 국민 SUV 차량으로 등극한 세가지 모델입니다. 비교적 최근에 신형 모델을 출시한 쏘렌토가 가장 높은 판매량을 달리고 있는데요. 팰리세이드나 산타페나 새로운 신형 모델이 출시되면 신차 효과로 순위가 계속 엎치락 뒷치락 할 것 같습니다.

팰리세이드야 대형 SUV로 포지션을 굳건히 할 수 있고, 쏘렌토는 과거부터 남성들의 마음을 사로 잡는 디자인으로 호평을 받으면서 굳건히 하고 있지만 산타페는 내부에 적이 있는건지 좋은 모습(디자인)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오늘 국내 자동차 판매 순위, 판매량에 대해 정리하고 그 중 베스트셀링카 몇개만 추가로 정리했습니다. 현대 기아가 독과점인 시장에서 현실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차량은 극히 한정되어있습니다. 뭐 수입차를 선택하면 되는것 아니냐. 요즘 수입차도 가격 좋아졌다. 국산 차랑 얼마 차이 안난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편하게 동네에서 AS를 받고 가성비 좋은 차량을 선택할수 밖에 없는 것이 또 현실입니다. 거기다 현대 기아가 기가막히게 실내외 디자인을 뽑아내고 실내 공간을 뽑으며 국민들이 좋아할만한 옵션들을 가지고 대거 장착(옵션으로) 나오는걸 보면 장사를 정말 잘한다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저도 현대 기아 대리점에 자주 가서 신차를 타보곤 하는데요. 구경할때가 가장 좋습니다. ㅎㅎㅎ

대한민국 부촌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는?

