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Home » 과 즉물 탄개 | 명심보감 (정기편 ) 1부 – 과즉물탄개 빠른 답변

과 즉물 탄개 | 명심보감 (정기편 ) 1부 – 과즉물탄개 빠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과 즉물 탄개 – 명심보감 (정기편 ) 1부 – 과즉물탄개“?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u.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u.taphoamini.com/photos.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경희서당tv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815회 및 좋아요 50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과 즉물 탄개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명심보감 (정기편 ) 1부 – 과즉물탄개 – 과 즉물 탄개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경희서당(독음이 같은 한자들) 책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경희서당 회원이 되시면 수업 영상 보실 수 있습니다.
경희서당 회원제 안내 영상 참고 바랍니다.
경희서당책 소개 영상 링크 https://youtu.be/zPndUK2xFMg
경희서당 회원제 가입안내 영상 링크 https://youtu.be/Sk5i3eGhACU
경희서당 책 수업 영상 선공개 영상 링크 https://youtu.be/Zq3lrWpVZqQ
◈책 명 : 경희서당 (독음이 같은 한자들)
◈출판사 : 좋은땅
◈정 가 : 28,000원 (온라인 구매시 25,200원) 배송비 무료
◈페이지 : 648페이지
♥많은 관심과 구매 부탁드립니다.♡♡♡
※알라딘 경희서당 판매 주소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70552733
※YES24 경희 서당 판매 주소 http://www.yes24.com/Product/Goods/101411567
※영풍문고 경희 서당 판매 주소 http://naver.me/5ncFbu5w
※교보문고 경희 서당 판매 주소 http://www.yes24.com/Product/Goods/101411567

과 즉물 탄개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경일포럼]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 – 경남일보

잘못하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아야 한다는 뜻이다. 어떤 일에 있어서 그 결과가 좋지 않을 때 잘못을 직면할 용기 없이 더 안 좋은 상황과 비교만 하여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gnnews.co.kr

Date Published: 9/17/2021

View: 6005

과즉물탄개(過卽勿憚改) 고사성어 – SubKorea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는 뜻으로, 어떤 잘못을 범했을 때는 그 즉시 바르게 고치는 일을 꺼리지 말라는 의미이다. 공자는 일찍이 군자의 수양에 관해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subkorea.com

Date Published: 5/14/2021

View: 5379

과즉물탄개, 하필왈리의 유래 – 네이버 블로그

과즉물탄개는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려하지 말라는 뜻이다. 강조하면 ‘잘못하면 즉시 고치는 것을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는 말이다.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7/28/2021

View: 9005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 – 남해시대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는 뜻으로, 잘못이 있으면 즉시 고치라는 말. 과즉물탄개는 룗논어(論語)룘 학이(學而)편에 나오는 말로 `허물이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nhtimes.co.kr

Date Published: 9/3/2022

View: 2088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과 즉물 탄개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명심보감 (정기편 ) 1부 – 과즉물탄개.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명심보감 (정기편 ) 1부 - 과즉물탄개
명심보감 (정기편 ) 1부 – 과즉물탄개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과 즉물 탄개

  • Author: 경희서당tv
  • Views: 조회수 815회
  • Likes: 좋아요 50개
  • Date Published: 2021. 9. 22.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zH5FJUSs65E

過則勿憚改(과즉물탄개) – 잘못을 저지른 것을 깨달았다면 망설이지 말고 바로 고쳐야 한다는 뜻.

過則勿憚改.

과즉물탄개.

잘못하면 고치기를 꺼리지 마라. 잘못을 저지르면 고치는 것을 꺼려서는 안 된다.

1) 잘못을 저지른 것을 깨달았다면 망설이지 말고 바로 고쳐야 한다는 뜻.

(논어(論語) 학이편(學而篇) 중에서……)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신중하지 아니하면 위엄이 없고,

배워도 견고하지 못하다.

충성과 신의를 가장 중요하게 여겨야 하고,

자기처럼 인을 행하지 않는 사람을 가까이 해서는 안 되며,

잘못을 저지른 것을 깨달았다면 망설이지 말고 바로 고쳐야 한다.”

