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Home » 뇌졸중 치료 가이드라인 | 뇌졸중 환자는 평생 장애를 갖고 살아야 할까? 인기 답변 업데이트

뇌졸중 치료 가이드라인 | 뇌졸중 환자는 평생 장애를 갖고 살아야 할까? 인기 답변 업데이트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뇌졸중 치료 가이드라인 – 뇌졸중 환자는 평생 장애를 갖고 살아야 할까?“?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u.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hu.taphoamini.com/photos.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뇌혈관질환전문명지성모병원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6,722회 및 좋아요 406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혈압 강하와 뇌졸중 예방을 위해 저나트륨 식이와 고칼륨 식이가 권장된다. (근거수준 Ia, 권고수준 A) 하루 나트륨 양은 2.3g (100mmol) 이하, 소금으로는 6g 이하가 추천되며, 하루 칼륨 섭취량은 4.7g (120mmol) 이상이 추천된다.

뇌졸중 치료 가이드라인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뇌졸중 환자는 평생 장애를 갖고 살아야 할까? – 뇌졸중 치료 가이드라인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안녕하세요. 명지성모병원입니다.
대망의 첫 브레인스토리!!!
이번 시간에는 뇌졸중 재활치료 궁금한 점을 귀에 쏙쏙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사랑 부탁드려요~
==================================================
재활치료는 왜 필요한가?
재활치료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재활치료는 빨리 시작하는 것이 좋을까?
장애가 생기진 않을까?
재활치료 효과는 있을까?
재활치료는 언제까지 받아야 할까?
환자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은?
움직이지 않으려는 환자에게는?
마사지는 도움이 될까?
보호자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씀은?
재활의학과 전문의로써 보람을 느낄 때는?
#뇌혈관질환전문병원 #뇌졸중 #뇌졸중재활치료 #명지성모병원 #재활치료

뇌졸중 치료 가이드라인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진료지침 – 대한뇌졸중학회

진료지침 · 연도별 진료지침 · 일러두기 · 포켓북 다운로드. 검색. 선택, Ⅰ뇌졸중 일차예방, Ⅱ급성기 뇌졸중진료, Ⅲ 뇌졸중 이차예방.

+ 여기에 표시

Source: www.stroke.or.kr

Date Published: 1/17/2022

View: 4578

2019 급성 허혈뇌졸중 환자에서 혈관내재개통치료 진료지침 개정

2016년 대한뇌졸중학회 진료지침에서도 “6시간이 지난 환자에서는 다중기법영상을 이용하여 예상되는 이득과 안정성을 평가한 후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

+ 더 읽기

Source: www.jkna.org

Date Published: 12/7/2021

View: 4272

급성 뇌졸중환자 표준진료지침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급성 뇌졸중환자 표준진료지침.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신경과, QPS센터. 1. 활동 배경. 우리나라는 인구 노령화와 함께 질병양상도 변화 …

+ 더 읽기

Source: www.hira.or.kr

Date Published: 10/10/2022

View: 744

임상진료지침 – 대한재활의학회

대한뇌신경재활학회 임상진료지침위원회 뇌졸중 재활치료를 위한 한국형 표준 진료 지침. 등록자, 학회관리자, 등록일, 2019-08-05, 조회수, 4,326회. 뇌졸중 재활치료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karm.or.kr

Date Published: 9/2/2022

View: 6930

로드맵 수행 지침서

WSO 국제 뇌졸중 진료지침의 목표는. 보편적인 표준 진료행위가 실행되도록 도와주고, 임상의 결정에 도움이 되고, 유익한 치료 방식을 제시. 하며, 공공 정책 결정에 도움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world-stroke.org

Date Published: 7/17/2022

View: 3787

중풍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 한국한의약진흥원

일본에서는 2004년 발표된 뇌졸중 임상진료지침에서 뇌졸중 환자의 어깨 문제에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나 corticostero와 함께 전침 치료를 권장하였다.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nikom.or.kr

Date Published: 12/18/2021

View: 451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뇌졸중 치료 가이드라인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뇌졸중 환자는 평생 장애를 갖고 살아야 할까?.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는 평생 장애를 갖고 살아야 할까?
뇌졸중 환자는 평생 장애를 갖고 살아야 할까?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뇌졸중 치료 가이드라인

  • Author: 뇌혈관질환전문명지성모병원
  • Views: 조회수 26,722회
  • Likes: 좋아요 406개
  • Date Published: 2020. 6. 5.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l7upCaRPGc8

2019 Update of the Kore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f Stroke for Endovascular Recanaliz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N Engl J Med 2015;372:11-20.

