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Home » 일목 구름 보는 법 | 구름에 도전하지 말라! 일목균형표 보는 법(종목상담소/21.06.03) 최근 답변 95개

일목 구름 보는 법 | 구름에 도전하지 말라! 일목균형표 보는 법(종목상담소/21.06.03) 최근 답변 95개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일목 구름 보는 법 – 구름에 도전하지 말라! 일목균형표 보는 법(종목상담소/21.06.03)“?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hu.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hu.taphoamini.com/photos/.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키움증권 채널K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49,471회 및 좋아요 5,01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일목 구름 보는 법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구름에 도전하지 말라! 일목균형표 보는 법(종목상담소/21.06.03) – 일목 구름 보는 법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키움증권 #일목균형표 #정배열
일목균형표 – 구름에 도전 금지!
1. 구름은 앞구름과 캔들이 있는 구름으로 나뉜다
2. 앞구름: 정배열, 역배열
3. 주식은 현재 붉은 구름에서만 하락
4. 주식은 현재 검은 구름에서도 상승
*예외: 앞, 뒤 구름이 일치할 때 검은구름은 하락, 붉은구름은 상승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좋아요」와 「구독」 잊지 말고 눌러주세요

※금융투자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습니다.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당사는 금융투자상품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할 의무가 있으며 투자자는 투자에 앞서 설명을 충분히 들으시기바랍니다.
※영웅문4, 영웅문S 등 주식거래시 수수료는 0.015%이며 기타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내용은 조사분석자료에 기반했으며 당사의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와 정보로부터 얻은 것이나 그 정확성이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당사 콘텐츠는 개별종목에 대한 추천 아니며 투자판단의 최종 책임은 고객 본인에게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콘텐츠에서 제공되는 내용이 고객의 투자결과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당사 콘텐츠는 투자자의 투자를 돕기 위해 제작된 당사의 저작물이며 어떠한 경우에도 복사, 전송, 변형될 수 없습니다.
※키움증권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1-01854호(2021.06.03~2022.06.02)

일목 구름 보는 법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6. 일목균형표 보는법 – 코인픽

일목균형표 매매의 꽃이라 할 수 있는 구름대는 선행스팬1과 선행스팬2 사이를 구름대라 칭하며,이 구름대 꼬임이 발생하는 시점을 추세전환으로 보고 매수,매도 타이밍 …

+ 여기에 표시

Source: coinpick.com

Date Published: 9/16/2022

View: 3662

일목균형표 보는법 (개념부터 활용까지)

6. 구름층 (양운과 음운). – 선행스팬 1과 선행스팬 2 사이에 생기는 간격을 색칠해서 그린다. 선행스팬 1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zezemini.tistory.com

Date Published: 11/4/2022

View: 1022

일목균형표 보는법 구름대 차트가 가지는 의미와 해석

인기있는 보조지표 중 하나가 일목균형표 보는법 입니다. 다른 지표와는 독특하게 현주가를 26영업일 이전, 이후로 이동시켜 서로 대칭을 만듦으로써 …

+ 더 읽기

Source: brainsurvive.com

Date Published: 3/30/2021

View: 1812

일목균형표 해석 및 분석 매매법 (바이낸스 트레이딩뷰 업비트)

일목균형표를 알아보기 전에… 오늘은 일목균형표에대해 아라보자. 사실, 오늘 이 글은 쓰기전 매우 고민이 많았음.

+ 여기에 표시

Source: thunderbolttt.tistory.com

Date Published: 10/15/2021

View: 2638

일목균형표(일목구름) 이해하기 – 즐거운 투자공부

그러니 각종 지표를 활용해서 현재의 추세를 참고하고 적용시켜보기 바랍니다. – 상승추세일 때 기준선이 위로 꺾이는 구간은 매수 진입 타점. – 하락 …

+ 여기를 클릭

Source: xnwkrhdqn.tistory.com

Date Published: 12/11/2021

View: 1544

주식 차트 보는법, 일목균형표 선행스팬 후행스팬 기준선 구름대 …

일목균형표는 주가의 추세를 확인하기 위해 최고가와 최소가를 이용해 나타낸 지표입니다. 전환선, 기준선, 선행스팬, 후행스팬, 구름대로 구성되어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jongy0644.tistory.com

Date Published: 11/11/2022

View: 5950

Top 19 일목 구름 보는 법 24537 People Liked This Answer

코인 일목균형표 보는법 – 일목균형표 보는방법 – 코인픽 일목균형표 매매의 꽃이라 할 수 있는 구름대는 선행스팬1과 선행스팬2 사이를 구름대라 칭하며,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chewathai27.com

Date Published: 10/26/2021

View: 3938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일목 구름 보는 법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구름에 도전하지 말라! 일목균형표 보는 법(종목상담소/21.06.03).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구름에 도전하지 말라! 일목균형표 보는 법(종목상담소/21.06.03)
구름에 도전하지 말라! 일목균형표 보는 법(종목상담소/21.06.03)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일목 구름 보는 법

  • Author: 키움증권 채널K
  • Views: 조회수 249,471회
  • Likes: 좋아요 5,015개
  • Date Published: 2021. 6. 3.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VW93H-SjssE

6. 코인 일목균형표 보는법

6. 일목균형표 보는법

◆ 일목균형표란?

일목균형표란 1935년 일본의 일목산인이라는 투자자가 만든 기법으로 현 시세의 중심을 잡고 과거,미래의 균형을 파악하여 현재의 방향을 예측한다는 의미로 ‘균형’ 이란 단언가 들어가 있습니다.