★★★★★★★★★★★★★★★★★★★★

☆☆☆☆☆☆☆☆☆☆☆☆☆☆☆☆☆☆☆☆

‘잘못을 저지르면 고치는 것을 꺼려서는 안 된다’라는 뜻의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는 논어(論語)의 학이편(學而篇)과 자한편(子罕篇)에 실려 있습니다.

이 외(外)에도 잘못과 관련(關聯)된 글은 아래와 같이 옛 문헌(文獻)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1) 논어 위령공편(衛靈公篇)

過而不改 是謂過矣.

과이불개 시위과의.

잘못을 저질렀는데도 고치지 않는다면, 이것이 잘못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잘못을 저지른 것을 깨닫고도 고치지 않는 것을 잘못이라고 한다.)

(잘못을 깨닫고도 고치지 않는 것을 잘못이라고 한다.)

2) 논어 이인편(里仁篇)

觀過 斯知仁矣.

관과 사지인의.

잘못을 살펴보면 곧 인(仁)을 안다.

(그 사람이 저지른 잘못을 살펴보면 곧 그 사람이 어진 사람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다.)

3) 맹자(孟子) 공손추편(公孫丑篇) 상(上)

子路 人告之以有過則喜.

자로 인고지이유과즉희.

자로(子路)는 다른 사람이 그에게 잘못이 있음을 알려주면 기뻐하였다.

4) 천자문(千字文) (22)

知過必改 得能莫忘.

지과필개 득능막망.

잘못을 깨달으면 반드시 고쳐야 하며, 능력(能力)을 얻으면 잊어서는 안 된다.

(사람은 누구나 잘못을 저지를 수 있으나 잘못을 저지른 것을 깨달았다면 반드시 고치는 것이 도리(道理)에 맞는 일이며, 사람으로써 알아야 할 것들을 배운 후에는 그것을 잊지 않도록 항상(恒常) 노력(努力)해야 한다.)

★★★★★★★★★★★★★★★★★★★★

☆☆☆☆☆☆☆☆☆☆☆☆☆☆☆☆☆☆☆☆

※출전(出典):

– 논어(論語) 학이편(學而篇)

– 논어(論語) 자한편(子罕篇)

※원문(原文):

– 논어(論語) 학이편(學而篇)

子曰:「君子不重則不威,學則不固。主忠信,無友不如己者,過則勿憚改。」

– 논어(論語) 자한편(子罕篇)

子曰:「主忠信,毋友不如己者,過則勿憚改。」

※원문(原文) / 해석(解釋):

子曰.

자왈.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不重則不威 學則不固.

군자부중즉불위 학즉불고.

1) “군자(君子)는 신중(愼重)하지 아니하면 위엄(威嚴)이 없고, 배워도 견고(堅固)하지 못하다.

2) “군자(君子)는 신중(愼重)하지 아니하면 위엄(威嚴)이 없고, 배우면 고루(固陋)/완고(頑固)하지 않다.

(군자(君子)는 신중(愼重)하지 아니하면 위엄(威嚴)이 없고, 배워야 고루(固陋)하지 않게 된다/완고(頑固)하지 않게 된다.)

主忠信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주충신 무우불여기자 과즉물탄개.

충성(忠誠)과 신의(信義)를 주장(主張)하고, 자기(自己)와 같지 않은 사람을 사귀지 말고, 잘못하면 고치기를 꺼리지 마라.”

(충성(忠誠)과 신의(信義)를 가장 중요(重要)하게 여겨야 하고, 자기(自己)처럼 인(仁)을 행(行)하지 않는 사람을 가까이 해서는 안 되며, 잘못을 저지른 것을 깨달았다면 망설이지 말고 바로 고쳐야 한다.)

※참고(參考):

– 무우불여기자(無友不如己者)

불(不), 여(如), 불여(不如)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습니다.

– 不(불): 아니하다.

– 如(여): 같다. ~와 같다. 비슷하다. ~와 비슷하다.

– 不如(불여): (~하는 것보다) ~하는 것이 낫다. (~하는 것보다) ~하는 편(便)이 낫다. ~만 못하다. ~하는 것만 못하다. ~에 미치지 못하다.

