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Home » Ess종류 | Sub) Why Ess 편 Ess 개념부터 구성까지 5분 톺아보기 (Feat.전병칠쌤) [Ls Electric] 인기 답변 업데이트

Ess종류 | Sub) Why Ess 편 Ess 개념부터 구성까지 5분 톺아보기 (Feat.전병칠쌤) [Ls Electric] 인기 답변 업데이트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ess종류 – SUB) WHY ESS 편 ESS 개념부터 구성까지 5분 톺아보기 (feat.전병칠쌤) [LS ELECTRIC]“?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hu.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hu.taphoamini.com/photos/.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LS ELECTRIC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17,495회 및 좋아요 784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ESS종류부터 알아보자.
  • 배터리 방식 리튬전지(LiB)는 양극과 음극 간의 리튬이온 이동에 의해 생기는 전위차로 인해 에너지가 저장되는 방식이다. …
  • 원조 ESS ‘양수발전’ …
  • 압축공기에너지저장시스템(CAES) …
  • 플라이휠(Flywheel)

ess종류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SUB) WHY ESS 편 ESS 개념부터 구성까지 5분 톺아보기 (feat.전병칠쌤) [LS ELECTRIC] – ess종류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새로운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된 #바이든 까지
후보 시절 부터 이야기한 #신재생에너지
신재생에너지와 관련이 깊은 #ESS 에 대해
강의해 주기 위해 #20만유튜버 #전병칠 쌤이 #컴백하다!
ESS개념 부터 구성까지 #5분 안에 #Quick 한 강의 지금 시작합니다.
#LS #LS산전 #글로벌사업 #글로벌기업 #LS_tech
#ESS #신재생에너지 #ESS #풍력발전 #태양광발전 #PCS
#PMS #국책사업 #전력기술 #강의 #강좌 #신재생 #에너지 #신재생에너지
#조바이든#전력강의 #전기강의 #tech #BTS #스마트에너지 #스마트 #전력자동화 #BIZ

ess종류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전력계통 적용 – KoreaScience

ESS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저장되는 에너지 매체별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 등과 같은 전기화학적 시스템. ○플라이휠 에너지저장과 같은 kinetic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koreascience.or.kr

Date Published: 1/16/2021

View: 9647

에너지 저장 체계 – 나무위키

에너지 저장 체계(ESS, Energy Storage System)는 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 그리고 전자의 경우에는 종류가 매우 많다.

+ 여기에 표시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8/7/2021

View: 3778

삼성SDI ESS(Energy Storage System) | 삼성SDI 공식 사이트

삼성SDI 전력 저장 장치(ESS) 제품 개요 페이지. 삼성SDI는 최근 에너지 산업에서의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친환경 에너지 제조 서비스업 추진을 위한 ESS용 리튬 이온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samsungsdi.co.kr

Date Published: 5/14/2022

View: 9849

ESS 시스템 – EG-TIPS 에너지온실가스 종합정보 플랫폼

ESS 시스템 에너지 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 ESS의 종류는 ESS 구성요소 중 하나인 배터리(Battery)의 4가지 저장 …

+ 여기에 표시

Source: tips.energy.or.kr

Date Published: 9/25/2021

View: 5104

ESS를 활용한 안정화 기술 방안

ESS 종류 및 특징. ESS의 종류. Energy storage systems- ESS … 전세계 ESS용 리튬이온 배터리 시장은 현재 6천억원 수준에서 2020년 약 12조원 수준으로 연평.

+ 더 읽기

Source: www.keei.re.kr

Date Published: 2/6/2022

View: 7994

[ER 궁금증] ESS 쉽게 알아보자 < 이슈 < 종합 < 기사본문

이유는 현재 한국에 설치된 대부분의 ESS는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소 근처나 전력 … ESS의 종류는 크게 전력용,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econovill.com

Date Published: 11/19/2022

View: 9717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ess종류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SUB) WHY ESS 편 ESS 개념부터 구성까지 5분 톺아보기 (feat.전병칠쌤) [LS ELECTRIC].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SUB) WHY ESS 편 ESS 개념부터 구성까지 5분 톺아보기 (feat.전병칠쌤) [LS ELECTRIC]
SUB) WHY ESS 편 ESS 개념부터 구성까지 5분 톺아보기 (feat.전병칠쌤) [LS ELECTRIC]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ess종류

  • Author: LS ELECTRIC
  • Views: 조회수 117,495회
  • Likes: 좋아요 784개
  • Date Published: 2021. 1. 17.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7FOhRZEa-E

ESS 기술의 현재와 미래: ‘에너지 저축’을 꿈꾸다!

