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Home » Ran Sharing 이란 | 스펙트럼 공유 답을 믿으세요

Ran Sharing 이란 | 스펙트럼 공유 답을 믿으세요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ran sharing 이란 – 스펙트럼 공유“?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hu.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hu.taphoamini.com/photos/.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FraunhoferHHIWN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4,622회 및 좋아요 64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ran sharing 이란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스펙트럼 공유 – ran sharing 이란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Spectrum Sharing for LTE-Advanced
FLYER:
http://www.hhi.fraunhofer.de/fileadmin/user_upload/Departments/Wireless_Communication_and_Networks/SpektrumSharin_Flyer.pdf
HOMEPAGE:
The ever increasing demand for higher data rates in
mobile communications has to be met by limited spectrum
resources. Many countries, however, have a multiplicity
of competing mobile network operators. Researchers
from the Fraunhofer Heinrich Hertz Institute
HHI have highlighted the benefits of sharing valuable
resources among mobile operators in LTE-Advanced.
In an over-the-air demo, they show that only a small
amount of information exchange is needed between
the networks to allow dynamic spectrum sharing tailored
to the current traffic situation in each network.

ran sharing 이란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통합공공망 주파수 공유 및 상호연동 요구사항

상호연동이란 국내의 경우와 같이 통합공공망용으 … 3GPP 표준에서의 RAN Sharing 방식은 LTE eNB … [그림 4] Multi-PLMN 기반의 MOCN RAN Sharing 구성.

+ 여기에 표시

Source: www.tta.or.kr

Date Published: 8/2/2021

View: 936

국내 공공망(Public Network)에서의 네트워크 공유 방안

기지국 공유(RAN Sharing) 측면에서 주파수 스. 펙트럼을 활용하는 방안은 복수의 오퍼레이터가 하나의 스펙트. 럼을 공유하는 형태가 있고, 스펙트럼 내에서 오퍼레이터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koreascience.or.kr

Date Published: 11/26/2021

View: 3683

사설 5G망 (Private 5G Networks) 구축 방안 정리 – 7 가지 구축 …

“Private 5G망”이란, … 3안) 사설망과 공중망간에 기지국만 공유 (RAN Sharing). 4안) 사설망과 공중망간에 RAN과 5GC Control Plane을 공유.

+ 여기에 표시

Source: www.netmanias.com

Date Published: 5/27/2022

View: 9523

공공안전통신망의 상호연동 및 주파수간섭 – 블로그

규정에 정의한 “통합안전공공망용 무선설비”란 재난안전통신망, 철도통합무선 … RAN Sharing(무선접속망 공유, Radio Aceess Network)은 네트워크의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blog.naver.com

Date Published: 11/22/2021

View: 9804

RAN –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RAN Radio Access Network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무선 엑세스 망, 무선 접속망. (2021-03-23) ; 무선 액세스 망, RAT, Radio Access Tecnology, 무선접속기술 …

+ 더 읽기

Source: www.ktword.co.kr

Date Published: 9/4/2022

View: 7444

KT, 육ㆍ해ㆍ공 아우르는 공공안전망 기술검증센터 문 연다

RAN-Sharing이란? : 서비스 커버리지 확장에 대한 제약 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사업자 간. 무선 Access 자원을 공유하는 기술.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ekrnews.co.kr

Date Published: 10/30/2021

View: 4368

WO2017052121A1 – 기지국이 ran 공유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RAN 공유(Radio Access Network Sharing)를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기지국은 WT 추가 요청 메시지(WT …

+ 더 읽기

Source: patents.google.com

Date Published: 4/11/2022

View: 7708

통합 공공망(PS-LTE) 전파 혼간섭 모니터링 연구

환경이란 일정한 공간에서 존재하는 전파의 세기, 잡음, 혼신 간섭 등의 … 신망이 하나의 기지국을 공유하는 `기지국 공유(RAN Sharing)`가 동일주파수를 사용하는.

+ 여기를 클릭

Source: www.kca.kr

Date Published: 1/7/2022

View: 7178

재난안전통신망 – 행정안전부

재난안전통신망(PS-LTE) 이란 무엇인가요? … 타 통합공공망(해상망, 철도망) 및 사용망과의 연동기술(RAN-Sharing)을 활용하여 통신 음영지역을 최소화했습니다.

+ 여기에 표시

Source: www.mois.go.kr

Date Published: 5/17/2021

View: 2335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ran sharing 이란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스펙트럼 공유.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스펙트럼 공유
스펙트럼 공유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ran sharing 이란

  • Author: FraunhoferHHIWN
  • Views: 조회수 4,622회
  • Likes: 좋아요 64개
  • Date Published: 2014. 11. 5.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LiCRRK8hJc0

사설 5G망 (Private 5G Networks) 구축 방안 정리 – 7 가지 구축 모델

손장우 (Harrison J. Son) 넷매니아즈 | (주)엔앰씨컨설팅그룹 대표이사 [email protected]

본 블로그에서는 5G 기술을 이용한 기업의 Private 5G망 (사설 5G망) 구축 방안에 관해 정리해 본다.

“Private 5G망”이란,

일반 대중들이 스마트폰 등을 통해 누구나 5G망에 접속/연결하고 인터넷, 전화, VR 스트리밍과 같은 오픈 5G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공중망과 달리,

특정 기업 (예를 들어, 공장, 공항, 항구, 병원, 오피스, 대학, 물류센터, 지자체, 정부 기관, 국정원, 발전소, 등등)에 속한 사람이나 사물의 접속/연결을 허용하고(폐쇄된 연결성), 이들만 필요한 특정 서비스(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사설망이다.

기업의 Private 5G망은 크게 두 가지 방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첫째는 이통사의 공중 5G망과 무관한 독립적인/고립된 사설 5G망(섬)을 구축하는 것이고(기업내 유선LAN이나 와이파이 무선 LAN을 구축하는 것처럼), 이 경우 사설 5G망은 기업이 스스로 구축하거나 이통사가 구축해줄 수도 있다.

둘째는 이통사의 공중 5G망 자원을 공유하여 사설 5G망 구축하는 방안으로 이통사가 구축해준다.

이통사의 공중 5G망과 무관한 독립적인/고립된 사설 5G망(섬) 이통사의 공중 5G망 자원을 공유하여 사설 5G망 구축 사설망과 공중망의 분리 물리적 분리: 섬마다 Full Set가 구축됨 논리적 분리 (Network Slicing, MEC Data Plane)와 물리적 분리의 병행 사설망의 형태 기업 부지/건물내 물리적 독립망 구축 (마치 기업내 유선 LAN이나, 무선 LAN처럼) 논리적으로 구분된 사설망 (마치 MPLS VPN처럼) 사설망의 지리적 범위 (기업트래픽의 유통범위) 기업 부지/건물내 기업 부지/건물내와 이통사의 Edge/Central Cloud 기업내 5G 장비 5G RAN, 5G Core, UDM, MEC 5G RAN (또는 5G RAN의 일부), 5G Core (선택적), UDM (선택적), MEC (선택적) 구축 주체 | 주파수 기업 자가 구축 | Unlicensed/Shared Freq. 이통사 구축 | Licensed/Unlicensed /Shared Freq. 이통사 구축 | Licensed Freq. Data Privacy and Security ***** ** 기업의 부지/건물로 광케이블 포설 없어도 됨 (즉각적 사설 5G망 구축 가능) 광케이블 포설해야 (이동사망에서 해당 건물로 광케이블이 포설되어 있지 않은 경우, 광까는 데 한참 걸림) 이통사망 장애시 영향 사설망에 없음 사설망 통신 두절 기업별 요구사항 반영의 용이성 ****** ** 구축비용 기업의 자가 구축시 기업의 투자 비용 부담 이통사가 구축시: 이통사의 투자 비용임 * 물리적으로 별도의 사설 5G망을 구축해주므로, 사설망 구축 비용이 가장 큼 이통사가 기업내 구축해줌 (이통사의 투자 비용임) * 이통사의 공중 5G 자원을 공유하여 사설망을 구축해주므로, 사설망 구축 비용 절감 이용 요금 (기업의 지출) 자가 구축시: 이용 요금을 안 내도 된다 이통사 구축시: 이용 요금을 매달 내야 이용 요금을 매달 내야 운영 인력 자가 구축시, 5G 운영 인력을 기업이 확보해야 이통사 구축시: 이통사가 운영 대행 이통사가 운영 대행 Private 5G망 구조들 1안) 기업 자가 구축형 5G LAN 2안) 이통사가 구축해주는 5G LAN 3안) 사설망과 공중망간에 기지국만 공유 (RAN Sharing) 4안) 사설망과 공중망간에 RAN과 5GC Control Plane을 공유 5안) 사설망과 공중망간에 RAN and Core Sharing (End-to-End Network Slicing) 6안) N3 LBO (Local Breakout) 7안) F1 LBO (Local Breakout)

1안) 기업이 자가 구축하는 고립된 5G LAN (Local 5G Frequency, Full Private, No-Sharing)

2안) 이통사가 구축해주는 고립된 5G LAN (Licensed Frequency, Full Private, No-Sharing)

3안) 사설망과 공중망간에 기지국만 공유 (RAN Sharing)

4안) 사설망과 공중망간에 RAN과 5GC Control Plane을 공유 (RAN and Control Plane Sharing)

5안) 사설망과 공중망간에 RAN and Core Sharing (End-to-End Network Slicing)

6안) N3 LBO (Local Breakout): SK Telecom 케이스

7안) F1 LBO (Local Breakout): KT 케이스

1안) 기업이 자가 구축하는 5G LAN (Local 5G Frequency, Full Private, No-Sharing)

기업내(부지/건물)에 5G Network Full Set ( gNB , UPF , 5GC CP , UDM , MEC )를 구축한다. 기업내의 5G 주파수는 이통사의 Licensed 주파수가 아닌 Local 5G Freq.이며, 이 사설용 주파수가 할당/정의되어 있는 나라의 경우에 구축 가능한 구조이다(현재, 일본, 독일, 미국 등의 선진국은 가능하다).

누가 구축하나: 일반적으로 기업이 스스로 구축하는 모델이나, 각 국의 정부 정책에 따라 이통사를 포함한 제 3자가 구축 운영을 대행해줄 수도 있다.