실제 일목균형표 매매법을 보면 상승 -> 하락 혹은 하락 -> 상승 처럼 균형이 깨지는 구간을 파악하여 매수,매도하는 전략이 대부분입니다.

◆ 일목균형표의 요소

일목균형표는 총 5가지 요소로 이루어져있습니다.그럼 전환선 부터 차근차근 요소를 설명합니다.

(1) 전환선

단기 이동평균선과 유사한 개념으로 당일을 포함한 과거 9일간의 최고가와 최저가의 중간값을 선으로 이은 선으로 매수세와 매도세의 힘의 균형관계를 설명합니다.

전환치: 9일간(최고가+최저가) / 2

(2) 기준선

중기 이동평균선과 유사한 개념으로 당일 포함 과거 26일간의 최고가와 최저가값의 중간값을 선으로 이은 선입니다.

기준치: 26일간(최고가+최저가) / 2

(3) 후행스팬

현재의 주가를 26일 전 과거 위치에 기록한 선입니다.

(4) 선행스팬1

선행스팬이란 현재 주가의 일정구간을(26일 뒤) 미래에 기록하여 현재 움직임을 토대로 미래를 예측하기 위한 선입니다.

선행스팬1= 당일의(전환치+기준치) / 2, 26일 앞에 기록

(5) 선행스팬2

선행스팬2는 52일 뒤 기록한 선으로 52일간 최고값과 최저값의 평균을 26일 앞에 기록한 선입니다.

선행스팬2= 52일간(최고치+최저치) / 2,26일 앞에 기록

◆ 전환선과 기준선의 관계

전환선은 9일간 평균값으로 단기 이동평균선,기준선은 26일간 평균값으로 중기 이동평균선으로 해석 가능하며,이는 이평선 매매과 같은 원리로 설명이 가능합니다.

단기 이평선이 중기 이평선을 위로 돌파는 구간을 ‘골든크로스’ 구간이라 하면 상승신호로 받아들이며,반대로 중기 이평선이 단기 이평선으로 아래로 돌파는 구간을 ‘데스크로스’ 구간이라 하며,하락신호로 받아들입니다.

일목균형표에서는 이렇게 ‘골든크로스’를 ‘호전’ 명하며,’데스크로스’를 역전이라 표현합니다.

◆ 호전과 역전의 예시

호전 = 골든크로스(단기 이평선이 중기 이평선을 위로 돌파)

역전 = 데스크로스(중기 이평선이 단기 이평선을 아래로 돌파)

다시 설명하면 일목균형표에서 호전은 골든크로스로 해석 가능하며, 역전은 데스크로스로 해석 가능합니다.

◆ 후행스팬 역전과 호전

우행스팬은 위 이미지상 보라색 선으로 26일 전의 위치에 현재의 주가를 표기한 선으로 후행스팬이 주가를 밑에서 위로 상향 돌파하면 이를 상승추세로 보고 매수신호로 생각,반대로 후행스팬이 주가 주가를 아래로 뚫고 내려가면 하락추세로 보고 매도신호로 생각합니다.(원리는 골든크로스,데스크로스 개념과 유사)

◆ 일목균형표 구름대 매매법

드디어 구름대까지 왔습니다.

일목균형표 매매의 꽃이라 할 수 있는 구름대는 선행스팬1과 선행스팬2 사이를 구름대라 칭하며,이 구름대 꼬임이 발생하는 시점을 추세전환으로 보고 매수,매도 타이밍으로 잡습니다.

위 이미지 보시면 녹색구름대가 꼬이면서 붉은색 구름대로 넘어가는데 그 꼬이는 지점이 추세전환으로 이 경우는 상승추세로 생각하여 매수타이밍으로 해석가능합니다.

이때 구름대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신뢰도가 높습니다.이 구름대 차트에 필요한 보조지표는 ‘ichimoiku cloud’ 로 일목균형표 영어 표현입니다.차트표에서 위 영어 입력하시면 선행스팬1,2,가 그려지면서 구름대 지표를 활용 가능합니다.

cf.구름대 보조지표 차트 설정은 빗썸,업비트,비파에서 설정이 안되고 트레이딩뷰(TradingView)를 통해 가능합니다.

일목균형표 보는법 (개념부터 활용까지)

일목균형표 보는법

일목균형표란?

– 지금의 주가 추세가 어느 시점에서 변동될 것인가를, 확인하면서 향후 주가를 예측하는 분석기법이다. 다른 기법과 다른 점은, 미래 주가 예측에 시간 개념을 적용한다는 점이다. 즉, 여타 분석기법은 주가 또는 주가와 거래량으로 분석한다면, 일목균형표는 시간 개념을 적용해서 만든 것이 특징이다. (주가 추세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변한다)

– 일목균형표 이론을 만든, 이치모쿠 산진은 과거 수많은 시세 파동을 분석한 결과, 한 추세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새로운 추세 변화가 예상되는 시점까지, 기본적으로 일정한 수열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면, 일봉 차트에서 오늘 상승추세가 시작되었으면, 9일 혹은 17일 후에는 하락세로 바뀌든가, 아니면 급등세로 바뀌는 변화가 온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 주봉의 경우, 만약 첫번째 주에 주가가 하락했다면, 9주 혹은 17주 후에는 새로운 추세, 즉 상승으로 전환되던가 아니면 급락세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런 분석을 토대로, 이치모쿠는 주가 변곡점이 되는 수열로 ‘9(1절), 17(2절), 26(3절=1기), 33, 52, 76(3기=1 순), 129, 172, 226(3 순=1 환)…’을 제시하고 이를 기본수치라 한다.