전 세계적으로 각종 환경 문제와 더불어 지구온난화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그 원인인 석탄, 석유 등 화석에너지의 사용을 줄이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규제와 제약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 현 에너지 시장의 동향이다. 이에 자연으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방식인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술 개발에 전 세계가 열을 올리고 있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의 에너지신산업협의회에서 2030년 전력 산업의 변화를 이끌 4가지 축으로 마이크로그리드, 신재생에너지, ESS, 전기차로 전망했고 이 네 가지 산업은 서로 협력하여 기술 개발과 함께 에너지 산업의 핵심이 될 것이다. 태양광과 풍력 등 자연으로부터 생산되는 ‘신재생 에너지’는 그 양이 일정하지 않은 것이 단점인데, 그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에너지를 저장하는 기술인 ‘ESS(Energy Storage System)’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ESS에 저장된 전력은 필요할 때마다 공급되어 전력이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요금이 저렴한 시간에 저장을 하고 전기 요금이 비싼 시간에 사용함으로써 전기 요금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ESS 사용을 통해 에너지의 출력이 안정되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ESS 기술은 미래 에너지의 핵심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그렇다면 ESS의 종류부터 알아보자.

1.배터리 방식

리튬전지(LiB)는 양극과 음극 간의 리튬이온 이동에 의해 생기는 전위차로 인해 에너지가 저장되는 방식이다. 리튬전지는 크게 양극, 음극, 전해질 세 부분으로 나뉜다. 음극에는 흑연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양극에는 층상의 리튬코발트산화물과 같은 산화물, 인산철리튬과 같은 폴리음이온, 리튬망간 산화물, 스피넬 등이 쓰인다. 전지의 전압과 수명, 용량, 안정성은 음극, 양극, 전해질에 사용되는 물질에 따라 달라진다. 최근에는 나노기술을 활용하는 등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가장 큰 장점은 높은 에너지 효율과 높은 에너지 밀도이고, 단점은 안정성, 비싼 가격과 대용량의 셀 구성이 힘들다는 점이다.

나트륨-황전지(NaS)는 300~350도의 온도에서 용융 상태의 Na와 S의 반응을 통해 전기를 저장한다. NaS전지는 양극(S)과 음극(Na), 고체전해질 및 분리막(Al2O3)로 구성된다. 양극 물질인 황은 부도체이기 때문에 도전재인 탄소섬유에 함침시켜 사용해야 하므로 양극을 구성하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전지성능이 크게 달라진다. 장점은 저비용, 높은 에너지 밀도, 대용량화하기에 좋다는 점이고 단점은 온도를 올릴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와 에너지 효율이 낮다는 점이다.

[그림 1. 리튬 전지와 나트륨-황전지의 구조]출처:’ESS의 종류별 특징과 구성’-전기평론,스마트앤컴퍼니(주)

레독스 플로우 전지(RFB)는 전해액 안의 이온들이 산화와 환원을 할 때 생기는 전위차를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충, 방전하는 방식이다. ‘레독스(Redox)’는 ‘환원(reduction)과 ‘산화(oxidation)’를 합친 말이고, 에너지가 저장되는 전해질이 배터리 내 저장탱크에 보관된 후 시스템 내부를 흐르면서 전기 파워의 출력을 담당하는 스텍(stack)이라는 장치에서 산화, 환원의 반응을 일으켜 충전과 방전을 반복한다. 레독스 흐름전지는 다양한 종류의 물질들이 전해질로 사용되고 있고 가장 대표적인 물질은 ‘바나듐(Vanadium)’이다.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가장 큰 특징은 전기를 저장한 전해질이 반영구적으로 순환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가장 큰 장점은 친환경성, 안정성, 긴 수명, 저비용이고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로서 적합하다는 점이다. 단점은 에너지 밀도와 효율이 낮다는 점이다.

