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window boot manager 해결 – 중랑구 컴퓨터수리 Windows Boot Manager가 떠서 데이터 복구 후 윈도우10 설치“?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hu.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hu.taphoamini.com/photos/.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컴퓨터수리 컴수리존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4,140회 및 좋아요 1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window boot manager 해결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중랑구 컴퓨터수리 Windows Boot Manager가 떠서 데이터 복구 후 윈도우10 설치 – window boot manager 해결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전원을 켜면 Windows Boot Manager가 뜹니다. 중랑구 컴퓨터수리가 출장 갔는데 파티션이 삭제됐고 데이터 복구를 현장에서 해드리고 윈도우10 설치까지 해드렸습니다.
[출처] https://blog.naver.com/ghkdlxld7610
window boot manager 해결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Windows 부팅 문제에 대한 고급 문제 해결 – Microsoft Docs
단계, 부팅 프로세스, BIOS, UEFI. 1, 사전 부팅, MBR/PBR(부트스트랩 코드), UEFI 펌웨어. 2, Windows 부팅 관리자, %SystemDrive%\bootmgr …
Source: docs.microsoft.com
Date Published: 11/1/2021
View: 4787
[A-Z까지 총정리] Windows 부트 매니저의 모든 것! – EaseUS
컴퓨터가 시작되면 시작할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부팅 관리자란 무엇인가. 부트 환경 내에서 Boot Manager에 의해 시작된 개별 부트 응용 …
Source: www.easeus.co.kr
Date Published: 6/24/2021
View: 4692
윈도우7, 윈도우10 부팅 안 됨 오류 – 복구 방법 소개 #1
ESP(=Efi System Partition)영역의 부팅정보파일이 손상되었을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UEFI모드 부팅메뉴에서 WIndows Boot Manager…가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
Source: sihloh4me.tistory.com
Date Published: 2/23/2022
View: 4196
[PC진단]Windows Boot Manager 오류/부팅순서 : 네이버 블로그
Windows 기반 컴퓨터가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지 않을 경우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부팅 문제를 해결 하려면 먼저 확인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1.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10/3/2021
View: 7687
Windows 10에서 Windows 부팅 관리자를 시작하지 못했습니다.
Windows Boot Manager Failed Start Windows 10 … Windows 부팅 관리자 실패. REKLAMA. 오류 : 액세스 할 수없는 부팅 장치, 스스로 해결하는 방법?
Source: ko.gov-civil-setubal.pt
Date Published: 9/18/2021
View: 8818
Windows Boot Manager의 역할 및 부팅 순위가 #1이어야 하는 …
윈도우 10에서부터는 바이오스 부팅이 Windows Boot Manger로 설정되어 1순위에 위치해 부팅이 이뤄지게 됩니다. 그런데, 이 Windows BootManager가 …
Source: goaway007.tistory.com
Date Published: 12/11/2021
View: 7155
윈도우 업데이트 후 윈도우부팅 오류 해결 – 돔돔이블로그
문제 해결에 들어가면 이 PC 초기화, 고급옵션 2가지가 나옵니다 … Boot Option Priorities 옵션에 Windows Boot Manager .
Source: domdom.tistory.com
Date Published: 3/22/2022
View: 170
UEFI 바이오스 부팅순서에서 Windows Boot Manager 사라졌을 …
등 MBR 환경을 복구하는 명령어로도 해결되지 않았고, diskpart와 연계하는 해결법을 동원해도 바이오스 부팅순서에 Windows Boot Manager는 나타나지 …
Source: jimnong.tistory.com
Date Published: 12/16/2021
View: 4899
Windows 10 부팅 관리자 및 부팅 문제 수정
Windows Boot Genius는 Windows 부팅 관리자 문제를 진단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 최초의 PC 유틸리티로 부팅 실패, 충돌, 정지, 검은 화면 또는 죽음의 …
Source: robertegraham.com
Date Published: 11/20/2021
View: 917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window boot manager 해결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중랑구 컴퓨터수리 Windows Boot Manager가 떠서 데이터 복구 후 윈도우10 설치.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window boot manager 해결
- Author: 컴퓨터수리 컴수리존
- Views: 조회수 4,140회
- Likes: 좋아요 13개
- Date Published: 2020. 12. 5.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8XoCdAfWAW4
Windows 부팅 문제에 대한 고급 문제 해결 – Windows Client Management
목차
Windows 부팅 문제에 대한 고급 문제 해결
아티클
06/07/2022
읽는 데 12분 걸림
기여자 1명
이 문서의 내용
가상 에이전트를 사용해 보세요. – 일반적인 Windows 부팅 문제를 빠르게 식별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참고 이 문서는 지원 에이전트 및 IT 전문가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복구 옵션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찾고 있는 경우 Windows 10의 복구 옵션을 참조하세요.
요약
Windows 기반 컴퓨터에서 시작 중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부팅 문제를 해결하려면 먼저 다음 중 컴퓨터에서 문제가 발생한 단계가 무엇인지 확인합니다.