기업들이 Local 5G 주파수로 5G LAN을 스스로 구축하여 기존의 유선 LAN, 무선 LAN의 갑갑함 (유선 배선 공사의 갑갑함, 무선 LAN의 짧은 거리와 망안정성, 보안에 대한 갑갑함 등)에서 벗어날 수 있고 5G의 대용량, 초저지연, 초연결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기업용 응용들을 새로이 만들어 나거나 기존의 응용들을 최적화시킬 수 있게 된다.

장점: 기업 공간내 독립적인 5G 망 Full Set가 다 있으므로,

보안 (Privacy and Security): 사설망이 공중망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완벽한 데이터 보안 제공 (사설망 단말에서 발생한 데이타 트래픽, 사설망 단말의 가입정보와 운영 정보, 이 모두가 기업내에서만 유통 및 저장되며 외부 유출이 않됨!)

초저지연 (Ultra-Low-Latency): 단말과 응용 서버간의 네트워크 지연이 수ms이내이어서 URLLC 응용 서비스들을 구현할 수 있다.

우리 건물에 이통사의 광케이블 이 들어와 있지 않아도: 이통사 에지로의 백홀링크가 필요없다. 사설 5G망 구축을 즉각적으로 할 수 있다.

이통사망 장애가 발생해도: 이통사 국사가 불타도, 이와 무관히 사내 5G 사설망은 잘 돌아간다.

단점:

구축 비용: 일반 기업이 5G망 Full Set를 자기 부담으로 사서 구축하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 규모가 작은 기업일 수록

운영 인력: 기존의 사설 LAN (유선 이더넷, 무선 와이파이) 운영팀이 5G망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노하우가 없다. 마땅한 인재를 확보해야!

[관련글] 아래 글들을 읽어보세요.

2안) 이통사가 구축해주는 5G LAN (Licensed Frequency, Full Private, No-Sharing)

망구조/모델은 1안과 동일하다. 이통사가 자신의 Licensed Freq.로 기업에 5G LAN을 구축해주고 운영 대행해주는 것이 다르며, Local 5G 주파수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나라들에서도 독립형 5G LAN을 구축할 수 있다.

장점: 1안과 같다.

단점: 이통사의 투자 비용이 크다(기업에 5G Full Set를 넣어줘야 함).

[관련글]

3안) 사설망과 공중망간에 기지국만 공유 (RAN Sharing)

UPF , 5GC CP , UDM , MEC 는 기업내 별도로 구축되어 공중망과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기업내 기지국(gNB)만 사설망과 공중망간에 공유된다(RAN Sharing: 논리적 분리).

☺ Private Slice (사설망)에 속한 단말들의 데이타 트래픽(■)은 기업내 전용 UPF 로 전달되며, Public Slice(공중망)에 속한 단말들의 데이타 트래픽(■)은 이통사의 에지 클라우드에 있는 UPF 로 전달된다. 즉, 기업내 기기 제어 데이타, 사내 비디오 데이타 등과 같은 사설망 트래픽은 기업내에서만 머무르며, 전화와 인터넷 같은 공중망 서비스 트래픽은 이통사망으로 전달된다. 기지국이 물리적이 아니고 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RAN 레벨에서 사설망내 데이터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거의 어려워 기업내 사설망 데이터 트래픽 보안도 역시 확실하다고 볼 수 있다.

☺ 기업 전용 사설 5GC CP 과 UDM 이 기업내 따로 있어, 기업내 사설망 단말들의 가입정보와 운영 정보가 사내에 저장/관리되어 기업 외부(이통사망, 인터넷)로 누출되지 않는다.

☺ 기업내에 UPF 와 MEC 가 위치하여 단말-gNB-UPF-MEC간에 초저지연 통신을 제공해주어 자율주행, 실시간 로봇/드론 제어와 같은 URLLC 응용을 이용하는 기업에게 적합한 구조이다.

이통사의 투자 비용이 크다.

[관련글]

4안) 사설망과 공중망간에 RAN과 5GC Control Plane을 공유

기업내에는 해당 기업 전용 UPF 와 MEC 가 구축된다. 기업내 기지국(gNB)과 이통사망내 5GC CP과 UDM이 사설망과 공중망간에 공유된다(RAN and Control Plane Sharing: 논리적 분리). 사설망과 공중망간에 gNB, 5GC CP, UDM은 논리적으로 분리되며, UPF와 MEC는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 Private Slice(사설망)에 속한 단말들의 데이타 트래픽(■)은 기업내 전용 UPF 로 전달되며, Public Slice(공중망)에 속한 단말들의 데이타 트래픽(■)은 이통사의 에지에 있는 UPF 로 전달된다. 즉, 기업내 기기 제어 데이타, 사내 비디오 데이타 등과 같은 사설망 트래픽은 기업내에서만 머무르며, 전화와 인터넷 같은 공중망 서비스 트래픽은 이통사망으로 전달된다. 3) RAN Sharing과 마찬가지로 기업내 데이터 트래픽 보안도 역시 확실하다고 볼 수 있다.

사설망 단말과 공중망 단말에 대한 Control Plane 기능(인증, Mobility 등)은 이통사 에지 클라우드내의 5GC CP과 UDM이 수행한다. 즉, 기업내 사설망 단말, gNB, UPF를 공중망에서 연동/관리(N2, N4 인터페이스)한다. 기업내 사설망 단말의 운영 정보와 가입정보가 사내가 아닌 이통사 서버에 저장되는 것이 기업에겐 우려가 될 수 있다.

☺ 기업내에 UPF 와 MEC 가 위치하여 단말-gNB-UPF-MEC간에 초저지연 통신을 제공해주어 자율주행, 실시간 로봇/드론 제어와 같은 URLLC 응용을 이용하는 기업에게 적합한 구조이다.

이통사의 투자 비용이 크다.

[관련글]

5안) 사설망과 공중망간에 RAN and Core Sharing (End-to-End Network Slicing)

기업내에는 gNB만 구축하고 UPF와 MEC는 이통사 에지 클라우드에만 존재하는 경우이다. 사설망과 공중망이 “5G RAN과 Core” 전체 (gNB, UPF, 5GC, MEC, UDM)을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공유한다(End-to-End Network Slicing임).

UPF와 MEC가 기업내 위치하는 3, 4안과 달리, 이 구조에서는 기업내에는 gNB 밖에 없다. 따라서, 기업내 사설망 5G 단말과 기업내 인트라넷(LAN) 단말간의 기업내 트래픽 유통 경로가 없어, 이통사의 에지 클라우드에 있는 UPF까지 올라갔다가 전용회선 등을 통해 다시 기업내로 내려와 LAN 단말과 통신을 해야 한다. 또한 기업내 5G 단말에게 5G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MEC가 저 멀리 이통사의 에지 클라우드에 있다. 이 구조에서는 기업과 이통사 에지 클라우드(UPF, MEC)간의 거리에 따라 네트워크 지연(RTT)이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사설망 단말의 트래픽이 기업을 벗어나 이통사망까지 전달되므로 데이타 트래픽 보안에 걱정이 생긴다. 이통사가 자사 에지 클라우드에 있는 UPF와 MEC를 슬라이싱하여 우리 사설망 트래픽이 공중망 트래픽, 타사의 사설망 트래픽과 분리가 되도록 잘 하겠지만, 기업내 CCTV 비디오 트래픽 이 기업 외부로 누출이 된다는 사실 때문에 소심한 CEO들은 우려가 깊을 것이다.

4안과 마찬가지로 기업내 사설망 단말의 운영 정보와 가입정보가 사내가 아닌 이통사 서버에 저장되는 것은 기업으로서는 불안하다.

☺ 2, 3, 4안에 비해 이통사의 투자 비용이 작다.

이 구조는 기업내 UPF나 5GC CP 등을 구축해주어야 하는 2, 3, 4안에 비해서 이통사의 기업내 사설망 구축을 위한 투자 비용은 가장 적게 들겠지만, 기업으로서는 보안(사설망 단말에서 발생한 데이타 트래픽, 사설망 단말의 가입정보와 운영 정보)과 지연(5G 사설망 단말과 응용 서버, 사설망내 인트라넷/LAN간 통신시 네트워크 지연)의 측면에서 우려가 있는 구조이다.

[관련글]

6안) N3 LBO (Local Breakout): SK Telecom 케이스

(a)에 보이듯이 5안처럼 기업내에 gNB를 구축한다. CCTV 카메라든 폰이든, 단말이 접속하면 gNB와 UPF간에 N3 GTP Tunnel이 생성된다. 이 단말들은 모두 공중망 단말들이다.

(b)에 보이듯이 기업내에 MEC Data Plane ( : non-3GPP 장비임. ETSI MEC)을 도입하고 MEC(MEC Applications)를 도입한다. 이통사의 Orchestrator내의 MEP (Mobile Edge Platform)가 MEC DP에 Mp2 인터페이스로 Traffic Rule을 보낸다(Destination IP가 Local Network-사내 5G단말, 사내 유선 LAN 단말, 사내 MEC 응용 서버-이면 Local Breakout시켜라).

MEC DP는 gNB에서 올라오는 모든 GTP Tunnel들의 패킷들을 까서(GTP Decap) Destination IP를 보고 Local Traffic이면 User IP 패킷을 사내망으로 라우팅시키고, 공중망 트래픽이면 다시 GTP Encap하여 이통사의 에지에 있는 UPF로 전달한다.

이렇게 하면 (ETSI MEC의 Bump in the Wire 방식임), 3GPP 표준 방식은 아니지만 사설망과 공중만의 분리가 가능해진다.

ETSI MEC의 Bump in the Wire 방식: ETSI, MEC Deployments in 4G and Evolution towards 5G

☺ 5안에 비해 사설망 트래픽이 이통사망으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3, 4안처럼 기업내 사설망 데이터 트래픽 보안도 역시 확실하다고 볼 수 있다.

☺ 3, 4안과 달리 비싼 UPF를 기업내 넣주지 않고 저가의 MEC DP(실체는 일종의 SDN/P4 스위치)를 넣어주므로 사설망 구축 비용이 매우 절감된다(UPF가 5G 표준상의 장비중에 가장 비싸다).