– 기본 수치에서 시간단위 ‘절’은 일에 해당하고, ‘기’는 월에 해당, ‘순’은 분기, ‘환’은 년에 해당하는 기간단위라고 생각하면 된다. 기본수치 외에도, 주가가 상승하는데 걸린 시간과 하락하는데 걸린 시간이 같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대등수치라 했다. 예를 들어, 주가 상승이 2개월 지속됐다면, 하락하는 기간도 상승기간에 비례해서 2개월 소요된다는 것이다.

일목균형표의 작성 원리

– 5개의 선과 2종류의 구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5개의 선은, 전환선, 기준선, 후행스팬, 선행스팬 1, 선행스팬 2를 말하고, 구름층은 양운과 음운을 말한다.

1. 전환선

– 최근 9일간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중간값을 연결해서 만든 선.

전환선 = (9일 중 최고점 + 최저점) ÷ 2

– 9일간의 시세 균형을 나타내는 선이므로, 일봉 차트에서 10일 이동평균선과 비슷하다.

2. 기준선

– 최근 26일간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중간값을 연결해서 만든 선.

기준선 = (26일 중 최고점 + 최저점) ÷ 2

– 20일 이동평균선이 장 · 단기 추세선의 중심선이듯, 일목균형표에 있어서, 기준선은 시세의 방향을 알려주는 중심 추세선이다.

3. 후행스팬

– 현재의 주가를 26일 후행시켜 연결한 선. 현재의 종가를 기준으로 26일 후행해서 그린 것이다. 후행스팬으로 한 달 전의 주가와 현재의 주가를 비교해 볼 수 있다.

4. 선행스팬 1

– 전환선과 기준선의 중간값을 26일 앞으로 선행해서 그린 선.

선행스팬 1 = (기준치 + 전환치) ÷ 2

5. 선행스팬 2

– 52일간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중간값을 계산해서, 26일 선행하여 그린 선.

선행스팬 2 = (52일간 최고점 + 최저점) ÷ 2

– 선행스팬은 과거의 주가 움직임이 미래 주가 변화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만든 선으로, 두 개의 선으로 나눠진다. 선행스팬 1은 전환선과 기준선의 중간값으로, 기준선보다는 빠르게 움직이지만, 전환선보다는 느리게 움직인다. 그리고 26일 앞쪽에 그려지기 때문에, 추세에 대한 민감도는 다소 둔화된다.

– 선행스팬 2는 52일간 가격의 중간치로, 26일 선행해서 그려지므로, 선행스팬 1보다 시세 변화에 따른 민감도가 더 떨어진다.

6. 구름층 (양운과 음운)

– 선행스팬 1과 선행스팬 2 사이에 생기는 간격을 색칠해서 그린다. 선행스팬 1이 선행스팬 2 위에 있을 때는, ‘양운’이라 하고 붉은색으로 나타내며, 선행스팬 1이 선행스팬 2 아래에 있을 때는 ‘음운’이라 하고, 파란색으로 나타낸다.

– 선행스팬 원리에 입각해서 보면, 선행스팬 1이 선행스팬 2보다 주가에 민감하게 움직인다. 따라서 양운일 경우, 주가가 상승추세에 있고, 음운일 경우에는 하락 추세에 있다고 본다.

일목균형표의 원리 요약

1. 전환선: 9일간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중간값

2. 기준선: 26일간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중간값

3. 후행스팬: 현재가를 26일 후행

4. 선행스팬 1: 전환선과 기준선의 중간값으로 26일 선행

5. 선행스팬 2: 52일간 최고점과 최저점의 중간값

6. 구름층: 선행스팬 1과 선행스팬 2 사이의 구간

선행스팬 1 > 선행스팬 2 -> 양운

선행스팬 1 < 선행스팬 2 -> 음운

일목균형표 이용한 매매 4가지

1. 기준선을 이용

– 기준선은 주가 추세의 기준이 되는 선으로, 기준선이 상승추세이면 강세 국면이므로, 매도는 자제하고 매수 관점에서 주가를 봐야 한다. 기준선이 하락 추세이면, 약세 국면이므로 매수는 자제하고, 매도 관점에서 주가를 봐야 한다.

2. 전환선과 기준선을 이용

1) 전환선(9일)은 단기 이동평균선으로, 기준선(26일)은 중기 이동평균선으로 간주해서 활용한다. 위에서부터, 주가 -> 전환선 -> 기준선 순서로 배열되어 있으면 상승국면으로 나타내고, 반대로 기준선 -> 전환선 -> 주가 순서이면 하락국면을 나타낸다.

– 단, 기준선이 상승추세를 계속하는 때는 주가나 전환선이 일시 하락하더라도, 매도를 보류하고, 또 기준선이 하락 추세일 때는 주가나 전환선이 일시 상승하더라도, 매수는 유보하는 게 좋다. 일시적인 속임수 주가일 수 있기 때문이다.

(위에서부터) 후행스팬 -> 주가 -> 전환선 -> 기준선 -> 구름층(양운) 순이면, 정배열 상태로 주가는 강세 국면

(위에서부터) 구름층(음운) -> 기준선 -> 전환선 -> 주가 -> 후행스팬 순이면, 역배열 상태로 주가는 약세 국면

2) 주가가 전환선을 상향 돌파하거나, 전환선이 기준선을 상향 돌파하면 골든크로스로 매수시점이고, 주가가 전환선을 하향 돌파하거나, 전환선이 기준선을 하향 돌파하면, 데드크로스가 돼서 매도시점이다.