무우불여기자(無友不如己者)는 다음과 같이 해석(海汐)할 수 있습니다.

1) 불(不)과 여(如)를 ‘불여(不如)’의 뜻으로 해석하면 다음과 같은 뜻이 됩니다.

자기(自己)만 못한 사람과 벗하지 마라.

2) 불(不)과 여(如)를 ‘~와 같지 아니하다’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자기(自己)와 같지 않은 사람을 벗하지 마라.

여기에서는 2)의 뜻으로 해석하였습니다.

※유의어(類義語):

※반의어(反義語):

★★★★★★★★★★★★★★★★★★★★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⑨ 過則勿憚改(과즉물탄개)

다산은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에 “사람은 모름지기 사나운 새나 짐승처럼 전투적인 기상이 있고나서 그것을 부드럽게 안으로 다스려 법도에 알맞게 행동하면 유용한 인재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사람이기에 가능한 일이다. 허물을 고치면 대인(大人)이 될 수도 있다. 인생은 늙고 나날이 약해지기 마련이다. 무엇이든가에 쉽게 길들여진다는 것이 무섭다. 잘못에 젖어들어 시·공간에 길들어져 버리면 벗어날 수 없는 타성에 젖어든다. 잘못을 고치고자 하는데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돌아 오기가 쉽지 않다. 손가락만큼의 구멍이 저수지의 물을 모두다 말린다. 60일간 감옥살이를 하고도 공자의 사위가 된 제자 공야장은 비록 전과자이지만 공자는 허물의 이유를 알았기에 그의 제자를 사위로 맞이한 것이다.

사회는 사람들의 잘못을 너무 쉽게 용서하고 안아주는 경향이 있다. 용서하고 안아주는 일이 나쁜 것이 아니지만 용서는 허물어진 내 양심을 손질하는 일이며 아름다운 선행이다. 문제는 받아들이는 깊은 반성없는 그들의 마음이 문제이기 때문이다. 세상에는 스스로 배웠다고 하는 큰 도둑들의 잘못된 도리는 어찌할 것인가 한심하기 그지없다.

사는 일이 이런 저런 이유로 녹록지 않다. 그렇지만 누구나 사는 일에 살얼음을 밟듯 조심하고 깊은 못가에 이르듯 조심하는 마음으로 행하면 허물을 조금씩 줄여갈 수 있을 것이다. 남의 허물을 입에 올리기전에 나의 허물이나 고쳐야 겠다.

솔뫼 정현식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

▶ 과즉물탄개 ( 過則勿憚改 )

한자어를 풀이하면, 허물 과(過), 곧 즉(則), 말 물(勿), 꺼릴 탄(憚), 고칠 개(改)입니다.

논어 학이(學而)편에 나오는 말로 제가 좋아하는 말 중에 하나입니다.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 즉 잘못이 있으면 즉시 고치라’는 가르침입니다.

뭔가를 고치거나 개선을 하려면 현재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알아야 합니다. 현상을 모르고는 뭘 고쳐야 하는지 알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무엇보다 현상파악이 최우선입니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행동이나 말들이 어떠한지를 파악해야 고칠 수 있습니다. 자신이 하고 있는 짓을 알지 못하면 어떤 조치도 취할 수 없습니다. 그냥 그런대로만 살아갑니다.

그래서 서양의 위대한 영성가 중 한 명인 에크하르트 툴레는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에서 먼저 자신이 하는 행동을 알아차리는 것이 급선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위대한 철학자인 소크라테스는 ‘너 자신을 알라’라는 유명한 말을 남기기도 했지요. 자기 자신을 알지 못하고 남 탓만 해서는 항상 그렇게 살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그냥 늘 하던 대로 밖에 살 수 없을 것입니다. 위대한 과학자인 아인슈타인은 “어제와 똑같이 살면서 다른 미래를 기대한다는 것은 정신병 초기 증상이다.”라고 말합니다.