☺ 또한 MEC도 기업내 존재하고 MEC DP가 LBO시켜준 트래픽을 처리해주므로 초저지연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만, MEC DP가 UPF가 아니므로 사설망 단말의 이동성 관리, 과금은 할 수 없다(물론 MEC DP는 이통사가 스펙을 정해 만들면 되므로 이러한 기능들의 일부를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4, 5안과 마찬가지로 기업내 사설망 단말의 운영 정보와 가입정보가 사내가 아닌 이통사 서버에 저장되는 것은 기업으로서는 불안하다.

[관련글]

7안) F1 LBO (Local Breakout): KT 케이스

6안과 동일하나, 기업내 RU/DU만 구축해주고 CU는 이통사 에지 클라우드에 두는 점과 N3 인터페이스가 아닌 F1 인터페이스에서 사설망 트래픽을 Local Breakout시키는 것이 다르다.

기업내 RU/DU와 저가의 MEC DP만 넣어주어 사설망 구축 투자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데이타 트래픽 보안과 초저지연 응용 지원을 해줄 수 있는 구조이다.

6안처럼 사설망 단말의 이동성 관리, 과금 이슈와 사설망 단말의 운영 및 가입정보가 기업 외부에서 관리된다는 이슈는 동일하다.

마치며

어떤 분야간에 모든 선택의 상황에서는 항상 복수개의 안이 존재한다. 1차적으로는 가장 예쁘고 탐나는 안을 먼저 갖고 싶어 한다. 하지만 최종 선택 단계에서 어느 안을 선택할 것인가는 “내가 무엇이 어디까지 필요하지?”와 “내가 가진 돈이 얼마이지”로 결정된다.

일상 생활의 예로, 차를 사려한다고 하자. 가장 좋은 차는 페라리이다. 하지만, 실제 차를 사려할 때는 내가 가진 돈과 내가 원하는 차의 기능/유지비를 보고 적당한 차를 선택하여 산다. 시장에 그 많은 차들이 생존하여 있는 이유이다.

마찬가지로 위에서 기술한 Private 5G 망의 구조들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구조가 모든 상황에 최적인 것은 아니다. 각 기업이 원하는 요구사항과 구축/운영 예산에 따라 자신에게 최적화된 구조를 선택하면 된다.

공공안전통신망의 상호연동 및 주파수간섭

정보통신 기술사 공공안전통신망의 상호연동 및 주파수간섭 오디오쿡 ・ URL 복사 본문 기타 기능 공유하기 ​ ​ ​ 1. 추진경과 ​ ❏ 공공안전통신망은 경찰, 소방, 해경, 철도 등 공공분야 종사자들이 국민안전, 재해예방, 재난구호를 목적으로 이용하는 무선통신망을 말함 ​ ❏ 다양한 유형의 재해재난 및 각종 대형사고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통합공공안전통신망 구축 ​ ❏ 2014년 7월 LTE기술을 기반으로 재난, 해상, 철도분야를 각각 독립적인 망으로 구축하기로 하고, 같은 해 11월 700㎒대역의 주파수를 할당하였음 ​ ❏ LTE는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기술로서, 사고현장을 영상으로 실시간 전송하면서 체계적인 구조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 2018년부터 행정안전부의 재난안전통신망(Public Safety-LTE), 국토교통부의 철도통합무선통신망(LTE-Railway), 해양수산부의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 (LTE-Maritime) 구축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 ​ ​ ​ 2. 공공안전통신망 무선설비 기술기준 ​ ❏ 공공안전통신망용 무선설비는 간이무선국, 우주국, 지구국의 무선설비 및 전파탐지용 무선설비 등 그 밖의 업무용 무선설비의 기술기준에 규정 ​ ❏ 규정에 정의한 “통합안전공공망용 무선설비”란 재난안전통신망, 철도통합무선통신망 및 해상초고속 무선통신망 등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통합공공망 전용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국용 무선설비를 말함. ​ ❏ 공공안전통신망용 주파수는 700㎒대역에서 20㎒폭(상향:718~728㎒, 하향:773~783㎒)의 주파수를 사용 [그림] 국내 통합공공망용 주파수 분배 현황 ​ ❏ 통신방식은 단말기 방향은 직교주파수분할 다중접속방식(OFDMA)이고, 기지국 방향은 단일반송파 주파수분할 다중접속방식(SC-FDMA)인 주파수분할 복신방식 임 ​ ​ ​ 3. 행안부 재난안전통신망((Public Safety–LTE) ​ ❏ 경찰, 소방관 등 비상시 관련자들의 의사소통 및 구조작업을 신속하게 지원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으로 기술방식을 PS-LTE(Public Safety-LTE)로 결정 ​ ❏ 재해재난 및 안전사고 발생 시 국가의 초기대응역량을 강화하고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신속한 대처와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통신망 인프라 ​ ❏ 대규모 재난발생 시 경찰, 소방, 해경, 지자체 등 관련 대응기관이 하나의 통신망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상황파악 및 효과적인 현장대응 가능 ​ ❏ 전국을 3개 권역으로 분할하여 통신사업자를 선정하고 3단계로 구분하여 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2020년 1단계(대전과 세종, 강원, 충청지역) 구축을 완료하고 서비스 개시 ​ ❏ 재난안전통신망(PS-LTE)은 경찰, 소방, 지자체, 해경, 군, 전기, 가스, 의료의 8대 분야 333개 기관으로 총 24만명 활용 예상 [그림] 재난안전통신망(PS-LTE) 개념도 ​ ​ ​ 4.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LTE-Maritime) ​ ❏ 최대 100km 해역을 항해하는 선박을 대상으로 LTE기반의 통신을 제공하며, 한국형 e-Navigation 서비스 및 해상재난안전 대응지원 등의 해상정보활동의 인프라 ​ ❏ 한국형 e-Navigation 서비스는 전자해도기반 선박항법시스템과 선박안전운항 서비스를 위한 통신인프라 수단으로 LTE-M 규격을 채택 ​ ❏ LTE-M은 해상에서 고속으로 데이터통신을 가능케 하는 네트워크로서 육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속데이터 통신 혜택을 누리지 못한 인근해역 선박도 LTE통신 서비스 이용 가능 ​ ​ ​ 5. 철도 통합무선통신망(LTE-Railway) [그림] LTE-R 철도 통합무선통신망 개념도 ❏ 철도에 있어서 통신 및 열차제어는 승객의 안전보장과 운송수단의 정상적이고 효율적인 운행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요소임 ​ ❏ 철도통신시스템의 핵심적인 역할은 관제센터와 운행 중인 열차간 데이터전송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고 열차의 이동권한을 안전하게 전달하는 것 ​ ❏ 기존 800MHz/TRS(ASTRO, TETRA) 및 140MHz/VHF 방식을, 철도의 특성을 고려하여 노선 간 연계운행이 가능하도록 연차별로 추진하되, 2027년까지 모든 국가철도노선을 LTE-R로 전환완료 목표로 추진 중 [그림] LTE 기반 철도통신시스템 참조 모델 ​ ❏ LTE-R은 신호변조, 셀크기, 데이터속도 및 전송방법, 핸드오버 등 여러 통신성능에서 상당히 강한 특징을 보여 열차운행과 관련하여 요구되는 각종 정보의 송수신, 기존의 통신서비스 지원, 신규 통신서비스 도입 및 구축에 유리 ​ ❏ LTE-R이 제공하는 철도통신서비스로는 열차제어서비스, 열차운행/유지관리 서비스, 실시간열차/설비 감시서비스, 실시간 열차안전서비스, 승객서비스, 화물열차 정보서비스, 건널목 정보서비스 등이 있음 ​ [그림] 철도통합무선통신망(LTE-R)구성도 ​ ​ ​ 6. 공공안전망 상호연동 ​ ❏ 재난(PS-LTE), 철도(LTE-R), 해상(LTE-M) 등 3개 공공안전망을 독립적으로 구축하되, 동일대역 주파수를 공유함으로써 일부 중첩지역에서 발생하는 간섭문제와 타망의 연결보장을 위한 상호연동이 필수 ​ ❏ 3개 공공안전망이 동일지역을 서비스하는 경우 상호간 간섭우려가 있으므로 망 설계 시 기지국 간 충분한 이격거리를 두거나 상대방 기지국의 신호유입 최소화 강구 필요 ​ ❏ 또한 서비스 중복지역에 대한 간섭최소화와 중복구축에 따른 영향을 줄이면서 서비스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RAN Sharing 기술 도입, 적용 필요 [그림] A, B 공공망의 네트워크 상호 연동 참조모델 ​ ❏ 상호연동이란 타 공공망 네트워크 단말이 어느 지역에 위치하더라도 통합공공망 주파수 기지국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을 상호 보장하는 것임 ​ ❏ 이를 위해서는 단말과 기지국 간 상호연동, 타 공공망 기지국 간 상호연동, 기지국과 코어망 간 상호연동의 경우를 고려해야 함 ​ ​ ​ 7. 주파수간섭 해소를 위한 RAN Sharing ​ ❏ RAN Sharing(무선접속망 공유, Radio Aceess Network)은 네트워크의 접속망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부지, 안테나, 철탑뿐만 아니라 무선접속설비까지 공유하는 방식 [그림] RAN Sharing, 무선접속망 공유 개념 ​ ❏ 3GPP 표준에서의 공유방식은 기지국을 수용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개별 또는 공유하느냐에 따라 MOCN(Multi-Operator Core Network)과 GWCN(GateWay Core Network)으로 구분 [그림] RAN Sharing 개념도 ​ ❏ 두 방식의 가장 큰 차이점은 코어네트워크 요소인 MME 공유 여부이며, MOCN은 연동 인터페이스가 간단하고 장애처리와 같은 망 운영관점에서 유리한 측면이 있음 ​ ❏ 동일한 액세스 네트워크(RAN)를 공유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존재하고 각각의 오퍼레이터에 의하여 운용되는 코어 네트워크가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 공공망 ID인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통하여 구분 ​ ❏ MOCN은 공유하는 RAN에 각각의 단말(UE)이 접속하는 경우 해당 PLMN을 확인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는 구조임 [그림] Multi PLMN 기반의 MOCN RAN Sharing 구성 ​ ❏ 주파수대역을 공동 사용하는 3개 공공안전망을 기관별로 구축하고 있으므로, LTE기반 공공망에서의 효과적인 RAN Sharing 방안을 결정해야 함 ​ ❏ 표준에서는 MOCN방식을 기본으로 채택하고 향후 예외적인 경우를 고려하여 GWCN방식은 선택사항으로 권고하고 있음 인쇄

KT, 육ㆍ해ㆍ공 아우르는 공공안전망 기술검증센터 문 연다

공공안전망 산업 생태계에 최적화된 기술검증센터가 문을 열었다!”