3. 후행스팬을 이용

– 기준선이 상승추세를 유지하고 있을 때, 후행스팬이 주가를 상향 돌파하면 매수 신호로 보고, 하향 돌파하면 매도 신호로 본다. 그러나 후행스팬이 상향 돌파하지 못하고, 재차 반락할 경우, 주가 하락세가 더욱 강력해질 경우가 있다.

4. 구름층을 이용

– 구름층은 선행스팬 1과 선행스팬 2의 구간으로, 중장기 대세의 흐름을 나타낸다.

1) 구름층을 구성하는 두 개의 선, 즉 선행스팬 1과 선행스팬 2는 향후 주가 방향을 예고한다.

2) 구름층의 색상은 주가가 강세 국면에 있는가, 아니면 약세 국면에 있는가를 나타낸다.

양운(붉은색) -> 강세국면

음운(파란색) -> 약세국면

3) 구름층이 주가 아래에 있으면, 지지선의 역할을 하고, 구름층이 주가 위에 있으면 저항선의 역할을 한다.

주가가 구름층을 뚫고 내려가면, 지지선이 무너진 것으로, 추가 하락을 예상하고, 주가가 구름층을 뚫고 올라가면 저항선이 깨어진 것으로, 추가 상승을 예상한다.

4) 구름층의 두께는 지지나 저항의 크기를 나타낸다.

5) 구름의 색깔이 바뀔 때는, 주가의 추세도 바뀐다고 본다.

음운에서 양운으로 바뀌면 -> 주가는 상승추세로 전환

양운에서 음운으로 바뀌면 -> 주가는 하락 추세로 전환

일목균형표는 MACD 지표와 같이 사용

– 일목균형표, MACD, 스토캐스틱과 함께 광의의 모멘텀 지표라고 할 수 있지만, 시간의 주기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다른 지표와 차이가 있다. 모두 빠르고 정확한 투자판단을 위해 매우 유용한 지표라는 건 분명하지만, 어느 지표라도 한 가지만으로는 부족하다. 따라서 스토캐스틱과, 일목균형표, MACD와 같이 사용하는 게 활용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 보조지표로 매수 · 매도에 대한 투자 결정을 했다고 하더라도, 주문을 낼 때는, 30분 봉, 15분 봉, 5분 봉을 활용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관련 글: 주식 보조지표(DMI/ADX, Chaikin’s Oscillator, 그물차트) 정리

관련 글: 주식 보조지표 (투자심리선, 이격률, 삼선전환도, P&F차트, 역시계곡선, CCI, RSI) 정리

관련 글: 추세 분석 이용한 5가지 매매 방법

일목균형표 보는법 구름대 차트가 가지는 의미와 해석

우리 사이트에서 많은 보조지표들을 다루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영역이 칠해진 차트인 일목균형표 보는법 을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보조지표를 처음 보았을 땐 굉장히 어려워보이는데요, 막상 원리를 공부해보면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지표 하나가 절대적인 판단 기준이 돼서는 결코 안되겠지만 매매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한 번쯤 참고해보실 필요는 있습니다.

경제박사의 관련 칼럼 보기

비상장주식 사는법 당신은 몰랐던 3가지 경로 및 투자 주의사항

투자성향에 따른 주식투자 전략 3가지로 알아보는 성공투자 노하우

골든크로스 및 데드크로스 뜻과 매매 전략, 덕성 차트 사례

일목균형표는 무엇인가?

과거부터 미래까지 흘러가는 주가는 균형적으로 변한다는 가정을 토대로 만들어진 기법입니다.

즉, 과거에 급등했던 이력이 있었다면 그만큼 급락하는 구간이 따라올 수 밖에 없음을 지표화한 것입니다. 과거의 주가가 미래의 주가와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음을 설명합니다.

어쩌면 이동평균선과 주가와의 괴리에 관한 내용과 유사할 수 있습니다. 괴리가 커지면 주가는 다시 이평선으로 회귀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무질서해 보이는 주가도 결국은 일정한 법칙에 의해 움직인다는 것을 증명하려고 했던 기법이기도 합니다.

그 패턴을 만드는 주기가 9영업일, 17영업일 후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오늘 상승추세가 시작되었다면 오늘 이후 9영업일 혹은 17영업일 후에 하락전환기가 온다는 것입니다. 상승과 하락이 일정 주기만큼 반복됨을 의미합니다.

차트 매매 노하우 무료로 간접 체험하기[클릭]

일목균형표는 구성이 많다. 어떤 것들이 있나요?

일목균형표 보는법 을 익히려면 우선 5개의 구성이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9영업일간의 최고, 최저점을 평균 낸 값을 이어놓은 것을 전환선이라고 하며, 26영업일간의 최고, 최저점의 평균을 낸 값을 이어놓은 선을 기준선이라고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후행스팬, 선행스팬, 구름대 차트가 나옵니다.

선행스팬

쉽게 말해서 현재 주가를 26영업일 후로 미루어놓은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두 가지가 있는데요, 하나는 전환선과 기준선의 중간값을 26영업일 이후 날짜로 기록한 것이고, 또 하나는 52영업일 최고, 최저점의 평균값을 26영업일 이후 날짜로 기록한 선입니다.

이를 각각 선행스팬1, 선행스팬2라고 합니다.