슈퍼캐패시터는 이온의 표면에 전기화학적 흡착을 통해 전기를 저장하는 방식이다. ‘캐패시터’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축전기’이고, 표면적이 큰 활성탄을 사용하고 유전체의 거리를 짧게 하여 소형으로 큰 정전 용량을 낼 수 있는 것이 ‘슈퍼캐패시터’이다. 기본적으로 2장의 전극판을 대향시킨 구조로 되어있다. 여기에 직류전압을 걸면 각 전극에 전하가 축적되고 축적하고 있는 동안에는 전류가 흐르지만 축적된 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슈퍼캐패시터는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배터리와 달리 전극과 전해질 계면으로의 단순한 이온의 이동이나 표면화학반응에 의한 충전현상을 이용한다. 따라서 급속 충,방전이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2차전지보다 100배 이상의 고출력이며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해서 응용분야가 다양하다. 최근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단위는 패럿(F)이 사용된다. 장점은 오랜 수명과 빠른 충,방전 속도, 높은 효율이고 단점은 에너지 밀도가 낮다는 점과 비용이 비싸다는 점이다.

[그림 2. 레독스 플로우 전지와 슈퍼캐패시터의 구조] 출처:‘ESS의 종류별 특징과 구성’ 전기평론,스마트앤컴퍼니(주)

2.원조 ESS ‘양수발전’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의 원조가 바로 ‘양수발전’이다. 현재는 배터리가 많이 개발되면서 양수발전의 입지가 더욱 좁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 ‘자연으로부터 에너지를 얻는다.’라는 신재생 에너지의 모토에 가장 적합한 ESS가 ‘양수발전’인 것으로 보인다. 양수발전의 기본적인 원리는 물이 갖는 위치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수력발전소 위에 댐 하나를 더 설치해 전력 여유가 있을 때는 저장에너지로 비축해두고 필요한 시간에 이를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다. 즉 전력 사용이 적은 밤중이나 강수량이 많은 여름철에 양수 펌프를 이용해 아래쪽 저수지 물을 위로 끌어올린 뒤 전력이 많이 필요한 낮 시간에 방수하여 발전하는 방식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총 7개의 양수발전소가 있다. 밀양에 있는 삼량진양수발전소가 우리나라 최대 양수식 발전소이고 국내에서 가장 큰 용량의 발전기는 산청양수발전소가 보유하고 있다.

[그림 3. 양수발전의 원리] 출처:한국수력원자력발전 홈페이지

3.압축공기에너지저장시스템(CAES)

CAES(compressed Air Energy Storage)의 기본적인 원리는 사용하고 남은 전력으로 공기를 고압 압축시켜 놓았다가 전력생산이 부족할 때 압축된 공기로 터빈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추가 생산, 공급하는 방식이다. 전기료가 싼 야간에 공기를 압축하여 저장했다가 전력 사용량이 많은 주간에 터빈을 돌려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다. 대규모로 저장가능한 점, 수명이 길다는 점이 장점이지만 공기 압축 시 화석연료를 사용한다는 점과 에너지 밀도가 낮은 것이 단점이다.

[그림 4. CAES의 원리]출처: 공기압축저장시스템(CAES) 개념도 자료: 지식경제부

4.플라이휠(Flywheel)

플라이휠의 원리를 간단히 말하면 회전운동에 의해 전기를 저장하는 방식이다. 플라이휠은 양수발전, 압축공기 저장방식과 함께 기계적 에너지 저장방식의 일종으로 화학 전지와 같이 소형화, 모듈화가 가능하여 기계전지라고 불린다. 이 플라이휠의 가장 핵심은 플라이휠을 구동하여 입력되는 전기에너지를 플라이휠의 회전운동에너지로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전기에너지로 출력하는 ‘전동발전기’이다. 전동발전기는 크기가 작아야하고 높은 출력을 내야한다. 따라서 이 전동발전기 개발에 따라 플라이휠의 효율이 결정된다. 플라이휠은 다른 에너지 저장방식에 비해 저장효율이 높고 수명이 길며 화학전지와 다르게 저온에서 성능저하가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전기자동차, 컴퓨터용 UPS, 대용량 전력저장장치 등 다양한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단점은 초기 비용이 많이 들고 에너지 밀도가 낮다는 점, 베어링의 영향력이 크다는 점이다.