요는, 자신이 정신병에 걸렸으면서도 정신병 환자인지 모르는 것이 문제이지요. 자신이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음을 알고 나서부터 정신병 치료를 할 수 있는데 그걸 인정하지 않는 것입니다. 알지 못하고 인정하지 않으니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오는 것은 요원할 것입니다. 알아차리고 현실을 인정해야 ‘과즉물탄개’ 할 수 있을 텐데 말입니다. 그러니 계속 하던 대로만 합니다. 남들이 핀잔을 하든 말든 상관하지 않습니다. 자기만 옳다고 주장합니다. 한심한 일입니다.

지금 우리 사회는 이러한 일이 만연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싫어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오직 자기들만이 옳다고 주장하면서 사회 혼란을 부추기고 있는 집단들이 있습니다. 서로 힘을 합쳐도 모자라는 판에 분열을 초래하면서 사회적 비용만 낭비하고 있는 것입니다. 자신들이 지금 하고 있는 일이 국가와 민족을 위한 일인지 알아차리는 것이 우선입니다. 문제는 옳다고 생각만하고 틀리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냉철하게 성찰해야 합니다. 자기들이 하고 있는 행동에 대한 진솔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논리적이고 합리적인지 말입니다.

언론도 마찬가지입니다. 사실 보도를 하는 것이 아니라 추측, 거짓 보도를 하거나, 남들이 ‘이러 하더라’라는 말만 그냥 기사화해서는 언론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습니다. 그러면서 언론의 자유라는 그늘에 숨어서 자기주장만 하고 있는 모습이 애처롭기만 합니다. 잘못된 보도에 대해서는 사실을 바로 확인해서 사과하고 정정 보도를 내는 자세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자기가 할 일은 하지 않으면서 권리만 주장한다는 것은 이율배반적인 행동입니다. 환영받을 수 없습니다. 우선 먼저 과즉물탄개 해야 하는 곳이 작금의 우리 언론입니다. 내가 하고 짓이 부끄러운 줄 모르니 그 짓을 계속하고만 있습니다. 자기 눈의 들보는 보지도 못하고 남의 눈의 띠끌만 보고 있는 한심한 작태입니다. 어서 빨리 자중하고 깨어나기를 충고합니다.

언젠가 집사람과 대화하는 중에 저에게 말합니다. “당신은 너무 독불장군식이야.”라고 일갈합니다. 이 말을 듣고 전 깜짝 놀랐습니다. 나만큼 합리적이고 민주적인 남자 있으면 나와 보라고 할 정도라고 생각하고 있는데 청천벽력 같은 말입니다. 나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상대가 그렇다고 하니 저 자신을 뒤돌아보았습니다. 생각해보니 ‘그럴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다음부터는 한결 더 의견을 물어보고 결정하기로 의식적으로 행동하게 되었습니다. 알지 못하면 고칠 수 없습니다.

자신 스스로 알지 못하면 상대의 말을 참고해야 합니다. 자기들만의 주장이 아니라 전체적인 여론의 방향을 잘 인식해서 알아차려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우물 안 개구리 꼴이 되기 십상입니다. 항상 깨어 있는 의식을 견지하고 생활해야 합니다. 편중되지 않고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결정을 할 줄 알아야 합니다. 내가 지금 편견과 선입견을 가지고 있지는 않은지 뒤돌아보고 알아차려야 합니다. 맹목적이고 군중심리에 이끌린 행동은 패가망신의 지름길입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자기만 옳다고 주장하는 개념 없는 사람과도 함께 살아가야 하는 세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 내가 어떠한 행동을 할 것인지 올바른 판단력을 견지하고 있어야 현혹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깨어있는 시민들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위대한 시민의 힘으로 변화를 이룰 수 있음을 우리는 경험했습니다.

삶은 풀어야 할 문제가 아니라 경험해야 할 신비스러움입니다.

나는 지금 새로운 경험 중입니다.