1. Berkhemer OA, Fransen PS, Beumer D, van den Berg LA, Lingsma HF, Yoo AJ, et al. A randomized trial of intraarterial treatment for acute ischemic stroke.2015;372:11-20.

N Engl J Med 2015;372:1009-1018.

2. Campbell BC, Mitchell PJ, Kleinig TJ, Dewey HM, Churilov L, Yassi N, et al. Endovascular therapy for ischemic stroke with perfusion-imaging selection.2015;372:1009-1018.

N Engl J Med 2015;372:2285-2295.

3. Saver JL, Goyal M, Bonafe A, Diener HC, Levy EI, Pereira VM, et al. Stent-retriever thrombectomy after intravenous t-PA vs. t-PA alone in stroke.2015;372:2285-2295.

N Engl J Med 2015;372:2296-2306.

4. Jovin TG, Chamorro A, Cobo E, de Miquel MA, Molina CA, Rovira A, et al. Thrombectomy within 8 hours after symptom onset in ischemic stroke.2015;372:2296-2306.

N Engl J Med 2015;372:1019-1030.

5. Goyal M, Demchuk AM, Menon BK, Eesa M, Rempel JL, Thornton J, et al. Randomized assessment of rapid endovascular treatment of ischemic stroke.2015;372:1019-1030.

Lancet 2016;387:1723-1731.

6. Goyal M, Menon BK, van Zwam WH, Dippel DW, Mitchell PJ, Demchuk AM, et al. Endovascular thrombectomy after large-vessel ischaemic stroke: a meta-analysis of individual patient data from five randomised trials.2016;387:1723-1731.

Stroke 2015;46:3020-3035.

7. Powers WJ, Derdeyn CP, Biller J, Coffey CS, Hoh BL, Jauch EC, et al.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focused update of the 2013 guidelines for the early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regarding endovascular treatment.2015;46:3020-3035.

Int J Stroke 2016;11:134-147.

8. Wahlgren N, Moreira T, Michel P, Steiner T, Jansen O, Cognard C, et al. Mechanical thrombectomy in acute ischemic stroke: consensus statement by ESO-Karolinska stroke update 2014/2015, supported by ESO, ESMINT, ESNR, and EAN.2016;11:134-147.

Int J Stroke 2015;10:924-940.

9. Casaubon LK, Boulanger JM, Blacquiere D, Boucher S, Brown K, Goddard T, et al. Canadian stroke best practice recommendations: hyperacute stroke care guidelines, update 2015.2015;10:924-940.

J Stroke 2015;17:268-281.

10. Hong KS, Ko SB, Lee JS, Yu KH, Rha JH. Endovascular recanalization therapy in acute ischemic stroke: update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2015;17:268-281.

JAMA 2016;316:1279-1288.

11. Saver JL, Goyal M, van der Lugt A, Menon BK, Majoie CB, Dippel DW, et al. Time to treatment with endovascular thrombectomy and outcomes from ischemic stroke: a meta-analysis.2016;316:1279-1288.

Lancet Neurol 2012;11:860-867.

12. Lansberg MG, Straka M, Kemp S, Mlynash M, Wechsler LR, Jovin TG, et al. Mri profile and response to endovascular reperfusion after stroke (DEFUSE 2): a prospective cohort study.2012;11:860-867.

Ann Neurol 2017;81:849-856.

13. Lansberg MG, Christensen S, Kemp S, Mlynash M, Mishra N, Federau C, et al. Computed tomographic perfusion to predict response to recanalization in ischemic stroke.2017;81:849-856.