[그림 5. 자동차용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구성]출처:‘도시철도 핵심부품 및 장치고도화 기술동향’-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홈페이지

지금까지 현재 개발된 ESS기술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미래에는 어떤 ESS가 개발되어 현재 ESS기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까?

1.LAES(Liquid Air Energy Storage)

공기를 압축시켜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식인 CAES는 높은 압력으로 공기를 압축할 때 상당한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것과 기체 상태의 공기를 압축했을 때 에너지 저장 밀도가 낮아진다는 것이 단점이었다.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던 영국에 본사를 둔 Highview Power Storage는 압축 공기를 액화시키는 시스템을 이용해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LAES(Liquid Air Energy Storage)라고 명명된 이 시스템은 영국 에너지 및 기후 변화부의 지원을 받아 5MW급의 실제 시스템 개발에 나서고 있고 현재는 소규모 파일럿 시스템으로 테스트까지 마친 상태라고 한다. 이 방법의 특징은 단순한 공기 압축이 아닌 액화를 통한 에너지 저장 밀도의 극대화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신재생 에너지를 통해 과잉 생산된 잉여전력을 이용해 공기를 액화시키는데, 공기를 영하 196도로 액화시켜 저장하는 방법을 이용한 것이다. 에너지가 필요할 때 액화 공기에 열을 가해서 팽창시키고 팽창될 때 방출되는 에너지를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액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열과 기화 과정에서 흡수되는 열을 저장하는 시스템도 존재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액화공기 1L는 GWh급 에너지를 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만약 이 기술이 상용화 된다면 그동안 문제가 되었던 효율과 비용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효율적인 ESS기술이 될 것이라고 전망된다.

[그림 6. LAES의 가동방법]출처:한국수력원자력 블로그

2. 하이브리드 캐패시터

리튬이온 전지는 에너지 저장밀도가 높지만 출력이 약하고 슈퍼캐패시터는 충전과 출력이 좋지만 에너지 저장밀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전기자동차에 필요한 큰 용량에 높은 출력의 전지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전 세계가 개발에 나서고 있던 와중에, 미래창조과학부가 리튬이온 전지와 슈퍼캐패시터의 장점만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리튬전지보다 높은 에너지밀도를 갖고 약 100배 빠른 급속충전이 가능한 차세대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기술을 개발해낸 것이다.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기술은 기존 리튬이온 전지보다 에너지 저장밀도는 1.5배인 275Wh/kg이고, 충전,출력의 특성은 23kW/kg로 리튬이온 전지의 100배를 초과한다. 또 고속 충방전 성능을 지녀 에너지저장 밀도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충방전 시간을 약 30초 정도로 단축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캐패시터의 원리는 리튬이온 전지의 음극과 슈퍼캐패시터의 양극을 혼성해 사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연구진은 음극과 양극에 동시에 적용되는 전극 재료를 개발하기 위해 높은 표면적을 가져 이온 흡착에 용이하고 빠른 이온 이동이 가능하며 금속 활물질을 완전히 포함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전극 재료를 설계했다. 이번 연구는 에너지 재료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 ‘Advanced Energy Materials’에 게재되었고 VIP논문으로 추천됐다. 하이브리드 캐패시터는 리튬이온 전자의 용량과 슈퍼캐패시터의 출력 및 수명을 충족하여 차세대 리튬이온 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로 평가되고 있으며 높은 용량과 높은 출력을 필요로 하는 전기 자동차 분야로의 적용이 기대되고 있다.

[그림 7. 하이브리드 캐패시터의 구성]출처: 미래창조과학부

이렇게 ESS가 배터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ESS의 가장 큰 핵심은 남는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마치 우리가 저축을 한 뒤 필요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훨씬 이해하기 쉽다. 태양광과 풍력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는 자연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전력 생산량이 일정하지 않다는 것이 단점인데 ESS와 함께 개발된다면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화석에너지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에너지 흐름이 넘어가고 있는 가운데, 변화의 흐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ESS기술의 개발과 이로 인한 ESS시장의 확대는 불 보듯 뻔 한 상황이다.