KT(회장 황창규, www.kt.com)는 재난안전망(PS-LTE), 철도통합무선망(LTE-R), 해상무선통신망(LTE-M)을 통합적으로 연구, 개발, 검증할 수 있는 ‘공공안전망 기술검증센터’를 구축하고 개소식을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KT ‘공공안전망 기술검증센터(서울 서초구 우면동)’는 공공안전망(재난안전망, 철도망, 해상망 등)의 통합ㆍ연동 기술을 검증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기술검증센터다. 지금까지 재난안전망, 철도망, 해상망 등 각각의 테스트베드는 있었지만 통합적으로 망을 연동하고 호환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검증센터는 없었다.

KT는 2015년 10월 재난안전통신망 시범사업 수주를 시작으로 원주~강릉 철도및 공항철도의 철도통합무선망(LTE-R) 구축사업, 해상무선통신망(LTE-M) 시범사업을 진행하는 등 공공안전망 모든 영역 구축하고 있는 유일한 기업으로 대한민국 공공안전망 사업을 선도하고 있다. 이에 공공안전망 관련 모든 통신망과 단말, 장비를 통합, 연동하고 충분한 사전 검증이 필요함을 인지하고 본 센터를 개소하기에 이르렀다.

‘공공안전망 기술검증센터’는 공공안전망별 핵심 기술들을 ‘한 곳’에서 모두 시험, 검증할 수 있는 국내 첫 테스트베드다. 재난안전망, 철도망, 해상망의 코어 시스템과 기지국, 단말기, 계측기 등 공공안전망 핵심 장비들이 실제 환경과 100% 동일하게 구축되어 있다.

주파수 대역도 700MHz 무선 시험 환경을 제공한다. 이로써 서비스 요구사항에 대한 검증은 물론, 망간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예측하고 RAN Sharing과 같은 효율화 기술을 검증, 적용하고 솔루션 개발 등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기업에서 직접 개발한 재난망 장비 및 특화 서비스를 본 센터에서 직접 시험해볼 수 있도록 센터를 개방했다. 공공안전망 사업을 준비하는 기관과 중소ㆍ벤처 기업들을 위한 공공안전망 세미나와 교육도 진행한다. KT는 이를 통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하여 특화 기술 및 솔루션을 개발하고, 글로벌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여 공공안전망 생태계를 육성하는 모범 사례를 만들어간다는 계획이다.

KT 네트워크연구기술지원단장 김영식 상무는 “본 기술검증센터는 서비스플랫폼, 코어망, 망 연동 장비, 기지국 등 총 43식의 장비를 보유하고 있어 고객 요구사항에 대해 신속한 개발과 검증은 물론 맞춤형 솔루션 제공까지 가능하다” 며, “KT가 공공안전망 관련 글로벌 혁신 기술을 지원하며 선도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국민안전처 재난안전망추진단 심진홍 단장은 “재난안전망 시범사업이 짧은 기간에도 성공적으로 구축될 수 있었던 기반에는 테스트베드가 있었다”고 밝히며 “KT의 공공안전망 기술검증센터가 재난안전망과 철도망, 해상망 간 상호협력의 기술적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KT 기업사업부문장 이문환 부사장은 “KT 공공안전망 기술검증센터는 단지 KT의 시설이 아닌 KT 고객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상생의 공간으로 준비했다”며 “본 기술검증센터가 국내 기술의 세계진출 교두보로 활용되어 사업을 준비하는 정부 기관, 통신사업자, 장비ž솔루션 기업 모두에게 윈-윈 할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오늘 오후 2시에 진행되는 KT 공공안전망 기술검증센터 개소식에는 KT 오성목 네트워크부문장, 이문환 기업사업부문장, 김영식 네트워크연구기술지원단장을 비롯해 국민안전처, 해양수산부, 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공사, e-Navigation 사업단 등 육ㆍ해ㆍ공을 아우르는 외부 인사들이 참석하기로 해 KT 공공안전망 기술검증센터 오픈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사진 1~2] KT 네트워크부문장 오성목 사장이 환영 인사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3] 국민안전처 재난안전망추진단 심진홍 단장이 축사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4] KT 공공안전망 기술검증센터 개소식 제막식 모습

(사진 왼쪽부터) KT 기업사업컨설팅본부장 박윤영 전무, 이한진 e-Navi 사업단장, 인하대학교 장경희 교수, KT 네트워크부문장 오성목 사장, 국민안전처 재난안전망추진단 심진홍 단장, KT 기업사업부문장 이문환 부사장, 공항철도 이철호 처장, KT 네트워크연구기술지원단장 김영식 상무

[사진5] KT 무선액세스망기술지원담당 박평수 상무가 공공안전망 기술검증센터 시설을 설명하고 있는 모습

※ 추가 설명

공공안전망 기술검증센터

ㆍ센터 구성

: 홍보존(PS-LTE, LTE-R, LTE-M 사업현황)

: 종합연동시험실(공공안전망 구성장비의 개발 및 검증)

: 교육실(공공안전망 장비교육 및 실습)

: 단말성능시험실(단말 테스트 간섭 시험)

ㆍ활용

: PS-LTE 서비스 요구사항 검증 및 차별화 요소 발굴

: 공공안전망간(PS-LTE, LTE-R, LTE-M) 간섭시험 확인 및 통합 테스트 수행

: 공공안전망 및 PS-LTE 사업 홍보 전지

: 중소기업 기술검증 센터

RAN-Sharing이란?

: 서비스 커버리지 확장에 대한 제약 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사업자 간

무선 Access 자원을 공유하는 기술

WO2017052121A1 – 기지국이 ran 공유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로, IEEE 802.16e에 기반한 시스템과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제공한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LTE-A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LTE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다. 통신 네트워크는 IMS 및 패킷 데이터를 통한 인터넷 전화(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와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넓게 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LTE 시스템 구조는 하나 이상의 단말(UE; 10),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및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한다. 단말(10)은 사용자에 의해 움직이는 통신 장치이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E-UTRAN은 하나 이상의 eNB(evolved node-B; 20)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셀에 복수의 단말이 존재할 수 있다. eNB(20)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의 끝 지점을 단말에게 제공한다. eNB(20)는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eNB(20)는 셀마다 배치될 수 있다. eNB(20)의 커버리지 내에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셀은 1.25, 2.5, 5, 10 및 20 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를 가지도록 설정되어 여러 단말에게 하향링크(DL; downlink) 또는 상향링크(UL; uplink)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DL은 eNB(20)에서 단말(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UL은 단말(10)에서 eNB(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DL에서 송신기는 eNB(2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일 수 있다. UL에서 송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eNB(20)의 일부일 수 있다.

EPC는 제어 평면의 기능을 담당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사용자 평면의 기능을 담당하는 S-GW(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SAE) gateway)를 포함할 수 있다. MME/S-GW(30)은 네트워크의 끝에 위치할 수 있으며,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MME는 단말의 접속 정보나 단말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며, 이러한 정보는 주로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사용될 수 있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MME/S-GW(30)은 세션의 종단점과 이동성 관리 기능을 단말(10)에 제공한다. EPC는 PDN(packet data network)-GW(gatewa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DN-GW는 PD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MME는 eNB(20)로의 NAS(non-access stratum) 시그널링, NAS 시그널링 보안, AS(access stratum) 보안 제어,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간의 이동성을 위한 inter CN(core network) 노드 시그널링, 아이들 모드 단말 도달 가능성(페이징 재전송의 제어 및 실행 포함), 트래킹 영역 리스트 관리(아이들 모드 및 활성화 모드인 단말을 위해), P-GW 및 S-GW 선택, MME 변경과 함께 핸드오버를 위한 MME 선택, 2G 또는 3G 3GPP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선택, 로밍, 인증, 전용 베이러 설정을 포함한 베어러 관리 기능, PWS(public warning system: 지진/쓰나미 경보 시스템(ETWS) 및 상용 모바일 경보 시스템(CMAS) 포함) 메시지 전송 지원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S-GW 호스트는 사용자 별 기반 패킷 필터링(예를 들면, 심층 패킷 검사를 통해), 합법적 차단, 단말 IP(internet protocol) 주소 할당, DL에서 전송 레벨 패킹 마킹, UL/DL 서비스 레벨 과금, 게이팅 및 등급 강제, APN-AMBR에 기반한 DL 등급 강제의 갖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명확성을 위해 MME/S-GW(30)은 “게이트웨이”로 단순히 표현하며, 이는 MME 및 S-GW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트래픽 전송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단말(10) 및 eNB(20)은 Uu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eNB(20)들은 X2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호간 연결될 수 있다. 이웃한 eNB(20)들은 X2 인터페이스에 의한 망형 네트워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eNB(20)들은 S1 인터페이스에 의해 EPC와 연결될 수 있다. eNB(20)들은 S1-MME 인터페이스에 의해 EPC와 연결될 수 있으며, S1-U 인터페이스에 의해 S-GW와 연결될 수 있다. S1 인터페이스는 eNB(20)와 MME/S-GW(30) 간에 다수-대-다수 관계(many-to-many-relation)를 지원한다.

eNB(20)은 게이트웨이(30)에 대한 선택, RRC(radio resource control) 활성(activation) 동안 게이트웨이(30)로의 라우팅(routing),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BCH(broadcast channel) 정보의 스케줄링 및 전송, UL 및 DL에서 단말(10)들로의 자원의 동적 할당, eNB 측정의 설정(configuration) 및 제공(provisioning), 무선 베어러 제어, RAC(radio admission control) 및 LTE 활성 상태에서 연결 이동성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언급처럼 게이트웨이(30)는 EPC에서 페이징 개시, LTE 아이들 상태 관리, 사용자 평면의 암호화, SAE 베어러 제어 및 NAS 시그널링의 암호화와 무결성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제어 평면에 대한 LTE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도 3은 사용자 평면에 대한 LTE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단말과 E-UTRAN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은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제1 계층), L2(제2 계층) 및 L3(제3 계층)으로 구분된다. 단말과 E-UTRAN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으로 구분될 수 있고, 수직적으로는 제어 신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인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인 사용자 평면(user plan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은 단말과 E-UTRAN에서 쌍(pair)으로 존재할 수 있고, 이는 Uu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할 수 있다.