후행스팬

현 주가를 26영업일 이전 날짜로 기록한 선을 말합니다. 현 주가를 그대로 끌어다가 26영업일 이전으로 후퇴시켰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구름대 차트

두 개의 선행스팬 차트 간 간격을 표시한 것을 구름대 차트라고 합니다. 선행스팬1이 선행스팬2보다 높을수록 주가는 점점 과열층으로 진입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반대로 선행스팬1이 선행스팬2보다 낮으면 낮을수록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일목균형표 해석방법

위에서 공유한 내용을 종합해보면 주가가 상승하고 있을 수록 전환선(9영업일)과 기준선(26영업일)은 상승하고, 최근의 상승세가 두드러지는 경우 전환선이 기준선보다 더 가파른 상승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전환선이 기준선을 돌파하여 올라가는 경우 이평선의 골든크로스와 같이 상승 추세로 전환하고 있음을 알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는 하락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주가가 급등하는 과정에서도 당연히 선행스팬1이 선행스팬2를 앞서가게 됩니다. 26영업일의 평균이 52영업일의 평균을 앞서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선행스팬1이 2를 앞서가게 되는 경우 양운이라고 부르며 상승추세로의 전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대 역시 음운이라고 부르며 하락전환을 암시한다고 보는 것이 올바른 일목균형표 보는법 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구름대와 전환선/기준선 간의 보완해석

구름대 차트가 두터우면 두터울수록 그 추세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거래량의 매물대차트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데요, 구름대 차트가 주가의 밑에 위치하면 지지선으로 작용하고, 주가의 위에 있다면 저항선 역할을 합니다.

코엔텍 증권정보 보러가기

아래는 코엔텍의 주봉 차트입니다. 가장 이상적인 상승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주가가 구름대의 지지를 받아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물론 주가가 구름대를 돌파하고 상승하면 매수 시점으로, 돌파하여 하락하면 매도 시점으로 해석하셔도 됩니다.

일목균형표 해석 및 분석 매매법 (바이낸스 트레이딩뷰 업비트)

썬더볼트

일목균형표를 알아보기 전에…

오늘은 일목균형표에대해 아라보자

사실, 오늘 이 글은 쓰기전 매우 고민이 많았음

첫째로, 내가 알기론 실제 원본 서적의 반(시리즈물) 정도가 분실되어서 해당 파트 내용이 없음 (사기꾼들만 그 부분을 가지고있다고 함)

둘째로, 뒤에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값’이 아닌 ‘시간’으로 기준을 잡는 아주 철학적인 내용임

셋째로, 만들어진지 50년도 더 된 이론으로, 현 시대상을 반영하는지 의구심이 듦

하지만 그럼에도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이유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매력을 느끼는 가치있는 지표이며

말그대로 철학적이다보니 뭔가 공부하면 공부할수록 더 알아내고싶다는 보조지표 그 자체로 철학이 담긴 느낌?

내가 아는 부분만 확실하고 명료하게 Araboza

일목균형표 공식

우선, 일목균형표는 다른 보조지표와 다르게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태어난 보조지표가 아니라,

이 지표 하나로 모든 것들을 한눈에 알아보자! 라는 전체적인 의미를 가지고 태어난 지표이다보니 요소나 공식이 꽤나 복잡함

총 5가지로 구성되어있음

< 전환선 . 기준선 . 선행스팬1 . 선행스팬2 . 후행스팬 >

편의를 위하여 순서대로 빨 – 주 – 노 – 초 – 파 => 그대로 안보이는 것은 어쩔수없음…

전환선(빨간선) : (9일간의 최고가 + 최저가) / 2

기준선(주황선) : (26일간의 최고가 + 최저가) / 2

후행스팬(노란선) : 현재 기업의 주가 -> 26일 전으로, 즉 과거로 당겨놓은 것 => 최근 차트에서는 나타나지않음 (미래를 알 순 없으니)​

선행스팬1(초록선) : (전환선+기준선) / 2 -> 26일 뒤로, 즉 미래로 보내 놓은 값

선행스팬2(파랑선) : (52일간의 최고가 + 최저가) / 2 -> 26일 뒤로, 즉 미래로 보내놓은 값

일목 균형표가 다른 지표와 다른 결정적인 차이점

딱 공식을 보자마자 뭔 자꾸 주가를 미래로 과거로 보내? 생각이 들지않음?

이게바로 일목균형표의 핵심이자 철학임

‘값이 아닌, 시간을 이용한 보조지표’

그런데 아쉽게도 앞에 말했듯이 일목균형표 시리즈물을 다 모은 사람은 존재하지않고, 그러다보니 이 의미를 정확히 해석하기는 불가능함

심지어 9일? 26일? 저건 이유가 뭐고 무슨 의미인지도 모름

(종종 2주에서 주말을 빼고, 한달에서 주말을 뺸 값이다라는 말도 있는데 Real 짜맞추기 14일에서 주말뺴면 9일?)

하지만, 우리는 돈을 벌고자 온 사람이지 철학공부 하러 온 사람이 아님

이런 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이고, 어떻게 활용할지만 고민해보자면

1. 시간을 토대로 추세를 파악할 수 있다

2. 시간을 토대로 지지와 저항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추세를 알고 지지저항을 안다? = 이 자체로 완벽한 보조지표

일목균형표를 제대로 한번 사용해보자

1. 전환선이 기준선 위에 위치하면 매수! . 전환선이 기준선 밑에 위치하면 매도!