제네시스 G80

기아 뉴카니발

현대차 그랜저

테슬라 모델3

더 뉴 메르세데스 마이바흐 S-클래스

BMW 5시리즈

포르쉐 타이칸

올 상반기 대한민국 부촌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차는 어떤 모델일까. 이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의뢰해 전국 부촌 5곳(서울 강남 3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부산 해운대구, 대구 수성구, 인천 연수구(송도))의 베스트셀링카를 집계했다. 올 1월부터 6월까지 판매량을 국산차와 수입차로 나눴고, 종합순위와 남성·여성·각 지역별 베스트셀링카 등으로 상세한 조건을 설정했다. 대한민국 부자들이 선호하는 국산차와 수입차 순위를 공개한다.올 상반기에 국내 자동차 시장에 등록된 신차(국산+수입)는 총 92만4493대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2.6% 줄어든 수치다. 연료별 비율은 휘발유 차량이 49.8%, 경유 26.2%, 하이브리드 12.3%, LPG 6.0%, 전기 4.3%, 기타연료가 1.4%를 차지했다. 친환경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에 비해 하이브리드와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미미한 수준. 하지만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하면 성장세가 확연하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올 상반기에 11만3451대가 판매되며 전년 동기(6만6253대) 대비 71.2%나 성장했다. 3만9302대가 판매된 전기차는 전년 동기(2만2080대) 대비 78%나 상승했다.올 상반기에는 SUV(34만4623대)의 판매량이 세단(31만3363대)을 앞질렀다. 국내 완성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팬데믹 상황에 비대면과 차박 등 새로운 트렌드와 차량 구매 패턴이 결을 같이 하고 있다”며 “차에 머무는 시간이 늘다보니 실내 공간이 여유로운 SUV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차급별 판매량에서도 경형(4만9672대), 소형(6만5954대), 준중형(18만6743대)에 비해 중형(24만2007대), 준대형(13만893대), 대형(11만8879대)을 선호하는 경향이 확연했다.국산차는 총 76만3972대가 새롭게 등록되며 전년 동기 대비 6.4% 감소했다. 반면 수입차는 16만521대가 등록되며 전년 동기 대비 20.5% 성장했다. 국산 베스트셀링카는 현대차의 ‘그랜저’, 수입차는 메르세데스-벤츠의 ‘E클래스’로 집계됐다.한 수입차 브랜드 딜러는 “흔히 해외여행 못가는 대신 수입차 구매하며 보복소비에 나섰다고들 하는데, 일부 맞는 부분도 있지만 다른 부분도 있다”며 “국산차의 성능과 품질이 좋아지며 가격도 그만큼 높아져 소비자의 수입차 구매 심리를 부추긴 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브랜드 면에서 국산차는 현대차와 기아 등 현대차그룹의 브랜드가 톱10을 휩쓸었다. 르노삼성, 쉐보레, 쌍용차 등 군소 3사는 단 한 가지 모델도 베스트셀링카 순위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수입차는 벤츠의 5개 모델이 톱10에 올랐다. 전기차 브랜드 테슬라의 ‘모델3’와 ‘모델Y’도 각각 3위와 5위에 오르며 국내 시장에서의 여전한 인기를 증명했다. 수입차 브랜드별 판매순위에서도 테슬라(1만1629대)는 벤츠(4만2248대), BMW(3만6263대)에 이어 3위에 이름을 올렸다. 벤츠, BMW, 아우디 등 독일 3사의 3강 체제가 깨진 셈이다.국산차 브랜드별 판매대수에선 기아(24만6341대)가 1위에 오르며 현대차(23만378대)를 눌렀다. 제네시스의 약진도 눈에 띈다. 상반기에만 7만3710대가 등록되며 쉐보레(3만1037대)와 르노삼성(2만9161대)의 판매량을 합친 것보다 더 많이 팔렸다.남성과 여성으로 나눠 집계한 선호도 결과 남성은 현대차 ‘그랜저’와 BMW ‘5시리즈’가, 여성은 현대차 ‘아반떼’와 벤츠 ‘E클래스’가 수위에 올랐다. 톱5 순위를 살펴보면 남성과 여성의 차량 선호도와 성향이 전혀 다르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남성이 준대형 이상 세단과 중·대형 SUV를 선호하는 반면, 여성은 ‘아반떼’ ‘모닝’ ‘미니’ ‘제타’ 등 준중형 혹은 소형으로 운전이 쉽고 연비와 차량유지비가 효율적인 모델을 선호했다. 특히 지난 10월 국내 시장에 출시된 폭스바겐의 ‘제타’는 론칭 이후 단시간에 국내 물량 2650대가 완판되며 화제를 모았다.당시 아반떼보다 싼 2000만원대 수입 세단으로 입소문이 나면서 5000여 건 이상의 계약이 몰리기도 했다. 2021년형 제타는 연식 변경을 통해 앞좌석 통풍 시트(전 트림), 뒷좌석 열선 시트, 파노라마 선루프(프레스티지) 등 제타 론칭 에디션에 탑재됐던 한국 고객 선호 사양이 그대로 채택되면서 실내 편의 사양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업그레이드됐다.여성의 경우 기아 ‘셀토스’를 제외하고 국산과 수입 모두 세단이 톱5에 올랐다. 반면 남성은 테슬라의 전기차 ‘모델3’와 ‘모델Y’가 순위에 오르며 브랜드에 대한 팬덤을 확인할 수 있었다.