Stroke 2011;42:2206-2211.

14. Jovin TG, Liebeskind DS, Gupta R, Rymer M, Rai A, Zaidat OO, et al. Imaging-based endovascular therapy for acute ischemic stroke due to proximal intracranial anterior circulation occlusion treated beyond 8 hours from time last seen well: Retrospective multicenter analysis of 237 consecutive patients.2011;42:2206-2211.

Radiology 2009;250:878-886.

15. Copen WA, Rezai Gharai L, Barak ER, Schwamm LH, Wu O, Kamalian S, et al. Existence of the diffusion-perfusion mismatch within 24 hours after onset of acute stroke: dependence on proximal arterial occlusion.2009;250:878-886.

Int J Stroke 2017;12:641-652.

16. Jovin TG, Saver JL, Ribo M, Pereira V, Furlan A, Bonafe A, et al. Diffusion-weighted imaging or computerized tomography perfusion assessment with clinical mismatch in the triage of wake up and late presenting strokes undergoing neurointervention with trevo (DAWN) trial methods.2017;12:641-652.

Int J Stroke 2017;12:896-905.

17. Albers GW, Lansberg MG, Kemp S, Tsai JP, Lavori P, Christensen S, et al.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endovascular therapy following imaging evaluation for ischemic stroke (DEFUSE 3).2017;12:896-905.

N Engl J Med 2018;378:11-21.

18. Nogueira RG, Jadhav AP, Haussen DC, Bonafe A, Budzik RF, Bhuva P, et al. Thrombectomy 6 to 24 hours after stroke with a mismatch between deficit and infarct.2018;378:11-21.

N Engl J Med 2018;378:708-718.

19. Albers GW, Marks MP, Kemp S, Christensen S, Tsai JP, OrtegaGutierrez S, et al. Thrombectomy for stroke at 6 to 16 hours with selection by perfusion imaging.2018;378:708-718.

20. Powers WJ, Rabinstein AA, Ackerson T, Adeoye OM, Bambakidis NC, Becker K, et al. 2018 guidelines for the early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a guideline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Stroke 2018;49:e46-e110.

Int J Stroke 2018;13:949-984.

21. Boulanger JM, Lindsay MP, Gubitz G, Smith EE, Stotts G, Foley N, et al. Canadian stroke best practice recommendations for acute stroke management: prehospital, emergency department, and acute inpatient stroke care, 6th edition, update 2018.2018;13:949-984.

Australian clinical guidelines for stroke management; Chapter 8.2 neurointervention. [online] 2018 Dec 12 [cited 2019 Mar 15]. Available from: URL:

22. Stroke Foundation.; Chapter 8.2 neurointervention. [online] 2018 Dec 12 [cited 2019 Mar 15]. Available from: URL: https://app.Magicapp.Org/app#/guideline/2638/section/32356

23.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cute pain management: operative or medical procedures and trauma. Rockville(MD): AHCPR, 1993;107.

Radiology 2013;267:201-211.

24. Kudo K, Christensen S, Sasaki M, Ostergaard L, Shirato H, Ogasawara K, et al. Accuracy and reliability assessment of ct and mr perfusion analysis software using a digital phantom.2013;267:201-211.

Stroke 2016;47:2311-2317.

25. Austein F, Riedel C, Kerby T, Meyne J, Binder A, Lindner T, et al. Comparison of perfusion ct software to predict the final infarct volume after thrombectomy.2016;47:2311-2317.

Radiology 2010;254:200-209.

26. Kudo K, Sasaki M, Yamada K, Momoshima S, Utsunomiya H, Shirato H, et al. Differences in ct perfusion maps generated by different commercial software: quantitative analysis by using identical source data of acute stroke patients.2010;254:200-209.

Stroke 2016;47:1389-1398.

27. Warach SJ, Luby M, Albers GW, Bammer R, Bivard A, Campbell BC, et al. Acute stroke imaging research roadmap iii imaging selection and outcomes in acute stroke reperfusion clinical trials: consensus recommendations and further research priorities.2016;47:1389-1398.