삼성SDI ESS(Energy Storage System) – 개요

청정 지구를 위한 우리의 선택, ESS 청정 지구를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요? 에너지산업은 기존 화력, 원자력 발전에서 태양광과 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로 발전 비중을 높이며 변화하고 있습니다. 또, 에너지가 생산 되는 발전 단계부터 전력소비 단계까지 에너지의 효율적 생산과 소비를 위한 노력도 함께 진행 되고 있습 니다. 대량생산과 소비가 아닌 내일을 위한 똑똑하고 친화적인 에너지트렌드, 그 곳 에는 에너지저장 장치가 있습니다. 삼성SDI가 미래에너지 산업패러다임의 변화를 선도합니다.

삼성SDI는 세계 최고의 소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기술을 바탕으로 2010년 리튬 배터리 ESS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 했습니다. 첨단 모바일기기와 전기자동차까지 이어온 세계 최고의 이차전지 안정성 그대로 대형 배터리시스템, ESS에 담았습니다.

삼성SDI의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기술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시장의 다양한 용도별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삼성SDI의 ESS는 긴 수명, 안전성, 그리고 성능의 우수성을 바탕으로 경제성 뿐만 아니라 높은 신뢰성을 자랑합니다. 전력용, 상업용, 가정용, 통신용과 UPS 솔루션으로 kWh 급부터 MWh급까지 삼성SDI는 우리 생활 속에 적용할 수 있는 모든 ESS 솔루션을 공급하며, 친환경 에너지산업을 리드하고 있습니다.

내일을 위한 우리의 선택. 삼성SDI는 전기에너지의 친환경 생산과 똑똑한 소비를 통한 미래 청정에너지 시대를 만들어 갑니다. 전 세계 곳곳에서, 발전소부터 통신기지국, 대형오피스, 가정집까지 우리 생활 전반에서 ESS가 함께 합니다.

EG-TIPS 에너지온실가스 종합정보 플랫폼

ESS의 도입 효과를 3가지의 응용 범위별로 제시하고자 함. 3가지의 응용 범위는 (1) 부하이전 및 최대부하 감소, (2) 주파수 조정, (3) 신재생 발전원 출력 안정화 등임. (1) 부하이전 및 최대부하 감소는 경부하시 충전하고 중부하시 방전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충방전 패턴을 통해 시간대별 요금차이를 활용, 수용가의 에너지 비용 절감효과 등을 거둘 수 있음. (2) 주파수 조정은 규정주파수 초과시 충전하고 미달시 방전하는 방식으로서, 국가의 경우 운영 예비력 추가 확보에 필요한 발전건설회피가 가능하고 발전 배기 오염물질을 감소할 수 있다는 점 등의 이익이 있으며, 사업자 측면에서는 고정출력 운전으로 발전기 종합효율 증대 및 발전출력 제어설비 설치비용 감소 등 여러 이익이 존재함. 또한 (3) 신재생 발전원 출력 안정화는 신재생에너지의 불안정한 출력을 보상하여 평활화하는 방식으로서, ESS의 다목적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운영, 비용 절감 등의 기대효과가 있음.

[ER 궁금증] ESS 쉽게 알아보자

[이코노믹리뷰=김동규 기자] ESS(Energy Storage System)는 영어 뜻 그대로 에너지 저장장치다. 쉽게 생각하면 대형 배터리라고 보면 되는데 일상생활 속에서는 잘 찾아보기 힘들다. 이유는 현재 한국에 설치된 대부분의 ESS는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소 근처나 전력 공급 시스템이 위치한 도심 외곽 지역에 설치돼 있기 때문이다. 들어 봤지만 실제로 보기 힘들었던 ESS에 대해 알아보자.