전국 각 지역별 부촌에서 판매된 국산·수입 베스트셀링카를 살펴보면 우선 서울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에선 제네시스와 테슬라의 약진이 눈에 띈다. 국산차 톱5 중 제네시스의 준대형 세단 ‘G80’과 중형 SUV ‘GV70’이 각각 3위와 4위에 오르며 ‘그랜저’ ‘카니발’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수입차 톱5에는 테슬라의 ‘모델Y’와 ‘모델3’가 2위와 3위에 오르며 BMW의 ‘5시리즈’를 앞질렀다. 벤츠의 플래그십 세단 ‘S클래스’는 7위에 오르며 톱5에 들지 못했다. 강남구의 한 수입차 관계자는 “대한민국 최고 부촌이지만 부를 과시하기보다 과하지 않지만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프리미엄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이라며 “국산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나 전기차 브랜드 테슬라가 눈에 많이 띄는 이유”라고 설명했다.국산차 중 ‘카니발’에 대한 선호도에 대해선 “법인 차량이나 세컨드 차량으로 이용하는 분들이 많다”며 “동급에서 경쟁차종이 거의 없는 것도 선호도가 높은 이유”라고 덧붙였다.올 상반기에 1만1629대가 팔린 테슬라의 전기차는 강남 3구와 분당, 해운대 등 세 곳의 부촌에서만 2204대가 판매됐다. 약 18%의 판매 비중이다.강남생활권이라 불리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국산·수입차 톱5는 강남 3구와 많이 닮았다. 1위는 현대차 ‘그랜저’와 벤츠 ‘E클래스’가 차지했다. 분당에서도 제네시스와 테슬라의 성장세가 확연하다. 테슬라의 경우 강남 3구와 판교, 분당 지역에 차량을 충전할 수 있는 슈퍼차저와 서비스센터가 몰려있어 판매량을 높였다. 그런가 하면 중형 이하 모델로는 유일하게 현대차의 ‘아반떼’가 순위에 오르기도 했다.자타공인 대구의 강남은 수성구다. 대구에서도 부동산 투자 알짜 지역으로 손꼽힌다. 좋은 학군을 바탕으로 평균 아파트 매매 가격이 가장 높았다. 경신고, 대륜고, 경북고 등 명문고가 자리했고 주변에 유명 입시학원도 많아 전통적인 부촌의 이미지가 강하다. 대구 수성구의 베스트셀링카 순위에서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벤츠와 BMW가 양분한 수입차 시장이다.1위부터 10위까지 순위 중 양사가 사이좋게 4개 모델씩 이름을 올렸다. 1위는 ‘E클래스’가 2위는 ‘5시리즈’가 차지했다. 10위까지 순위에서 벤츠와 BMW의 판매량을 더해보면 각각 819대, 682대나 된다.인천광역시 최고 아파트 시세를 기록 중인 연수구에는 인천의 대표 부촌 송도국제도시가 있다. 이곳 역시 ‘인천의 강남’이라 불린다. 주거환경이 양호한 송도신도시와 함께 버스·지하철·제2경인고속도로 등 교통연계가 잘 갖춰진 연수동과 선학동이 최근 주목받는 지역이다. 연수구에서 가장 많이 팔린 브랜드는 BMW다. 수입차 톱5를 모두 석권했다.국산차 1위에 오른 ‘그랜저’가 448대 판매된 반면 수입차 1위에 오른 ‘5시리즈’는 무려 1126대나 판매됐다. 국산차 1·2·3위의 판매량을 합해도 5시리즈가 더 팔렸다. 수입차 업계 한 관계자는 “인천 연수구에서 BMW의 인기가 높은건 영종도 자리한 BMW드라이빙센터의 영향이 크다”고 전했다.지난해 창립 25주년을 맞은 BMW그룹코리아는 지난 2014년 770억원을 투자해 인천 영종도에 BMW드라이빙센터를 개관했다. 세계 최초로 국내에 지어진 자동차 복합문화공간으로 현재까지 102만3000여 명이 방문했다.이곳엔 다목적, 다이내믹, 원선회, 가속 및 제동, 오프로드 등 총 6개의 코스로 구성된 트랙이 있다. 2.6㎞의 드라이빙 트랙은 직진 구간과 코너링 구간에서 긴급 조향이나 제동, 오프로드 주행기술까지 다양한 주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연습을 할 수 있다. 최근엔 드라이빙 프로그램이 대대적으로 개편되며 방문자 수준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부산의 최고가 아파트 엘시티가 버티고 선 해운대구는 바다를 내려다보는 천혜의 조망권으로 인기가 높은 곳이다. 학군도 부산지역 최고로 손꼽힌다. 해운대고와 부산국제외국어고, 센텀고가 모여 있어 전통적인 부촌으로 평가받고 있다. 올 상반기 이 지역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었던 차는 ‘카니발’과 ‘그랜저’ ‘펠리세이드’ 등 주로 대형 차량이 많았다. 수입차 부문에선 포르쉐 ‘카이엔’ ‘타이칸’, 벤츠 ‘S클래스’ 등 타 지역에선 순위에 오르지 않았던 프리미엄 모델이 많았다.특히 초고층 아파트가 몰려있는 해운대 마린시티는 전체가 ‘외제차 전시장’이라는 별명이 붙을 만큼 수입차를 흔하게 볼 수 있다. 해운대구에 자리한 한 수입차 딜러 관계자는 “수입차 시장의 양적 성장이 한계에 달했다는 시각도 있지만 팬데믹 이후 프리미엄 럭셔리 카를 원하는 소비자가 적지 않다”며 “바다를 바라보는 초고층 아파트가 즐비한 해운대구는 전국의 부유층들이 거주하며 소비하는 곳이자 수입차 브랜드 입장에서 가장 경쟁이 치열한 곳”이라고 설명했다.[안재형 기자 자료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31호 (2021년 8월) 기사입니다][ⓒ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2년 2월, 국산차 판매량 순위 TOP 10