물리 계층(PHY; physical layer)은 L1에 속한다. 물리 계층은 물리 채널을 통해 상위 계층에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물리 계층은 상위 계층인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과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된다. 물리 채널은 전송 채널에 맵핑 된다. 전송 채널을 통해 MAC 계층과 물리 계층 사이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물리 계층 사이, 즉 송신기의 물리 계층과 수신기의 물리 계층 간에 데이터는 물리 채널을 통해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물리 계층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될 수 있고,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물리 계층은 몇몇의 물리 제어 채널(physical control channel)을 사용한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은 PCH(paging channel) 및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DL-SCH와 관련되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에 대하여 단말에 보고한다. PDCCH는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 할당에 관하여 단말에 보고하기 위해 상향링크 그랜트를 나를 수 있다.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은 PDCCH를 위해 사용되는 OFDM 심벌의 개수를 단말에 알려주며, 모든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된다.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은 UL-SCH 전송에 대한 HARQ ACK(acknowledgement)/NACK(non-acknowledgement) 신호를 나른다.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은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HARQ ACK/NACK, 스케줄링 요청 및 CQI와 같은 UL 제어 정보를 나른다.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은 UL-SCH(uplink shared channel)를 나른다.

물리 채널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subframe)들과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심벌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자원 블록은 복수의 심벌들과 복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된다. 또한, 각 서브프레임은 PDCCH를 위하여 해당 서브프레임의 특정 심벌들의 특정 부반송파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심벌이 PDCCH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PDCCH는 PRB(physical resource block) 및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s)와 같이 동적으로 할당된 자원을 나를 수 있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 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1개의 서브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하나의 길이는 1ms일 수 있다.

전송채널은 채널이 공유되는지 아닌지에 따라 공통 전송 채널 및 전용 전송 채널로 분류된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DL 전송 채널(DL transport channel)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DL-SCH 등을 포함한다. DL-SCH는 HARQ, 변조, 코딩 및 전송 전력의 변화에 의한 동적 링크 적응 및 동적/반정적 자원 할당을 지원한다. 또한, DL-SCH는 셀 전체에 브로드캐스트 및 빔포밍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 정보 블록들을 나른다. 모든 시스템 정보 블록들은 같은 주기로 전송될 수 있다.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의 트래픽 또는 제어 신호는 MCH(multicast channel)를 통해 전송된다.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UL 전송 채널은 초기 제어 메시지(initial control message)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UL-SCH 등을 포함한다. UL-SCH는 HARQ 및 전송 전력 및 잠재적인 변조 및 코딩의 변화에 의한 동적 링크 적응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UL-SCH는 빔포밍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RACH는 일반적으로 셀로의 초기 접속에 사용된다.

L2에 속하는 MAC 계층은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 계층인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MAC 계층은 복수의 논리 채널에서 복수의 전송 채널로의 맵핑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MAC 계층은 복수의 논리 채널에서 단수의 전송 채널로의 맵핑에 의한 논리 채널 다중화 기능을 제공한다. MAC 부 계층은 논리 채널상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논리 채널은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제어 평면의 정보 전달을 위한 제어 채널과 사용자 평면의 정보 전달을 위한 트래픽 채널로 나눌 수 있다. 즉, 논리 채널 타입의 집합은 MAC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위해 정의된다. 논리채널은 전송 채널의 상위에 위치하고 전송채널에 맵핑 된다.

제어 채널은 제어 평면의 정보 전달만을 위해 사용된다. MAC 계층에 의하여 제공되는 제어 채널은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및 DCCH(dedicated control channel)을 포함한다. BCCH는 시스템 제어 정보를 방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채널이다. PCCH는 페이징 정보의 전송 및 셀 단위의 위치가 네트워크에 알려지지 않은 단말을 페이징 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향링크 채널이다. CCCH는 네트워크와 RRC 연결을 갖지 않을 때 단말에 의해 사용된다. MCCH는 네트워크로부터 단말에게 MBMS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일대다 하향링크 채널이다. DCCH는 RRC 연결 상태에서 단말과 네트워크간에 전용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해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일대일 양방향 채널이다.

트래픽 채널은 사용자 평면의 정보 전달만을 위해 사용된다. MAC 계층에 의하여 제공되는 트래픽 채널은 DTCH(dedicated traffic channel) 및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을 포함한다. DTCH는 일대일 채널로 하나의 단말의 사용자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며,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모두에 존재할 수 있다. MTCH는 네트워크로부터 단말에게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일대다 하향링크 채널이다.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간의 상향링크 연결은 UL-SCH에 맵핑 될 수 있는 DCCH, UL-SCH에 맵핑 될 수 있는 DTCH 및 UL-SCH에 맵핑 될 수 있는 CCCH를 포함한다.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간의 하향링크 연결은 BCH 또는 DL-SCH에 맵핑 될 수 있는 BCCH, PCH에 맵핑 될 수 있는 PCCH, DL-SCH에 맵핑 될 수 있는 DCCH, DL-SCH에 맵핑 될 수 있는 DTCH, MCH에 맵핑 될 수 있는 MCCH 및 MCH에 맵핑 될 수 있는 MTCH를 포함한다.

RLC 계층은 L2에 속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하위 계층이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도록 무선 섹션에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분할/연접에 의한 데이터의 크기 조정을 포함한다. 무선 베어러(RB; radio bearer)가 요구하는 다양한 QoS를 보장하기 위해, RLC 계층은 투명 모드(TM; transparent mode), 비 확인 모드(UM; unacknowledged mode) 및 확인 모드(AM; acknowledged mode)의 세 가지의 동작 모드를 제공한다. AM RLC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ARQ(automatic repeat request)를 통해 재전송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RLC 계층의 기능은 MAC 계층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RLC 계층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L2에 속한다. PDCP 계층은 상대적으로 대역폭이 작은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서 IPv4 또는 IPv6와 같은 IP 패킷을 도입하여 전송되는 데이터가 효율적으로 전송되도록 불필요한 제어 정보를 줄이는 헤더 압축 기능을 제공한다. 헤더 압축은 데이터의 헤더에 필요한 정보만을 전송함으로써 무선 섹션에서 전송 효율을 높인다. 게다가, PDCP 계층은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보안기능은 제3자의 검사를 방지하는 암호화 및 제3자의 데이터 조작을 방지하는 무결성 보호를 포함한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L3에 속한다. L3의 가장 하단 부분에 위치하는 RRC 계층은 오직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무선 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는 RRC 계층을 통해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RRC 계층은 RB들의 구성(configuration), 재구성(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 채널, 전송 채널 및 물리 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L1 및 L2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경로이다. 즉, RB는 단말과 E-UTRAN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L2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RB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결정함을 의미한다. RB는 SRB(signaling RB)와 DRB(data RB)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SRB는 제어 평면에서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되며, DRB는 사용자 평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RRC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연결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RLC 및 MAC 계층(네트워크 측에서 eNB에서 종료)은 스케줄링, ARQ 및 HARQ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RC 계층(네트워크 측에서 eNB에서 종료)은 방송, 페이징, RRC 연결 관리, RB 제어, 이동성 기능 및 단말 측정 보고/제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NAS 제어 프로토콜(네트워크 측에서 게이트웨이의 MME에서 종료)은 SAE 베어러 관리, 인증, LTE_IDLE 이동성 핸들링, LTE_IDLE에서 페이징 개시 및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의 시그널링을 위한 보안 제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RLC 및 MAC 계층(네트워크 측에서 eNB에서 종료)은 제어 평면에서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PDCP 계층(네트워크 측에서 eNB에서 종료)은 헤더 압축, 무결성 보호 및 암호화와 같은 사용자 평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단말의 RRC 상태(RRC state)와 RRC 연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RRC 상태는 단말의 RRC 계층이 E-UTRAN의 RRC 계층과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RRC 상태는 RRC 연결 상태(RRC_CONNECTED) 및 RRC 아이들 상태(RRC_IDLE)와 같이 두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단말의 RRC 계층과 E-UTRAN의 RRC 계층 간의 RRC 연결이 설정되어 있을 때, 단말은 RRC 연결 상태에 있게 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단말은 RRC 아이들 상태에 있게 된다. RRC_CONNECTED의 단말은 E-UTRAN과 RRC 연결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E-UTRAN은 RRC_CONNECTED의 단말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고, 단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E-UTRAN은 RRC_IDLE의 단말을 파악할 수 없으며, 핵심 망(CN; core network)이 셀보다 더 큰 영역인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을 관리한다. 즉, RRC_IDLE의 단말은 더 큰 영역의 단위로 존재만 파악되며,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과 같은 통상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단말은 RRC_CONNECTED로 천이해야 한다.

RRC_IDLE 상태에서, 단말이 NAS에 의해 설정된 DRX(discontinuous reception)를 지정하는 동안에, 단말은 시스템 정보 및 페이징 정보의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트래킹 영역에서 단말을 고유하게 지정하는 ID(identification)를 할당 받고,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선택 및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RRC_IDLE 상태에서, 어떠한 RRC context도 eNB에 저장되지 않는다.

RRC_CONNECTED 상태에서, 단말은 E-UTRAN에서 E-UTRAN RRC 연결 및 RRC context를 가져, eNB로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eN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말은 eNB로 채널 품질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RRC_CONNECTED 상태에서, E-UTRAN은 단말이 속한 셀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네트워크는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는 단말의 이동성(핸드오버 및 NACC(network assisted cell change)를 통한 GERAN(GSM EDGE radio access network)으로 inter-RAT(radio access technology) 셀 변경 지시)을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는 이웃 셀을 위해 셀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RRC_IDLE 상태에서 단말은 페이징 DRX 주기를 지정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단말 특정 페이징 DRX 주기 마다의 특정 페이징 기회(paging occasion)에 페이징 신호를 모니터링 한다. 페이징 기회는 페이징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의 시간 간격이다. 단말은 자신만의 페이징 기회를 가지고 있다.