Int J Technol Assess Health Care 1986;2:53-63.

28. Brook RH, Chassin MR, Fink A, Solomon DH, Kosecoff J, Park RE. A method for the detailed assessment of the appropriateness of medical technologies.1986;2:53-63.

Stroke 2004;35:2477-2483.

29. Wardlaw JM, Seymour J, Cairns J, Keir S, Lewis S, Sandercock P. Immediate computed tomography scanning of acute stroke is cost-effective and improves quality of life.2004;35:2477-2483.

JAMA 2004;292:1823-1830.

30. Kidwell CS, Chalela JA, Saver JL, Starkman S, Hill MD, Demchuk AM, et al. Comparison of mri and ct for detection of acute intracerebral hemorrhage.2004;292:1823-1830.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9;(4):CD007424.

31. Brazzelli M, Sandercock PA, Chappell FM, Celani MG, Righetti E, Arestis N, et 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versus computed tomography for detection of acute vascular lesions in patients presenting with stroke symptoms.2009;(4):CD007424.

Stroke 2018;49:1015-1017.

32. Jadhav AP, Desai SM, Kenmuir CL, Rocha M, Starr MT, Molyneaux BJ, et al. Eligibility for endovascular trial enrollment in the 6- to 24-hour time window: analysis of a single comprehensive stroke center.2018;49:1015-1017.

J Stroke 2013;15:2-20.

33. Hong KS, Bang OY, Kang DW, Yu KH, Bae HJ, Lee JS, et al. Stroke statistics in korea: part i.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a report from the korean stroke society and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2013;15:2-2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QI 뉴스레터입니다.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신경과, QPS센터

1. 활동 배경

우리나라는 인구 노령화와 함께 질병양상도 변화되어 최근 사망원인의 2위가 뇌혈관 질환이며(통계청, 2011), 뇌졸중은 개인, 가족, 사회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중증 질환으로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통해 예측할 수 있는 합병증과 부담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혈전 용해제 및 신경보호제 등 효과적인 치료법이 개발되어 급성 뇌졸중 환자 치료 효과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류지영, 어은경, 김용재, 정구영, 2000), 증상 발현 후 치료가 시작되기까지의 시간에 따라 효과가 달리 나타나 치료시작 시점이 중요한 요소임이 밝혀졌다. 특히, 뇌경색 조직과 정상조직 사이의 반음영역(penumbra zone)의 가역성이 유지되는 4-6시간 이내 치료가 이루어져야 혈류가 재개통됨에 따른 기능을 회복할 수 있고 뇌경색 환자 치료에서 1996년 미국 FDA로부터 공인받은 rt-PA(recombionant tissue Plasma Activator)는 발병 3시간이내에 투여하여야 최대 효과를 거둘 수 있다(Barinaga, 1996).

이에 본원에서는 응급실을 통해 내원하는 급성 뇌졸중 환자에게 응급실 내원 후 신속한 진단검사 및 혈전용해술을 시행함으로써 최대한의 치료효과를 얻고자 프로세스를 개선하고자 QI활동을 시작하였다.

2. 팀 구성

다학제 간 팀 접근(Multidisciplinary approach)

진료과 : 신경과, 응급의학과, 흉부외과, 영상의학과,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간호부: 응급의료센터, 뇌졸중 집중 치료실, 81병동, 중환자실 지원 부서: 영상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약제과, 의무기록과, 원무과, QPS센터

3. 질향상 활동

1) Ewha Stroke Code (ESC) 프로그램 활성화

① 부서별 업무 Process 확정 ② 적용 대상(뇌졸중 증상 및 발생시각)확인 ③ ESC 코드활성화 방법: 전산 ④ 혈전용해술(Thrombolysis) 절차 및 기준 보완 ⑤ Ewha Stroke Code (ESC) 의사처방 개정 ⑥ 동의서, tPA체크리스트, 혈전용해술기록지, tPA투여 프로토콜 검토 ⑦ 환자교육 및 직원 교육 자료 개발