2022년 3월이 시작되며, 지난 2월 한 달간 판매된 국산차 판매량이 집계됐다. 2월 국산 5개 제조사의 판매량(버스, 대형트럭 제외)은 101,275대로 작년 동월(101,356대)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지난 1월과 비교하면 약 10.3% 늘었다. 설 명절과 함께 영업일수가 적은 2월이지만, 1월 판매량이 매우 저조했고, 2월 전기차 판매량이 늘어난 것이 판매 증가의 요인으로 보인다. 또한 제네시스를 포함한 현대차와 기아의 점유율은 89.4%로 여전히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였다.

10위. 현대 아반떼 (3,697대)

현대 아반떼

2월 국산차 판매량 10위는 현대 준중형 세단 아반떼다. 아반떼는 2월 한 달 동안 3,697대가 판매됐는데, 지난 1월과 비교하면 판매량이 약 32% 감소했는데, 항상 판매량 상위권을 유지했던 것과 달리 7순위나 하락하며, 10위에 머물렀다. 전체 판매량 중 하이브리드 모델은 519대, 고성능 N 모델은 332대가 판매됐다.

9위. 기아 스포티지 (3,781대)

기아 스포티지

기아 스포티지는 3,781대가 판매되어 9위에 이름을 올렸다. 1월 4,455대가 판매됐던 것과 비교하면 판매량은 15.1%, 순위는 3순위 하락했다. 전체 판매량 중 하이브리드 모델은 1,183대가 판매되어 31.2%의 비중을 차지했다.

8위. 현대 팰리세이드 (3,900대)

현대 팰리세이드

8위는 현대차의 대형 SUV 팰리세이드다. 지난 한 달간 3,900대가 판매됐는데, 1월 대비 판매량은 9.3%, 순위는 1순위 하락했다. 팰리세이드는 매달 꾸준한 수요가 있는 모델로 10위권 안쪽을 지키고 있으며, 올해 부분변경 모델 출시 후 판매량 확대가 기대되는 모델이다.

7위. 현대 아이오닉 5 (3,995대)

현대 아이오닉 5

7위는 현대자동차의 전용 전기차인 아이오닉 5다. 2월 총 3,995대가 판매됐는데, 1월 376대가 판매됐던 것과 비교하면 무려 962.5% 증가했고, 순위는 27위나 상승했다. 아이오닉 5의 판매량 증가는 2월 일부 지자체에서 전기차 보조금 지급 사업이 시작되며, 그동안 쌓여 있던 물량이 일부 해소된 것으로 분석된다.