페이징 메시지는 동일한 트래킹 영역에 속하는 모든 셀에 걸쳐 전송된다. 만약 단말이 하나의 트래킹 영역에서 다른 하나의 트래킹 영역으로 이동하면, 단말은 위치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TAU(tracking area update)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사용자가 단말의 전원을 최초로 켰을 때, 단말은 먼저 적절한 셀을 탐색한 후 해당 셀에서 RRC_IDLE에 머무른다.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을 때, RRC_IDLE에 머무르던 단말은 RRC 연결 절차를 통해 E-UTRAN의 RRC와 RRC 연결을 맺고 RRC_CONNECTED로 천이할 수 있다. RRC_IDLE에 머무르던 단말은 사용자의 통화 시도 등의 이유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필요할 때, 또는 E-UTRAN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 전송이 필요할 때 등에 E-UTRAN과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을 수 있다.

NAS 계층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기 위하여 EMM-REGISTERED(EPS Mobility Management-REGISTERED) 및 EMM-DEREGISTERED 두 가지 상태가 정의되어 있으며, 이 두 상태는 단말과 MME에게 적용된다. 초기 단말은 EMM-DEREGISTERED 상태이며, 이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 초기 연결(Initial Attach) 절차를 통해서 해당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Attach) 절차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단말 및 MME는 EMM-REGISTERED 상태가 된다.

단말과 EPC간 시그널링 연결(signaling connection)을 관리하기 위하여 ECM(EPS Connection Management)-IDLE 상태 및 ECM-CONNECTED 상태 두 가지 상태가 정의되어 있으며, 이 두 상태는 단말 및 MME에게 적용된다. ECM-IDLE 상태의 단말이 E-UTRAN과 RRC 연결을 맺으면 해당 단말은 ECM-CONNECTED 상태가 된다. ECM-IDLE 상태에 있는 MME는 E-UTRAN과 S1 연결(S1 connection)을 맺으면 ECM-CONNECTED 상태가 된다. 단말이 ECM-IDLE 상태에 있을 때에는 E-UTRAN은 단말의 context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ECM-IDLE 상태의 단말은 네트워크의 명령을 받을 필요 없이 셀 선택(cell selection) 또는 셀 재선택(reselection)과 같은 단말 기반의 이동성 관련 절차를 수행한다. 반면 단말이 ECM-CONNECTED 상태에 있을 때에는 단말의 이동성은 네트워크의 명령에 의해서 관리된다. ECM-IDLE 상태에서 단말의 위치가 네트워크가 알고 있는 위치와 달라질 경우 단말은 트래킹 영역 갱신(Tracking Area Update) 절차를 통해 네트워크에 단말의 해당 위치를 알린다.

도 4는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802.11의 인프라스트럭쳐 네트워크(infrastructure network)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b)는 독립 BSS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무선랜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 400, 405)를 포함할 수 있다. BSS(400, 405)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AP(access point, 425) 및 STA1(Station, 400-1)과 같은 AP와 STA의 집합으로서, 특정 영역을 가리키는 개념은 아니다. BSS(405)는 하나의 AP(430)에 하나 이상의 결합 가능한 STA(405-1, 405-2)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인프라스트럭쳐 BSS는 적어도 하나의 STA, 분산 서비스(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는 AP(425, 430) 및 다수의 AP를 연결시키는 분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 41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산 시스템(410)은 여러 BSS(400, 405)를 연결하여 확장된 서비스 셋인 ESS(extended service set, 440)를 구현할 수 있다. ESS(440)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AP(425, 430)가 분산 시스템(410)을 통해 연결되어 이루어진 하나의 네트워크를 지시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ESS(440)에 포함되는 AP는 동일한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를 가질 수 있다.

포털(portal, 420)은 무선랜 네트워크(IEEE 802.11)와 다른 네트워크(예를 들어, 802.X)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브리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a)와 같은 인프라스트럭쳐 네트워크에서는 AP(425, 430) 사이의 네트워크 및 AP(425, 430)와 STA(400-1, 405-1, 405-2) 사이의 네트워크가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AP(425, 430)가 없이 STA 사이에서도 네트워크를 설정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AP(425, 430)가 없이 STA 사이에서도 네트워크를 설정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를 애드-혹 네트워크(Ad-Hoc network) 또는 독립 BSS(independent basic service set)라고 정의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독립 BSS(independent BSS, IBSS)는 애드-혹 모드로 동작하는 BSS이다. IBSS는 AP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중앙에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개체(centralized management entity)가 없다. 즉, IBSS에서는 STA(450-1, 450-2, 450-3, 455-1, 455-2)들이 분산된 방식(distributed manner)으로 관리된다. IBSS에서는 모든 STA(450-1, 450-2, 450-3, 455-1, 455-2)이 이동 STA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산 시스템으로의 접속이 허용되지 않아서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

STA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에 대한 물리계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능 매체로서, 광의로는 AP와 비-AP STA(Non-AP Station)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STA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또는 단순히 유저(user)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도 불릴 수 있다.

3GPP에서는 비면허 WLAN 대역을 이용하여 LTE 속도를 부스팅(boosting)하기 위한 기술을 표준화하고 있다.

이하, LTE-U/LAA(LTE in Unlicensed/LTE Assisted Access)에 대하여 설명한다.

LTE-U/LAA(LTE in Unlicensed/LTE Assisted Access)는 LTE의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을 비면허 대역으로 확장하는 기술이다. LTE-U/LAA는 모든 채널을 LTE로 액세스 한다는 점에서 LTE의 반송파 집성과 유사하나,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비면허 5 GHz 대역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LTE의 반송파 집성과 구별된다. LTE 채널이 프리머리(primary) 채널로 사용되고, 비면허 채널이 세컨더리(secondary) 채널로 사용된다. 상기 세컨더리 채널은 LTE 데이터 전송을 보조하는 역할만 하고, 단독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비면허 대역은 전송 출력 세기에 제한이 있으므로, LTE-U/LAA는 주로 스몰 셀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LWA(LTE-WLAN Aggregation)에 대하여 설명한다.

LTE-U/LAA가 비면허 대역을 이용할 수 있지만, 서비스를 위해 단말과 스몰 셀에 새로운 5 GHz LTE 하드웨어가 탑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존 단말과 기지국을 활용할 수 있는 대안으로 LWA가 제안되었다. LWA는 LTE-U/LAA와 유사하게 LTE 트래픽 전달을 위해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다. 반면에, LWA는 LTE-U/LAA와 다르게 LTE 트래픽을 WLAN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LWA의 경우, LTE 트래픽은 LTE용 5GHz 하드웨어 없이 WLAN AP를 활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또한, WLAN AP는 별도의 GW 없이 LTE 코어 망의 기능(예를 들어, 인증, 보안 등)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LWA는 기존 네이티브(Native) WLAN AP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5는 LWA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LWA 구조는 LWA 기지국(510), WLAN AP(520) 및 단말(530)로 구성될 수 있다. LWA 기지국(510)과 WLAN AP(520)가 함께 있는 시나리오(Collocated Scenario)가 있을 수 있다. LWA 기지국(510)과 WLAN AP(520)가 떨어져 있는 시나리오(Non-collocated Scenario)가 있을 수 있다. 떨어져 있는 시나리오에서, 데이터는 IP 터널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LWA 기지국은 PDCP 계층에서 PDCP 패킷을 스케줄링하여, 일부를 LTE로 전송할 수 있고, 일부를 WLAN AP를 통해 WLAN 프레임 안에 보호(encapsulation)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LTE 트래픽을 LTE 및 WLAN으로부터 함께 수신하여, PDCP 계층에서 결합할 수 있다. LWA 기지국에 연결된 WLAN AP는 WLAN 채널 상태를 LWA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고, LWA 기지국은 WLAN AP를 LWA로 동작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LWA 기지국은 LTE 및 WLAN의 RF 상태와 부하 상태에 따라 실시간으로 무선 자원을 관리할 수 있으며, 이는 LTE 성능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WLAN AP가 LWA 로 동작하지 않을 때는 네이티브 WLAN AP로 동작할 수 있다.

LWA에서, LTE는 LTE 대역을 이용하고, WLAN은 WLAN 대역을 이용하므로, LTE-U/LAA와 달리 기존 WLAN과 LTE 사이의 공정성(Fairness) 또는 규제(Regulation) 문제가 없다. 반면에 LTE 데이터가 기지국에서 분리된 후 단말에서 다시 결합되어야 하므로, 기지국, WLAN AP 및 단말에 LWA 기능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또한, LWA 구조, LWA 프로토콜 및 LWA 동작이 새롭게 정의될 필요가 있다.

기지국과 WLAN AP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Xw로 정의될 수 있다. Xw는 X2와 유사한 인터페이스이다. 사용자 데이터는 IP 터널(GTP 터널)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SCTP 연결 상에서 Xw-AP 메시지로 전달될 수 있다. 하향링크 사용자 트래픽은 PDCP 계층에서 분리되어, LTE 및 WLAN으로 전송될 수 있다. LTE 무선 링크에서 PDCP 패킷은 DRB(Data Radio Bearer)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은 WLAN으로 전달되는 PDCP 패킷에 동일한 DRB ID를 추가하여 LWA PDU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WA PDU를 Xw 인터페이스를 통해 WLAN AP로 전달할 수 있다. WLAN AP는 LWA PDU를 802.11 프레임에 담고, Ethertype=PDCP로 설정하여, 802.11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802.11 프레임을 수신하고, Ethertype=PDCP이면, 이를 LTE PDCP 계층으로 보낼 수 있다. PDCP 계층은 DRB ID를 기반으로 동일한 베어러에 속하는 PDCP 패킷들을 모으고, 재배열하고(re-ordering), 결합할 수 있다.