2) 급성뇌졸중 환자의 표준진료지침(Critical Pathway) 개발 및 적용

가. 표준진료지침 개발 과정

① 현재 프로세스 검토 – 뇌졸중 환자 사정, 의사 처방, 진단 영상검사 소요시간, 치료 내용 및 치료 제공 시간

– 의무 기록 검토 : 동의서, 입원기록, 경과기록 등, 간호, 환자 교육

– 기타 : 뇌졸중 환자 수, 재원일수 등 ② 관련 가이드라인 검토 – AHA/ASA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Guideline

– ESO (European Stroke Organization) Guideline

–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Guideline (KOREA) ③ 대상 환자 기준 선정(제외 대상 환자 선정) ④ Contents 개발 – 환자 사정: 활력 징후, 통증 사정, NIHSS(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연하 기능 평가

– 진단/ 영상 검사

– 협의진료 의뢰 – 영양과, 재활의학과, 뇌졸중 교육, 금연 교육, 사회사업과 등

– 투여 약물

– 정맥 혈전 색전증 예방 방법

– 교육(응급상황시 대처방법, 퇴원 후 외래 방문, 퇴원약 설명, 뇌졸중의 위험 인자, 뇌졸중의 전조 증상),

낙상 예방, 통증 관리, 손위생 등 ⑤ 직원 간 의사소통 – 뇌졸중 진료의 목표, 환자 사정, 진단 영상 검사, 협의 진료, 영양, 투여 약물, 활동, 환자 교육 등

나. 표준진료지침(의료진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큰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큰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다. 표준진료지침(환자용)

4. 활동 결과

1) 표준 진료 지침 적용에 대한 결과 및 변이 모니터링

①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의료진의 환자 평가 ② 혈액 검사 및 영상 검사까지의 시간 단축 ③ 신속하고 안전한 혈전 용해제 투여를 통해 뇌경색 환자의 예후 증진 ④ 합병증 감소

5. 향후 계획

1) 표준 진료 지침 사용에 대한 검토

채택된 표준 진료 지침은 프로그램에 대한 적합성을 보장하기 위해 변이를 분석하고, 필요한 경우, 변이 분석 결과에 따라 검토 후 수정한다.

2) 재원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뇌졸중 프로그램

재원하고 있는 환자에게서 발생한 뇌졸중 환자에게도 신속하고 일관된 stroke care를 제공하고자 In-patient Ewha stroke care process(I-ESC)를 개발하여 프로그램 활성화

뇌졸중 재활치료를 위한 한국형 표준 진료 지침 2016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troke Rehabilitation in Korea 2016 * 이자료는 누구든지 비상업적인 용도를 위해 인용, 복제할 수 있습니다. 출처(출처: 대한뇌신경재활학회 임상진료지침위원회)를 반드시 밝혀 주시기 바라며 개작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1. 배경 및 목적

지난 2008년 중풍 한의임상진료지침개발 연구팀을 구성하여 중풍환자에 대한 한의임상진료의 근거를 찾기 시작하였다. 2010년까지 발표된 중풍 관련 한의치료기술의 유효성에 대한 문헌근거를 검토하여 ‘중풍환자에 대한 일차 한의임상진료 가이드라인’을 개발한 바 있으나, 이후 국내외에서 중풍환자의 한의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임상진료지침에 반영할 근거가 대폭 증가하였다.

중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임상진료지침 개발을 시작하였으며, 현재까지 발표된 중의임상진료지침은 500여 개에 이른다. 이 중에는 뇌경색에 대한 5개의 지침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지침은 주로 전문가 합의에 기반하여 개발되었고, 근거중심의학 방법론으로 개발한 지침은 1개뿐이다.

일본에서는 2004년 발표된 뇌졸중 임상진료지침에서 뇌졸중 환자의 어깨 문제에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나 corticosteroid와 함께 전침 치료를 권장하였다. 그러나 2009년 이후 갱신된 지침에는 전침 등에 대한 언급이 사라졌다. 일본동양의학회 EBM 위원회 내 진료가이드라인 태스크포스에서 한방제제의 기재를 포함한 진료가이드라인 목록을 정리하여 인터넷에 정보를 공개하고 있으나, 중풍에 대한 한방제제나 기타 한의 중재에 대한 공식 지침은 부재하다.