6위. 현대 쏘나타 (4,176대)

현대 쏘나타

현대자동차 중형 세단 쏘나타는 4,176대가 판매되어 6위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 1월 아산공장 라인 개편으로 인해 판매량이 2,036대로 줄어들었지만, 2월 정상화되며, 판매량이 105.1%나 늘어났다. 순위 역시 14위 상승했으며, 세부 모델 판매량을 살펴보면 하이브리드 모델이 491대, 구모델(LF택시)가 1,199대가 판매됐다.

5위. 현대 그랜저 (4,490대)

현대 그랜저

4,490대가 판매되어 5위에 이름을 올린 현대 그랜저 역시 아산공장 라인 개편과 함께 1월 대피 판매량이 148.6% 늘어났다. 순위는 17위 상승했으며, 하이브리드 모델이 1,335대가 판매되어 29.7%의 비중을 차지했다.

4위. 제네시스 G80 (4,655대)

제네시스 G80

4위는 4,655대가 판매된 제네시스 G80이다. 1월 5,501대가 판매되며 국산차 판매 1위를 기록하기도 했던 G80은 판매량이 15.4% 감소, 순위는 3순위 하락했다. 전체 판매량 중 순수 전기차 모델인 G80 전동화 모델은 112대가 판매됐다.

3위. 기아 쏘렌토 (4,776대)

기아 쏘렌토

기아 중형 SUV 쏘렌토는 4,776대가 판매되어 3위에 이름을 올렸다. 1월과 비교하면 판매량은 5.7% 감소했지만, 순위는 1순위 상승한 기록이다. 특히 쏘렌토는 전체 판매량 4,776대 중 하이브리드 모델이 3,531대가 판매되어 73.9%의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2위. 기아 봉고 3 (6,230대)

기아 봉고 3

2위는 기아 소형 트럭인 봉고 3다. 2월 6,230대가 판매됐는데, 1월 대비 판매량이 37.8%, 순위는 3순위 상승했다. 2월 봉고 3의 판매량이 급증한 데에는 순수 전기차 모델인 봉고 3 EV가 한몫했다. 봉고 3 EV의 2월 판매량은 2,888대로 전체 판매량의 46.3%를 차지했다.

1위. 현대 포터 2 (7,995대)

현대 포터 2

2022년 2월 국산차 판매량 1위는 현대차의 소형 트럭인 포터 2가 차지했다. 한 달간 7,995대가 판매됐는데, 1월 대비 46.9% 판매량이 늘어난 결과이며, 순위는 1순위 상승했다. 포터 2 역시 2월 순수 전동화 모델인 포터 2 일렉트릭이 판매량 확대에 많은 기여를 했다. 포터 2 일렉트릭의 판매량은 2,957대로 전체 판매량의 36.9%를 차지했다.

이외에 10위권 밖으로 11위. 기아 셀토스(3,538대), 12위. 현대 캐스퍼(3,304대), 13위. 기아 레이(3,218대)가 뒤를 이었다.

오토버프([email protected])

중형 세단 판매 순위 |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차 1~10위 | 현대 기아차 순위? 10143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We are using cookies to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You can find out more about which cookies we are using or switch them off in settings.

키워드에 대한 정보 중형 세단 판매 순위

다음은 Bing에서 중형 세단 판매 순위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차 1~10위 | 현대 기아차 순위?

  • 미국
  • 미국차량순위
  • 미국차순위
  • 미국현대
  • 미국기아
  • 텔루라이드
  • 팰리세이드
  • 투싼
  • 미국국산차순위
  • 미국픽업트럭
  • 미국일본차
  • 미국차량판매순위
  • 미국에서많이팔린차
  • 국산차순위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차 #1~10위 #| #현대 #기아차 #순위?


YouTube에서 중형 세단 판매 순위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차 1~10위 | 현대 기아차 순위? | 중형 세단 판매 순위,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