▲ 삼성SDI ESS 이미지. 출처=삼성SDI

ESS의 구성과 역할

ESS는 크게 4가지 요소로 구성돼 있다. 배터리, PCS, BMS, EMS가 ESS의 4대 구성요소다. PCS는 파워컨디셔닝 시스템으로 교류를 직류로, 직류를 교류로 바꿔주는 장치다. 배터리는 전류를 직류로 저장하지만 송전탑을 흐르는 전류는 교류여서 이를 바꿔주는 장치가 필요한데, 이 역할을 PCS가 하는 것이다.

BMS는 배터리운용시스템으로 ESS에 들어가는 수십에서 수천개의 배터리 셀을 통제하고 각종 안전장치까지 포함된 장치다. EMS는 ESS에 저장돼 있는 전기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이다. ESS의 전반적인 운영 소프트웨어 역할을 한다.

ESS의 가장 큰 용도는 배터리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력이 남을 때 저장하고, 전력이 모자라거나 전기요금이 높은 시간대에 전력을 꺼내 쓰는 것이다. 태양광, 태양열, 풍력, 지열과 같은 신재생에너지의 전력 품질 안정화에도 ESS가 사용된다.

신재생에너지는 날씨 조건에 민감한데 ESS를 활용하면 날씨 조건이나 상황에 따라 고른 전력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의 출력 변동을 최소화해 전력 계통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태양광을 예로 들면 남는 전력을 ESS에 저장한 후 밤이나 흐린 날과 같이 발전을 하지 못하는 날에 전력을 꺼내 쓸 수 있다.

전력 수요 분산도 ESS의 주된 역할 중 하나다. 하루 중 전력 수요는 낮 2~4시 경 피크를 이룬 다음에 밤 시간에 감소한다. 반면 전력 생산은 피크 때의 사용량을 기준으로 이뤄져 밤 시간대에는 전력이 남게 되고 없어진다. 여기에 ESS를 도입하게 되면 밤 시간대의 잉여 전력을 저장했다가 피크 시간대에 활용할 수 있다.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도 ESS가 사용된다. 전기의 품질을 좋게 하려면 송전과 변전 과정에서 주파수가 출렁일 때 전력을 추가로 투입해 일정 수준으로 주파수를 유지해야 한다. ESS가 전력 추가 투입에 역할을 하게 되면 전력 인프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업계에 따르면 ESS를 활용해 주파수 유지를 함으로써 연간 수천억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LG화학 ESS용 배터리 모듈. 이코노믹리뷰 김동규 기자

ESS의 종류는?

ESS의 종류는 크게 전력용,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 가정용으로 구분된다. 전력용은 발전과 송배전 포함한 전력 공급 시스템에 설치되는 ESS를 일컫는다. 송전망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주파수 제어를 통해 전력품질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송전망에 설치된 ESS는 불규칙적으로 공급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의 전력으로 인한 송배전망의 일시적 과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대규모의 전력을 소비하는 공장에 ESS가 설치되면 피크 부하를 억제해 전력 요금도 줄일 수 있게 해 준다.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는 전력 공급이 갑자기 끊겼을 때 사용되는 ESS다.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기업 데이터 센터나 전력 사용에 민감한 IT관련 공장에서 UPS의 중요성과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고 한다.

가정용 ESS는 대부분 가정용 태양광발전 시스템과 연계돼 설치된다. 태양광 패널서 생산된 전력을 ESS에 저장하고 사용한다. 가정용 ESS도 UPS처럼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블룸버그뉴에너지파이낸스(BNEF)에 따르면 세계 ESS시장은 2023년까지 연평균 37%로 성장 속도로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BNEF는 작년 ESS시장 규모가 2018년 9455MWh(메가와트시)에서 2023년 45848MWh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ess종류

다음은 Bing에서 ess종류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SUB) WHY ESS 편 ESS 개념부터 구성까지 5분 톺아보기 (feat.전병칠쌤) [LS ELECTRIC]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SUB) #WHY #ESS #편 #ESS #개념부터 #구성까지 #5분 #톺아보기 #(feat.전병칠쌤) #[LS #ELECTRIC]


YouTube에서 ess종류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SUB) WHY ESS 편 ESS 개념부터 구성까지 5분 톺아보기 (feat.전병칠쌤) [LS ELECTRIC] | ess종류,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