이 연구와 연구팀의 목적은 중풍환자를 진료하는 한의사에게 시의 적절하고 정확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개선된 근거기반 시술을 장려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개발팀은 관련된 모든 문헌을 찾아 심도 있는 검토를 하고 질 평가를 한 후 근거수준을 결정하였다. 또한 관련 학회와 임상전문가들의 동료검토와 식견을 제공받아 분석하고 대면회의에서 토의하여 권고수준을 결정하였다. 또한 소비자와 다학제 전문가들의 식견과 판단을 청취하여 조정하고 검토하였다.

중풍 한의임상진료지침은 중풍 환자(I60-I69, U23.4)의 임상 증상 개선 및 예방, 진단, 치료, 편익 등 보건상의 향상을 목표로 한의원과 한방병원에서 한의 치료를 위해 사용하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번 지침의 적용 대상은 성인(18세 이상 남녀) 중풍 환자이다. 뇌영상 진단(뇌 자기공명영상이나 뇌 컴퓨터단층촬영술) 혹은 임상적 진단에 의해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의 뇌혈관질환(I60-I69) 혹은 중풍후유증(U23.4)에 해당하는 질환으로 진단받은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다.

이 진료지침의 사용자는 외래와 병동에서 중풍 환자를 진료하는 한의사이다. 이 지침은 외래 및 병동의 진료 상황에서 중풍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된다.

이 지침은 전체 한의사가 사용 가능하고, 근거중심의학(Evidence-Based Medicine, EBM)에 기반하여 개발되었다.

2. 질환 개요

중풍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은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의 뇌혈관질환(I60-I69) 및 중풍후유증(U23.4)에 해당하는 질환으로 진단받은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다.

제 2차 한의 중풍진단 표준화위원회 회의(2005)에서 합의된 내용에 따르면, 중풍의 정의는 뇌혈관의 순환장애로 인해 국소적인 신경학적 결손을 나타내는 뇌혈관질환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인사불성, 수족탄탄, 구안와사, 언어건삽, 편신마목 등의 임상증상을 나타내는 병증이다.

중풍변증진단표준회 위원회에서는 국내 15개 한방병원이 참여한 임상자료 수집을 통하여 중풍변증을 화열증, 음허증, 기허증, 습담증으로 나누어 임상지표를 개발하였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뇌졸중을 혈관성 원인으로 인해 갑자기 발생한 국소 신경학적 장애 또는 전반적 장애가 24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사망에 이르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뇌졸중은 크게 뇌동맥의 갑작스러운 폐색으로 인한 뇌경색, 뇌동맥 파열로 인한 뇌출혈, 연질막과 지주막 사이 공간에 뇌동맥의 출혈로 인한 지주막하출혈의 3가지 분류로 나뉜다.

중풍의 임상적 범주는 WHO의 국제질병분류(ICD-10)과 국내 표준질병사인분류(KCD-8)를 기준으로 뇌혈관질환(I60-I69)를 포함하며, 국제전통의학질병분류(ICTM)와 국내에서만 사용하는 특수목적코드인 중풍후유증(U23.4)을 포함하는 영역의 질환이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뇌졸중 치료 가이드라인

다음은 Bing에서 뇌졸중 치료 가이드라인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뇌졸중 환자는 평생 장애를 갖고 살아야 할까?

  • 뇌졸중
  • 뇌졸중재활치료
  • 뇌혈관질환전문병원
  • 재활치료
  • 명지성모병원

뇌졸중 #환자는 #평생 #장애를 #갖고 #살아야 #할까?


YouTube에서 뇌졸중 치료 가이드라인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뇌졸중 환자는 평생 장애를 갖고 살아야 할까? | 뇌졸중 치료 가이드라인,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그것만 이 내 세상 코드 | 들국화 - 그것만이 내 세상 Mr 449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