전환선(빨간선)이 기준선(주황선) 위에 위치

9일간의 최고+최저가의 평균가 -> 26일 최고+최저가의 평균가를 넘는 순간이니

사실, 이 내용은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돌파하는 골든크로스와 관계가 깊음

기준선(주황선)이 전환선(빨간선) 위에 위치

반대로 이 부분은 장기 이평선이 단기 이평선을 상향돌파하는 데드크로스와 관계가 깊음

즉, 단기이평과 장기이평 개념으로 추세를 보여준다는건데

한번 형성된 추세는 길게 이어질 확률이 높다는 점에서 형성되는 시점에 진입하는 전략이 첫번째 전략임

2. 양운구름층(적색구름)=지지, 음운구름층(녹색구름)= 저항

선행스팬 2가 선행스팬 1 위에 위치하면 양운구름층(적색구름)이 만들어지고

선행스팬 1이 선행스팬 2 위에 위치하면 음운구름층(녹색구름)이 만들어짐

적색구름은 지지! 지지는 가격을 방어해주며 떨어지는 가격을 단단하게 지지해준다.

간혹가다 적색구름이 캔들 위에서 펼쳐지는 경우도 있는데 오잉? 지지선이 캔들 위에 있다고?

강한 상승압력으로 지지선 위에까지 끌어단긴다! 오를 확률이 높다! 라고 판단하면 됨

음운구름층은 이 사진 하나로 설명이 됨

음운 구름층이 하단에 깔리면서 하락추세로 하방압력이 생겼고, 이후 저항역할을 하면서 상승추세를 막았음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양운 구름층이 깔려있는 곳은 상승추세인 동시에 + 저항선 역할

음운 구름층이 깔려있는 곳은 하락추세인 동시에 + 지지선 역할

시간에 대한 가장 심도있는 해석

해당 부분은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자료가 아닌, 해당 일목균형표를 크루원들과 함께 연구하고 활용하여 만든 일종의 실전전략 기법으로

클래스 진행 수강생들에게만 제공하는 자료임 ^^ 월천 클래스 지원하라구!

썬더와함께🔥 – 코인투자 클래스 및 프로젝트 무료 참여!

수강생 200명 중 180명이 월천 트레이더에 성공 – 월천 클래스

3개월간 1,000% 코인판이라 가능한 신의 수익률 – 썬더와 함께

인공지능 AI기반 퀀트 투자로 오른다싶은 코인만 – 급등 코인 발굴

뺼건 뺴고 넣을건 넣어주는 1대1 전문 코인 상담 – 썬더팀 컨설팅

” 네 맞습니다 저희는 가상화폐 투자전문 < Team 썬더 > 입니다 ”

링크 클릭 -> https://form.typeform.com/to/UcDpdmrI

일목균형표(일목구름) 이해하기

코인을 공부하다 보면 어느 정도 차트를 볼 수 있어야 매수 타점이나 매도 타점을 알 수 있게 된다는 걸 느끼실 겁니다. 저도 지금까지 이동평균선, 거래량, 매물대,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MACD 등등… 여러 가지 공부를 하면서 차트를 보는 이유를 느낄 수 있었고 각 차트가 지향하는 바가 비슷하다는 걸 느꼈습니다. 물론 이런 지표들을 활용해서 미래의 가격을 예측하거나 추세에 따라 대응하는 게 포인트지만 말하는 게 비슷하달까요? 일목균형표를 공부하면서 더욱더 그렇게 느꼈는데, 일목균형표는 어떤 지표인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목균형표? 일목구름?

일목균형표는 일목구름이라고도 불리는데, 실제로 업비트에서는 일목구름이라고 검색(PC 기준/모바일은 일목균형표)해야 합니다.

두 가지의 이름을 가진 것은 일목균형표의 특성 때문인데요. 일목균형표 안에 두 가지의 구름 형태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먼저 일목균형표의 구성을 알아보겠습니다.

일목균형표는 총 5개의 그래프가 있고 각각 전환선, 기준선, 후행스팬, 선행스팬1, 선행스팬2라고 불립니다. 그리고 그래프의 차이가 구름대를 만들어 내는데요. 각각 구름대는 붉은색은 양운, 푸른색은 음운이라고 합니다.

위 차트는 업비트의 비트코인 일봉 차트입니다.

(파란선은 전환선, 갈색은 기준선, 초록색은 후행스팬, 빨간색은 선행스팬1, 보라색은 선행스팬2입니다.)

▶ 전환선: 최근 9개의 캔들에서 최고점과 최저점의 중간값을 연결해서 만든 선

전환선은 9일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최고점 그리고 최저점의 평균값이기에 단기적인 이평선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 기준선 : 최근 26개의 캔들에서 최고점과 최저점의 중간값을 연결해서 만든 선

기준선은 말 그대로 기준이 되는 선입니다. 지금 그리고 있는 캔들부터 26일 전 캔들까지 최고로 높은 가격과 최고 낮은 가격의 중간값을 평균으로 냈으니 움직임이 적을 수 있습니다. 매수세와 매도세가 팽팽하면 움직임이 적겠죠? 그걸 차트로 보면 ‘횡보’하는 모습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횡보 중인데, 단기 이평선인 전환선이 기준선을 뚫고 올라간다면? ‘골든 크로스’가 발생하고 반대로 뚫고 내려간다면 ‘데드 크로스’가 발생하게 되는 거죠.

빨간색은 전환선이 기준선을 뚫었을 때, 검은색은 기준선이 전환선을 뚫었을 때입니다. 특히 골든 크로스와 데드크로스를 볼 때는 추세가 중요한데, 상승 추세일 때는 데드 크로스가 발생해도 다시 상승하지만 하락 추세일 때는 골든 크로스가 발생해도 잠깐 반등하다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러니 각종 지표를 활용해서 현재의 추세를 참고하고 적용시켜보기 바랍니다.