이하, WT 추가 준비 절차(WLAN Termination Addition Preparation Procedure)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WT 추가 준비 절차를 나타낸다. 도 6(a)는 WT 추가 준비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6(b)는 WT 추가 준비가 실패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WT 추가 준비 절차의 목적은 WT에게 특정 단말에 대하여 LWA 동작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도록 요청하기 위함이다. WT 추가 준비 절차는 단말과 연관된 시그널링(UE-associated signalling)을 사용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단계 S610에서, 기지국은 WT 추가 요청 메시지(WT ADDITION REQUEST Message)를 WT로 전송함으로써 WT 추가 준비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WT 추가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시, WT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WT는 이동성 집합(Mobility Set) IE에 포함된 정보를 LWA에 대하여 설정된 WLAN 이동성 집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 WT는 WLAN 보안 정보(Security Information) IE가 포함되어 있으면,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WLAN 보안 정보 IE를 단말을 향해 필요한 보안 관계를 확립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기지국은 WT 추가 요청 승인 메시지(WT ADDITION REQUEST ACKNOWLEDGE Message)를 WT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WT 추가 요청 승인 메시지는 모든 요청된 E-RAB들의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성공적으로 확립된 E-RAB의 리스트는 E-RABs Admitted To Be Added List IE에 포함될 수 있다. 확립에 실패한 E-RAB의 리스트는 E-RABs Not Admitted List IE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단계 S610에서, 기지국은 WT 추가 요청 메시지(WT ADDITION REQUEST Message)를 WT로 전송함으로써 WT 추가 준비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WT가 WT 추가 준비 동안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베어러를 수용할 수 없거나 실패가 발생하면, 단계 S630에서, WT는 적절한 원인 값과 함께 WT 부가 요청 거절 메시지(WT ADDITION REQUEST REJECT Message)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WT 수정 준비 절차(WLAN Termination Modification Preparation Procedure)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WT 수정 준비 절차를 나타낸다. 도 7(a)는 WT 수정 준비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7(b)는 WT 수정 준비가 실패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WT 수정 준비 절차는 기지국이 WT에게 WT의 단말 컨텍스트를 수정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WT 수정 준비 절차는 단말과 연관된 시그널링(UE-associated signalling)을 사용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단계 S710에서, 기지국은 WT 수정 요청 메시지(WT MODIFICATION REQUEST Message)를 WT로 전송함으로써 WT 수정 준비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상기 WT 수정 요청 메시지는 추가될 E-RA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WT 수정 요청 메시지는 수정될 E-RA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WT 수정 요청 메시지는 해제될 E-RA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WT 수정 요청 메시지는 WLAN 보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WLAN 보안 정보는 WLAN 보안 정보 IE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WLAN 보안 정보 IE가 상기 WT 수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면, WT는 WLAN 보안 정보 IE에 포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WLAN 보안 정보 IE를 단말을 향해 필요한 보안 관계를 확립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요청된 수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WT에 의해 허가되면, WT는 관련된 단말 컨텍스트의 일부를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720에서, WT는 WT 수정 요청 승인 메시지(WT MODIFICATION REQUEST ACKNOWLEDGE Message)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WT는 WT에서 추가된 자원에 대한 E-RAB를 E-RABs Admitted To Be Added List IE에 포함할 수 있다. WT는 WT에서 수정된 자원에 대한 E-RAB를 E-RABs Admitted To Be Modified List IE에 포함할 수 있다. WT는 WT에서 해제된 자원에 대한 E-RAB를 E-RABs Admitted To Be Released List IE에 포함할 수 있다. WT는 허가되지 않은 E-RAB를 적절한 원인 값과 함께 E-RABs Not Admitted List IE에 포함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단계 S710에서, 기지국은 WT 수정 요청 메시지(WT MODIFICATION REQUEST Message)를 WT로 전송함으로써 WT 수정 준비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WT가 어떤 수정 요청도 허가하지 않거나, 기지국에 의해 개시된 WT 수정 절차 동안 실패가 발생하면, 단계 S730에서, WT는 WT 수정 요청 거절 메시지(WT MODIFICATION REQUEST REJECT Message)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WT 수정 요청 거절 메시지는 적절한 값을 가지는 Cause I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RRC_CONNECTED 상태인 단말이 LTE 무선 자원 및 WLAN 무선 자원을 사용하도록 설정되는 동안에, 기지국은 LWA를 지원할 수 있다.

도 8은 WT가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과 WT(WLAN Termination)가 Xw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WT는 하나 이상의 WLAN A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WT는 WLAN 상에서 Xw 인터페이스가 종료(terminate)하는 논리적 노드(logical node)이다. 상기 Xw 인터페이스는 Xw 설정 절차를 통해 확립될 수 있다. 다수의 WLAN AP를 포함하는 WT가 배치된 환경에서, RAN 공유 지원(Radio Access Network Sharing Support)이 LWA 동작에 고려되어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T에 포함된 복수의 WLAN AP 중 제 1 WLAN AP는 제 1 사업자에 의해 설치되며, 제 2 WLAN AP는 제 2 사업자에 의해 설치된다고 가정한다. 각 사업자는 제 1 WLAN AP와 제 2 WLAN AP를 공유하여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원할 수 있다. 다만, 각 사업자는 자신의 고객에게 우선적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원할 수 있다. 즉, RAN 공유 환경에서, 제 1 WLAN AP를 설치한 제 1 사업자는 제 1 사업자의 고객에게 제 1 WLAN AP를 통해 우선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원할 수 있고, 제 2 WLAN AP를 설치한 제 2 사업자는 제 2 사업자의 고객에게 제 2 WLAN AP를 통해 우선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정책은 혼잡한 RAN 공유 환경에서 더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WT는 WT의 영역으로 이동한 단말이 어떤 사업자에 의해 서비스되는 단말인지 여부를 알 수 없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RAN 공유 환경에서, 특정 사업자는 우선적으로 특정 사업자의 단말이 특정 사업자의 WLAN AP로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서빙 PLMN ID가 WT로 제공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가 제안될 필요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LWA 시나리오에서, 서빙 PLMN ID가 제공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WT 자원의 추가 또는 수정을 결정할 때, 기지국은 이후의 이동성(예를 들어, 적합한 AP)을 위해 단말에 대한 액세스 제한(Access Restriction) 정보 및 로밍(Roaming)을 고려할 수 있다. 기지국은 WT 추가 준비 절차(WT Addition Preparation Procedure)를 이용하여 서빙 PLMN ID를 WT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WT 수정 준비 절차(WT Modification Preparation Procedure)를 이용하여 서빙 PLMN ID를 WT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서빙 PLMN ID를 WT 추가 준비 절차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10에서, 기지국은 서빙 PLMN ID(Serving Public Land Mobile Network Identity)를 WT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빙 PLMN ID는 WT 추가 준비 절차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서빙 PLMN ID는 WT 추가 요청 메시지(WT Addition Request Message)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WT는 하나 이상의 WLAN A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WT 추가 요청 메시지는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IE/Group Name Presence Semantics description Criticality Assigned Criticality Message Type M YES reject eNB UE XwAP ID M Assigned by the eNB YES reject UE Identity M YES reject WLAN Security Information O YES reject Serving PLMN O The serving PLMN for the UE. YES ignore E-RABs To Be Added List YES reject >E-RABs To Be Added Item EACH reject >>E-RAB ID M – – >>E-RAB Level QoS Parameters M Includes necessary QoS parameters – – >> eNB GTP Tunnel Endpoint M Endpoint of the Xw transport bearer at the eNB – – Mobility Set M YES reject 표 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WT 추가 요청 메시지는 Serving PLM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erving PLMN은 단말에 대한 Serving PLMN일 수 있다. 상기 Serving PLMN과 서빙 PLMN ID는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WT 추가 요청 메시지는 단말 특정 메시지일 수 있다. 즉, 상기 WT 추가 요청 메시지는 특정 단말에 대하여 단말 별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서빙 PLMN ID는 하나 이상의 PLMN ID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PLMN ID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기지국은 상기 하나 이상의 PLMN ID를 상기 WT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PLMN ID는 Xw 설정 절차(Xw Setup Procedure)를 통해 상기 WT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PLMN ID는 Xw 설정 응답 메시지(Xw Setup Response Message)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Xw 설정 응답 메시지는 표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IE/Group Name Presence Semantics description Criticality Assigned Criticality Message Type M YES reject WT ID M YES reject WLAN Identifier List List of identifiers supported by the WT YES reject >WLAN Identifier Item >>WLAN Information M Criticality Diagnostics O YES ignore 표 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상기 Xw 설정 응답 메시지는 WT ID를 포함할 수 있다. WT ID는 WT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IE일 수 있다. 상기 WT ID는 표 3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IE/Group Name Presence Semantics description CHOICE WT ID Type M >WT ID Type 1 >>PLMN ID M >>Short WT ID M >WT ID Type 2 표 3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상기 WT ID는 PLMN ID를 포함할 수 있다. 즉, PLMN ID가 Xw 설정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WT는 단계 S910에서 수신된 서빙 PLMN ID를 무선 자원 관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WT 추가 요청 메시지가 서빙 PLMN ID를 포함하면, 상기 WT는 상기 서빙 PLMN ID를 LWA에 대한 자원 할당에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920에서, WT는 WT 추가 요청 승인 메시지(WT Addition Request Acknowledge Message)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빙 PLMN ID는 다음과 같이 무선 자원 관리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WT는 서빙 PLMN ID를 수신하고, 수신된 서빙 PLMN ID와 WT에 포함된 특정 WLAN AP의 PLMN ID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서빙 PLMN ID와 특정 WLAN AP의 PLMN ID가 일치하면, 상기 WT는 상기 서빙 PLMN ID에 대응하는 단말에게 상기 특정 WLAN AP를 통해 우선적으로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상기 WT는 상기 서빙 PLMN ID에 대응하는 단말에게 상기 특정 WLAN AP로 우선적인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WLAN AP를 사업자 간에 공유하는 RAN 공유 환경에서, 사업자는 정책에 따라 자신의 고객에게 우선적으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거나, 우선적인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서빙 PLMN ID를 WT 수정 준비 절차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S1010에서, 기지국은 서빙 PLMN ID를 WT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빙 PLMN ID는 WT 수정 준비 절차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서빙 PLMN ID는 WT 수정 요청 메시지(WT Modification Request Message)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WT는 하나 이상의 WLAN A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WT 수정 요청 메시지는 표 4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IE/Group Name Presence Semantics description Criticality Assigned Criticality Message Type M YES reject eNB UE XwAP ID M Assigned by the eNB YES reject WT UE XwAP ID M Assigned by the WT YES reject Cause M YES ignore Serving PLMN O The serving PLMN for the UE. YES ignore UE Context Information YES reject >WLAN Security Information O >E-RABs To Be Added List – – >>E-RABs To Be Added Item EACH ignore >>>E-RAB ID M – – >>>E-RAB Level QoS Parameters M Includes necessary QoS parameters – – >>> eNB GTP Tunnel Endpoint M Endpoint of the Xw transport bearer at the eNB – – >E-RABs To Be Modified List – – >>E-RABs To Be Modified Item EACH ignore >>>E-RAB ID M – – >>>E-RAB Level QoS Parameters O Includes QoS parameters to be modified – – >>> eNB GTP Tunnel Endpoint O Endpoint of the Xw transport bearer at the eNB – – >E-RABs To Be Released List – – >>E-RABs To Be Released Item EACH ignore >>>E-RAB ID M – – >>>DL Forwarding GTP Tunnel Endpoint O Identifies the Xw transport bearer used for forwarding of DL PDUs – – Mobility Set O YES reject 표 4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상기 WT 수정 요청 메시지는 Serving PLM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erving PLMN은 단말에 대한 Serving PLMN일 수 있다. 상기 Serving PLMN과 서빙 PLMN ID는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WT 수정 요청 메시지는 단말 특정 메시지일 수 있다. 즉, 상기 WT 수정 요청 메시지는 특정 단말에 대하여 단말 별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서빙 PLMN ID는 하나 이상의 PLMN ID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PLMN ID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기지국은 상기 하나 이상의 PLMN ID를 상기 WT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PLMN ID는 Xw 설정 절차(Xw Setup Procedure)를 통해 상기 WT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PLMN ID는 Xw 설정 응답 메시지(Xw Setup Response Message)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Xw 설정 응답 메시지는 상기 표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상기 Xw 설정 응답 메시지는 WT ID를 포함할 수 있다. WT ID는 WT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IE일 수 있다. 상기 WT ID는 상기 표 3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상기 WT ID는 PLMN ID를 포함할 수 있다. 즉, PLMN ID가 Xw 설정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WT는 단계 S1010에서 수신된 서빙 PLMN ID를 무선 자원 관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WT 수정 요청 메시지가 서빙 PLMN ID를 포함하면, 상기 WT는 상기 서빙 PLMN ID를 LWA에 대한 자원 할당에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1020에서, WT는 WT 수정 요청 승인 메시지(WT Modification Request Acknowledge Message)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WT 수정 요청 메시지에 의한 수정 요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WT에 의해 허가되면, 상기 WT 수정 요청 승인 메시지가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이 선택된 서빙 PLMN ID를 WT에게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WLAN AP를 사업자 간에 공유하는 RAN 공유 환경에서, 사업자는 정책에 따라 자신의 고객에게 우선적으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거나, 우선적인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RAN 공유 환경에서 서빙 PLMN ID를 기반으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제 1 사업자 및 제 2 사업자가 공유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WT는 제 1 사업자 및 제 2 사업자가 공유하는 WT일 수 있다. 즉, 상기 WT는 제 1 사업자의 WLAN AP 및 제 2 사업자의 WLAN AP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WLAN AP, 제 3 WLAN AP 및 제 4 WLAN AP는 제 1 사업자의 WLAN AP인 것으로 가정한다. 제 2 WLAN AP 및 제 5 WLAN AP는 제 2 사업자의 WLAN AP인 것으로 가정한다. 제 1 단말은 제 1 사업자에 의해 서비스되는 단말이고, 제 2 단말은 제 2 사업자에 의해 서비스되는 단말이라고 가정한다.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은 LWA 동작이 가능한 단말이라고 가정한다.