과즉물탄개, 하필왈리의 유래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 와 하필왈리何必曰利

어느 일간지에 한나라당 내부에서 때 아닌 ‘공자와 맹자’ 논쟁이라는 제하에서 친이(親李)는 ‘과즉물탄개’를, 친박(親朴)은 ‘하필왈리’라는 성어를 사용하여 세종시 문제에 대한 입장을 표현하고 있다는 것이다. 좋은 말이긴 하나 이분들이 논어ㆍ맹자를 한번이라도 읽어 보았는지 궁금하다. 공맹(孔孟)정치의 본뜻이 무엇인지를 안다면 지금 같은 난장(亂場)판 정치는 하지 않을 것이다. 아무렇게나 듣고 아무렇게나 말하는 것을 ‘도청도설道聽塗說’이라 한다. 깊은 뜻은 생각지 않는, 우리의 정치인들에게 잘 어울리는 말이 아닐까 싶다. 과즉물탄개, 하필왈리의 속뜻을 알아보자.

과즉물탄개는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려하지 말라는 뜻이다. 강조하면 ‘잘못하면 즉시 고치는 것을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는 말이다.

이 말은 논어 ‘학이편學而篇’에 나오는 말인데, 공자는 사람은 잘못을 하지 않을 수는 없지만 그 잘못을 고치지 않는 것이 더 큰 허물이라 했다. 잘못을 고치지 않으면 더큰 잘못을 낳을 수 있으므로 고치는 것을 꺼리지 말고 ‘즉시(則)’ 고치도록 최선을 다하라는 것이다. 공자는 군자의 수양에 관해 “군자는 중후하지 않으면 위엄이 없어 학문을 해도 견고하지 못하다. 충忠과 신信을 주장으로 삼으며, 자기보다 못한 자를 벗으로 삼으려 하지 말고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주저하지 않아야 한다.

君子不重則不威 學則不固 主忠信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공자는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군자의 도리로 삼았다. 공자의 제자 자공子貢도 ‘군자는 잘못을 범하였을 때 모든 사람이 이를 알 수 있도록 고쳐야 한다’고 말했다.

논어에 잘못을 언급한 부분이 많다. ‘과이불개 시위과위過而不改是謂過矣’는 ‘위령공편衛靈公篇’에 ‘과즉물탄개’는 ‘학이편學而篇’에 ‘소인지과야필문’은 ‘자장편子張篇’에 나온다.

소인지과야필문小人之過也必文이란 덕이 없는 자는 잘못을 저지르면 그것을 고칠 생각은 하지 않고 꾸며서 얼버무리려 한다는 뜻이다.

하필왈리何必曰利

하필왈리는 ‘하필이면 왜 이익이 되는 것만을 말하느냐’하는 뜻이다. 하필何必이란 말도 이 말에서 나온 말인데 ‘하필’의 원뜻인 ‘어찌 반드시’란 이상의 실감을 주는 우리말이 되고 말았다.

이 말은 “맹자”의 ‘양혜왕梁惠王’ 상편에 나온 말로, 맹자의 모든 사상이 이 네 글자에서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맹자가 양혜왕의 초청을 받아 처음 혜왕을 만났을 때다. 혜왕은 인사말 겸,

“천리를 마다하지 않고 와주셨으니 장차 우리나라를 이롭게 해 주시겠습니까?”하고 물었다. 그러자 맹자는,

“왕께서는 하필 이(利) 를 말하십니까? 다만 인의가 있을 뿐입니다(何必曰利 亦有仁義己矣)하고 전제한 다음,

“만약 왕께서 이익만을 생각하신다면 모든 신하들도 왕을 따라 어떻게 하면 내 집에 익이 될까를 생각할 것이며, 선비나 백성들은 또 그들대로 어떻게 하면 내 한 몸을 이롭게 할 수 있을까를 생각할 것입니다. 이렇게 윗사람이나 아랫사람 모두가 서로의 이익만을 취하게 되면 결국 나라가 위태로워질 것입니다. 만승(萬乘-1만대의 전차)의 나라에서 그 임금을 죽이는 자는 반드시 천승의 대신이고, 천승의 나라에서 왕을 죽이는 자는 반드시 백승의 대신입니다. 만승의 나라에서 천승을 지니고, 천승의 나라에서 백승을 지니고 있다는 것은 결코 적은 것이 아닙니다. 그런데도 욕심이 어두워지면 그 임금을 죽여서라도 다 빼앗지 않고서는 결코 만족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이(利)라는 것은 참으로 위험한 요소입니다. 한 개인이 이익 추구에 몰두하여 온갖 불의를 서슴지 않다가 몸을 망치게 마련이며, 한 가정에서도 가족들이 저마다 이익에만 급급하면 형제가 불화하고 부모와 자식마저 버리게 되는 법입니다. 의(義)를 뒤로하고 이(利)를 먼저 하면 빼앗지 않고서는 만족하지 못하는 법입니다”하고, 이익만을 추구해서 나라가 올바르게 될 수 없는 이치를 말했다. 그리고 끝에 가서 다시 한 번,