– 상승추세일 때 기준선이 위로 꺾이는 구간은 매수 진입 타점

– 하락 추세일 때 기준선이 아래로 꺾이는 구간은 매도 고려 시점

– 기준선은 지지하는 자리와 저항하는 자리로도 볼 수 있음(위 차트를 보면 상승 기류를 탔을 때, 기준선을 타고 오르는 것을 볼 수 있음) → 지지하기도 하고 저항하기도 하기에 그만큼 단단하다고 볼 수 있음. 그렇기에 단기적인 전환선이 기준선을 뚫는 것에 의미를 둘 수 있는 것

– 기준선과 캔들이 멀어지면 추세가 반전될 것을 기대할 수 있음(캔들과 기준선이 멀어지면 다시 붙으려는 특성이 있기 때문)

(단기 이평선이 중기 이평선 또는 장기 이평선보다 위에 있는 게 상승기류를 탔다는 것이 당연한 이유: 단기적으로 매수세가 더 높기에 단기 이평선이 중기 그리고 장기 이평선 보다 높아지는 것이며, 매수세가 높다는 것은 가격이 상승한다는 의미임. 그렇기에 단기 이평선이 중장기 이평선을 뚫는 것을 잘 봐야 함. 이 부분이 골든크로스라고 부르는 것. 반대로 데드크로스도 같은 의미로 해석하면 됨)

▶ 후행스팬 : 현재 가격을 26일 후행시켜 연결한 선

– 현재의 가격을 26일 전의 가격과 비교하는 것이 후행스팬입니다. 그런데 그게 왜? 싶은 사람들도 있을 텐데요. 굳이 과거 데이터를 가지고 현재에 비춰 볼 필요가 있냐는 거죠.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26일 전의 가격보다 지금 코인의 가격이 상승해 있다면? 여러 가지 해석을 덧붙일 수 있습니다.

오늘의 가격을 26일 전에 표시했을 때, 26일 가격보다 오늘의 가격이 더 높다면? 반대로 오늘의 가격이 26일 전의 가격보다 더 낮다면? 이처럼 후행스팬은 과거와 현재를 비교해 지금의 추세가 상승인지 하락인지 예측해 볼 수 있도록 해줍니다.

표기한 곳은 딱 26일이 차이 나는 지점입니다. 오른쪽 막대의 가격이 왼쪽 막대의 후행스팬의 위치와 같은데요. 후행스팬이 과거의 차트보다 위에서 움직이고 있기에 앞으로 가격은 점차 상승할 거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매수세가 과거보다 더 붙었기에 가격이 상승했기 때문이죠.

▶ 선행스팬1 : 전환선과 기준선의 중간값을 26개 캔들 앞으로 선행시켜서 그린 선

▶ 선행스팬2 : 최근 52개의 캔들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중간값을 연결해서 선행시켜서 그린 신

선행스팬1과 선행스팬2는 함께 보는 것이 좋습니다. 선행스팬1은 전환선과 기준선의 평균값이기에 중단기 추세를 보여주며 선행스팬2는 중장기 추세를 보여준다고 이해하시면 편합니다. 위에서도 말했듯 작은 추세가 큰 추세를 뚫어내고 위에서 움직이면 상승하는 추세, 반대면 하락하는 추세라고 할 수 있는데, 보다 단기인 선행스팬1이 선행스팬2를 뚫고 올라가면서 만들어진 양운은 상승하는 추세, 반대의 음운은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구름대가 중요한 이유는 구름대가 지지와 저항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기도 한데요. 구름이 차트 아래에 있으면 지지, 위에 있으면 저항이라고 볼 수 있죠. 단, 여기서 중요한 것은 구름의 크기입니다. 구름이 클수록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위 차트에서 보듯 구름대가 두꺼운 부분에 캔들이 부딪히면 튕겨져 올라가거나 반대로 두터운 구름대에 캔들이 부딪혀 뚫어내지 못하면 하락하는 모습을 보입니다(위 차트 2월 초쯤 차트가 구름에 튕겨 올라가면서 높은 상승을 보여주었죠).

그리고 구름대를 뚫고 캔들이 지나가는 모습도 볼 수 있는데, 보통 이럴 경우 횡보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왜냐? 매도세와 매수세가 비슷하기 때문이죠. 이 상황에서 캔들이 구름대를 뚫고 올라가느냐, 내려가느냐에 따라 추세가 정해질 수 있습니다.

– 선행스팬1과 2가 골든 또는 데드크로스 하는 시점을 찾음 -> 다른 지표를 같이 사용해 추세 확인 후 매매

– 구름대의 굵기 확인 : 구름대가 굵으면 지지와 저항으로 활용할 수 있음

– 구름대가 얇은 구간: 구름대가 얇아 아래든 위로든 어디로든 움직일 수 있음

– 후행스팬이 전환선, 기준선, 선행스팬1,2를 모두 뚫고 올라가면 강한 상승 추세, 반대로 후행스팬이 다 뚫고 내려오면 강한 하락 추세

일목균형표(일목구름)은 공부하면서 오랜만에 머리가 터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ㅎ 이 지표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 이해하는데 집중하다 보니 더 그랬던 것 같네요.. 공부를 했으니 활용을 해봐야겠죠! 이제 BB(볼린저밴드)와 피보나치되돌림까지 마치고 나면 실전으로 코인들을 보면서 차트를 연구해봐야겠습니다…!