(1) 기지국은 WT로부터 PLMN ID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PLMN ID는 제 1 사업자의 WLAN AP에 대한 PLMN ID 및 제 2 사업자의 WLAN AP에 대한 PLMN ID일 수 있다.

(2) 제 1 단말의 경우, 기지국은 제 1 사업자의 WLAN AP에 대한 PLMN ID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PLMN ID를 WT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PLMN ID는 서빙 PLMN ID와 동일한 개념일 수 있다. 상기 선택된 PLMN ID는 WT 추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WT 추가 요청 메시지는 제 1 단말에 대하여 전송되는 단말 특정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선택된 PLMN ID는 WT 수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WT 수정 요청 메시지는 제 1 단말에 대하여 전송되는 단말 특정 메시지일 수 있다.

RAN 공유 환경에서, 제 1 사업자는 제 1 단말이 제 2 단말보다 제 1 WLAN AP, 제 3 WLAN AP 및 제 4 WLAN AP로 우선적인 액세스가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 1 사업자는 제 1 단말이 제 2 단말보다 제 1 WLAN AP, 제 3 WLAN AP 및 제 4 WLAN AP를 통해 우선적인 무선 자원 할당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3) 제 2 단말의 경우, 기지국은 제 2 사업자의 WLAN AP에 대한 PLMN ID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PLMN ID를 WT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PLMN ID는 서빙 PLMN ID와 동일한 개념일 수 있다. 상기 선택된 PLMN ID는 WT 추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WT 추가 요청 메시지는 제 2 단말에 대하여 전송되는 단말 특정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선택된 PLMN ID는 WT 수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WT 수정 요청 메시지는 제 2 단말에 대하여 전송되는 단말 특정 메시지일 수 있다.

RAN 공유 환경에서, 제 2 사업자는 제 2 단말이 제 1 단말보다 제 2 WLAN AP 및 제 5 WLAN AP로 우선적인 액세스가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 2 사업자는 제 2 단말이 제 1 단말보다 제 2 WLAN AP 및 제 5 WLAN AP를 통해 우선적인 무선 자원 할당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RAN 공유를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 S1210에서, 상기 기지국은 WT 추가 요청 메시지(WT Addition Request Message)를 WT(WLAN Termination)에게 전송하되, 상기 WT 추가 요청 메시지는 서빙 PLMN ID(Serving Public Land Mobile Network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PLMN ID를 상기 WT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PLMN ID는 Xw 설정 응답 메시지(Xw Setup Response Message)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서빙 PLMN ID는 상기 하나 이상의 PLMN ID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PLMN ID일 수 있다.

상기 WT 추가 요청 메시지가 상기 서빙 PLMN ID를 포함하면, 상기 서빙 PLMN ID는 상기 WT의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해 상기 WT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WT 추가 요청 메시지가 상기 서빙 PLMN ID를 포함하면, 상기 서빙 PLMN ID는 LWA(LTE-WLAN Aggregation)에 대한 자원 할당을 위해 상기 WT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WT 추가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WT 추가 요청 승인 메시지(WT Addition Request Acknowledge Message)를 상기 WT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RAN 공유를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S1310에서, 상기 기지국은 WT 수정 요청 메시지(WT Modification Request Message)를 WT(WLAN Termination)에게 전송하되, 상기 WT 수정 요청 메시지는 서빙 PLMN ID(Serving Public Land Mobile Network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PLMN ID를 상기 WT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PLMN ID는 Xw 설정 응답 메시지(Xw Setup Response Message)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서빙 PLMN ID는 상기 하나 이상의 PLMN ID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PLMN ID일 수 있다.

상기 WT 수정 요청 메시지가 상기 서빙 PLMN ID를 포함하면, 상기 서빙 PLMN ID는 상기 WT의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해 상기 WT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WT 수정 요청 메시지가 상기 서빙 PLMN ID를 포함하면, 상기 서빙 PLMN ID는 LWA(LTE-WLAN Aggregation)에 대한 자원 할당을 위해 상기 WT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WT 수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WT 수정 요청 승인 메시지(WT Modification Request Acknowledge Message)를 상기 WT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구현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기지국(1400)은 프로세서(processor, 1401), 메모리(memory, 1402) 및 송수신기(transceiver, 1403)를 포함한다. 메모리(1402)는 프로세서(140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40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송수신기(1403)는 프로세서(140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1401)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기지국의 동작은 프로세서(14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일례들에 기초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다양한 기법들이 도면과 도면 부호를 통해 설명되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기법들은 특정한 순서에 따라 다수의 단계나 블록들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단계나 블록의 구체적 순서는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나 블록은 다른 순서로 구현되거나, 또 다른 단계나 블록들과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라면 간 단계나 블록이 한정적으로 기술된 것이나 아니며, 발명의 보호 범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계들이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다양한 일례를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발명의 모든 가능한 일례의 조합이 설명될 수 없다는 점을 알 것이고, 또한 본 명세서의 기술로부터 다양한 조합이 파생될 수 있다는 점을 알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다양한 일례를 조합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행정안전부> 업무안내> 재난관리실> 재난안전통신망

재난안전통신망이 도입됨으로써 대한민국의 여러 재난관련 기관들이 단일 통신망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소통하게 되었습니다. 일반 및 그룹통화를 비롯해, 사진·영상 등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현장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골든타임을 확보, 현장대응 능력이 한층 강화되었습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ran sharing 이란

다음은 Bing에서 ran sharing 이란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See also  Plc 배선 | Xgb Plc의 입력구조 설명(Xbc Dr20Su모델) 상위 96개 베스트 답변
See also  Midi 악보 사이트 | 🎹음대생들이 쓰는 '무료악보 사이트'를 공개합니다!! I 음사설 #10 110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See also  타자기 소리 프로그램 | Only One Sound 타탁타탁 올드 타이프라이터 소리 (타자기) - 졸리지 않고 집중 잘돼요 최근 답변 46개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스펙트럼 공유

  • Spectrum
  • Sharing (Organization Sector)
  • Spectrum Sharing
  • Basestation
  • Mobile Network Operator (Industry)

스펙트럼 #공유


YouTube에서 ran sharing 이란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스펙트럼 공유 | ran sharing 이란,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