“왕께서는 역시 인의를 말씀하셔야 할 터인데 하필 이를 말씀하십니까?”하고 거듭 인의를 강조하고 있다.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

최성기 창선고 교장의 옛날 말, 좋은 말

過 : 허물 과 則 : 곧 즉 勿: 말 물 憚 : 꺼릴 탄 改 : 고칠 개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는 뜻으로, 잘못이 있으면 즉시 고치라는 말.

과즉물탄개는 룗논어(論語)룘 학이(學而)편에 나오는 말로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는 뜻`이다.

공자(孔子)는 일찍이 군자(君子)의 수양(修養)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군자는 중후하지 않으면 위엄이 없어(君子不重則不 : 군자부중즉불위), 학문을 해도 확고하지 못하다(學則不固 : 학즉불고). 충(忠)과 신(信)을 주력으로 삼으며(主忠信 : 주충신), 자기보다 못한 자를 친구로 삼으려 하지 말고 (無友不如己者 : 무우불여기자), 허물이 있으면 고치는 것을 꺼리지 말아야 한다(過則勿憚改 : 과즉물탄개)”고 했다. 여기서 `과즉물탄개`라는 고사(故事)가 나왔다.

룗논어룘 자장(子張)편과 룗명심보감(明心寶鑑)룘에는 한발 더 나아가 `허물을 알면 반드시 고쳐야 한다(知過必改 : 지과필개)`고 했다. 이는 사람이 갖춰야 할 기본 덕목(德目)으로 이 말은 여겼기 때문이다.

삶이 이런저런 이유로 녹록지 않다. 그렇지만 누구나 자신이 하는 일에 살얼음을 밟듯 조심하여 행(行)하면 허물을 조금씩 줄어들 것이다. 그러므로 남의 허물을 말하기 전에 자신의 허물을 고쳐야 한다.

사람은 성취욕(成就慾)이 높아지면 교만(驕慢)함도 함께 높아진다. 또한, 사람은 남에게는 엄격하고 자신에게는 관대한 속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자신을 견제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

그러나 실수 그 자체를 질책(叱責)하기보다는 실수를 빨리 인정하고 잘못된 점을 찾아 개선해 나가야 한다. 공자(孔子)가 말하는 공부(工夫)는 다른 게 아니다.

자신을 스스로 살펴 허물을 인정하고 고쳐나가는 것이 공부의 시작이다.

저작권자 © 남해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에 대한 정보 과 즉물 탄개

다음은 Bing에서 과 즉물 탄개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See also  근위 경골 절골술 | 근위경골절골술이 무엇인가요?|근위경골절골술 완벽 정리 136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See also  필로 덴 드론 종류 | 필로덴드론 13가지 소개 (식물 구입처, 가격 )_베멜하, 파스타짜넘, 캄포스포토아넘, 브렌티아넘 등등 10988 투표 이 답변

See also  만두 요리 종류 | 간단하게 만드는 냉동만두 요리 10가지 102 개의 베스트 답변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명심보감 (정기편 ) 1부 – 과즉물탄개

  • #경희서당 #한자 #독음이같은한자들 #한자급수 #3급 #한시감상 #논어 #명심보감#천자문 #추구 #부수 #부수214 #고사성어

명심보감 #(정기편 #) #1부 #- #과즉물탄개


YouTube에서 과 즉물 탄개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명심보감 (정기편 ) 1부 – 과즉물탄개 | 과 즉물 탄개,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