(본 게시물은 투자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차트 보는법, 일목균형표 선행스팬 후행스팬 기준선 구름대 뜻

반응형

주식 차트 보는법, 일목균형표 선행스팬 후행스팬 기준선 구름대 뜻

일목산인 일목균형표

주식 투자를 할 때 어떤 방식으로 종목과 매수매도 시점을 결정하시나요?

재무제표나 기업보고서를 통해 저평가된 좋은 기업을 찾아 투자할 수도 있고, 차트의 데이터를 활용해 적절한 매수 매도 타이밍을 가늠할 수도 있겠죠. 여기서 후자를 기술적 분석이라고 하는데요.

기술적 분석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일목균형표입니다.

일목균형표에 대해 깊게 설명하자면 정말 길어지지만, 이번에는 초보 투자자분들을 위해 일목균형표의 기본적인 개념과 활용법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일목균형표란?

일목균형표는 주가의 추세를 확인하기 위해 최고가와 최소가를 이용해 나타낸 지표입니다. 전환선, 기준선, 선행스팬, 후행스팬, 구름대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시간을 중요한 요소로 대입한 지표로서 주가의 기술적 분석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일목균형표가 세상에 처음 발표된 것은 1935년, 일본에서입니다.

호소다 고이치라는 투자 전문가가 처음 선보였는데요. 호소다 고이치가 ‘일목산인’이란 필명을 사용했기 때문에, 일목균형표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전환선, 기준선, 선행스팬, 후행스팬, 구름대…?

일목균형표를 이루는 요소는 전환선, 기준선, 선행스팬, 후행스팬, 구름대까지 모두 5개가 있습니다.

전환선은

9일간의 최고가와 최저가를 더한 뒤 2로 나누어 평균을 낸 것입니다. 이동평균선 개념을 아신다면 9일간의 이동평균선으로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위 그림에서는 주가와 아주 가깝게 붙어있는 얇은 청록색 선으로 표시되었습니다.

기준선은

전환선보다 긴데요. 아주 중요한 개념입니다. 26일간의 최고가와 최저가를 더한 뒤 2로 나누어 평균을 낸 것입니다. 20일 이동평균선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위 그림에서는 어두운 회색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후행스팬은

시간 개념의 대표적인 보조 지표입니다. 현재 기업의 주가를 26일 전으로, 즉 과거로 당겨놓은 것입니다. 위 그림에서는 짙은 연두색 선으로 표시되었네요.

선행스팬은

선행스팬1과 선행스팬2로 나뉩니다. 선행스팬1은 전환선과 기준선을 평균 낸 값을 26일 앞으로, 즉 미래로 보내 놓은 값입니다. 선행스팬2는 52일간의 최고가와 최저가를 더한 뒤 2로 나눈 평균값을 26일 앞으로 보내놓은 것입니다. 위 그림에서 선행스팬1은 주황색으로, 선행스팬2는 하늘색으로 그려졌습니다.

구름대는

선행스팬1에서 선행스팬2를 뺀 값입니다. 선행스팬1이 더 커서 그 값이 +로 나올 경우 ‘양구름층’을 이룬다고 합니다. 반대로 선행스팬2가 더 커서 그 값이 -로 나올 경우 ‘음구름층’이 형성됐다고 합니다. 위 그림에서 주황색과 하늘색으로 칠해진 영역이 바로 구름대인데요. 주황색은 양구름층, 하늘색은 음구름층입니다.

일목균형표 활용

일목균형표를 보는 가장 큰 목적은 주가의 추세를 가늠하기 위해서죠.

일목균형표로 보는 추세는 크게 상승추세와 하락추세, 2가지로 나뉘는데요. 앞에서 설명한 5가지 요소와 주가를 비교해 주가가 상승할지 하락할지 추세를 예상하고 이를 투자 결정에 참고하는 것이죠. 그렇다면 어떻게 일목균형표를 통해 상승추세와 하락추세를 읽어낼 수 있을까요?

상승추세

후행스팬 > 주가 > 구름대&기준선

상승추세는 후행스팬이 주가보다 위에 있고, 주가가 구름대와 기준선 위에 있을 때를 말합니다. 이 3가지가 모두 충족됐을 때를 상승추세라고 합니다.

하락추세

후행스팬 < 주가 <구름대&기준선 ​ 반대로 하락추세는 후행스팬이 주가보다 아래에 있고, 주가는 구름대와 기준선 아래에 있을 때를 말합니다. 상승추세와 마찬가지로 3가지 조건이 맞물리면 하락추세라고 합니다. ​ 일목균형표는 만들어진 지 90년이 다 되어가는 지표인데요. 그만큼 중요한 지표라는 뜻이겠죠. 일목균형표를 통해 여러분이 성공 투자에 한 발 더 다가가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반응형 LIST

키워드에 대한 정보 일목 구름 보는 법

다음은 Bing에서 일목 구름 보는 법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구름에 도전하지 말라! 일목균형표 보는 법(종목상담소/21.06.03)

  • 키움증권
  • 일목균형표
  • 기술적차트
  • 정배열
  • 역배열
  • 시가총액상위종목
  • 청송촌놈
  • 신창환
  • 종목상담
  • 차트분석
  • 데드크로스
  • MACD
  • 보조지표
  • 붉은구름
  • 검은구름

구름에 #도전하지 #말라! #일목균형표 #보는 #법(종목상담소/21.06.03)


YouTube에서 일목 구름 보는 법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름에 도전하지 말라! 일목균형표 보는 법(종목상담소/21.06.03) | 일목 구름 보는 법,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