단계 부팅 프로세스 BIOS UEFI 1 사전 부팅 MBR/PBR(부트스트랩 코드) UEFI 펌웨어 2 Windows 부팅 관리자 %SystemDrive%\bootmgr \EFI\Microsoft\Boot\bootmgfw.efi 3 Windows OS 로더 %SystemRoot%\system32\winload.exe %SystemRoot%\system32\winload.efi 4 Windows NT OS 커널 %SystemRoot%\system32
toskrnl.exe
PreBoot: PC의 펌웨어가 POST(Power-On Self Test)를 시작하고 펌웨어 설정을 로드합니다. 이 사전 부팅 프로세스는 유효한 시스템 디스크가 감지되면 종료됩니다. 펌웨어는 MBR(마스터 부트 레코드)를 읽은 다음 Windows 부팅 관리자를 시작합니다. Windows 부팅 관리자: Windows 부팅 관리자는 Windows 부팅 파티션에서 Windows 로더(Winload.exe)를 찾아 시작합니다. Windows 운영 체제 로더: Windows 커널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필수 드라이버가 로드되고 커널이 실행되기 시작합니다. Windows NT OS 커널: 커널은 BOOT_START로 표시된 시스템 레지스트리 하이브 및 기타 드라이버를 메모리에 로드합니다. 커널은 시스템 세션을 초기화하는 세션 관리자 프로세스(Smss.exe)에 제어 기능을 전달하고, BOOT_START를 표시하지 않는 드라이버 및 장치를 로드하여 시작합니다.
다음은 부팅 시퀀스,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내용 및 시퀀스의 해당 시점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부팅 문제에 대한 요약입니다. 문제 해결을 시작하기 전에 부팅 프로세스의 개요와 표시 상태를 이해하여 서비스 시작 시 문제가 제대로 식별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축소판을 선택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각 단계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식이 다릅니다. 이 문서에는 처음 세 단계를 진행하는 동안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 기법이 나와 있습니다.
참고 컴퓨터가 복구 옵션으로 반복해서 부팅되는 경우 명령 프롬프트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주기를 중단합니다. Bcdedit /set {default} recoveryenabled no F8 옵션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 Bcdedit /set {default} bootmenupolicy legacy
BIOS 단계
시스템이 BIOS 단계를 통과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컴퓨터에 연결된 외부 주변 장치가 있으면 연결을 끊습니다. 물리적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표시등이 작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작동하지 않는다면 이는 시작 프로세스가 BIOS 단계에서 멈춰 있음을 나타냅니다. NumLock 키를 눌러 표시등이 켜지고 꺼지는지 확인합니다. 표시등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이는 시작 프로세스가 BIOS에서 멈춰 있음을 나타냅니다. 시스템이 BIOS 단계에서 멈춰 있는 경우 하드웨어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부팅 로더 단계
화면이 깜박이는 커서를 제외하고 검은색으로 표시되거나 다음 오류 코드 중 하나를 수신하는 경우, 이 상태는 부팅 프로세스가 부팅 로더 단계에서 멈춰 있음을 나타냅니다.
BCD(부팅 구성 데이터)가 없거나 손상됨
부팅 파일 또는 MBR가 손상됨
운영 체제가 없음
부팅 섹터가 없거나 손상됨
Bootmgr가 없거나 손상됨
시스템 하이브가 없거나 손상되어 부팅할 수 없음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Windows 설치 미디어를 사용하여 컴퓨터를 시작하고 명령 프롬프트에서 Shift + F10을 누른 후 다음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합니다.
방법 1: 시동 복구 도구
시동 복구 도구는 여러 가지 일반적인 문제를 자동으로 해결합니다. 또한 이 도구를 사용하면 더 복잡한 시동 문제를 빠르게 진단하고 복구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에서 시동 문제를 감지하면 컴퓨터는 시동 복구 도구를 시작합니다. 도구가 시작되면 진단을 실행합니다. 이러한 진단에는 문제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동 로그 파일을 분석하는 일이 포함됩니다. 시동 복구 도구에서 원인을 확인하면 이 도구는 문제를 자동으로 해결하려고 시도합니다.
시동 복구 도구를 호출하는 이 작업을 수행하려면 다음 단계를 수행합니다.
참고 WinRE를 시작하는 추가 방법은 Windows RE(Windows 복구 환경)를 참조하세요.
설치된 Windows 버전의 설치 미디어로 시스템을 시작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Windows용 설치 미디어 만들기를 참조하세요. Windows 설치 화면에서 다음 > 컴퓨터 복구를 선택합니다. 옵션 선택 화면에서 문제 해결을 클릭합니다. 고급 옵션 화면에서 시작 수리를 선택합니다. 시동 복구 후 종료를 선택한 다음 PC를 켜 Windows에서 제대로 부팅할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시동 복구 도구는 시동 문제와 수행된 복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로그 파일을 생성합니다. 로그 파일은 다음 위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windir%\System32\LogFiles\Srt\Srttrail.txt
자세한 내용은 블루 스크린 오류 문제 해결을 참조하세요.
방법 2: 부트 코드 복구
부트 코드를 복구하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
BOOTREC /FIXMBR
부팅 섹터를 복구하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
BOOTREC /FIXBOOT
참고 BOOTREC 을(를) Fixmbr 과(와) 함께 실행하면 마스터 부팅 코드만 덮어씁니다. MBR의 손상이 파티션 테이블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Fixmbr 을(를) 실행하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방법 3: BCD 오류 수정
BCD 관련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설치되어 있는 모든 시스템을 검색합니다. 이 단계를 수행하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 Bootrec /ScanOS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여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 bcdedit /export c:\bcdbackup attrib c:\boot\bcd -r -s -h ren c:\boot\bcd bcd.old bootrec /rebuildbcd 시스템을 다시 시작합니다.
방법 4: Bootmgr 바꾸기
방법 1, 2, 3으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C 드라이브의 Bootmgr 파일을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파티션으로 바꿉니다. 이렇게 바꾸는 작업을 수행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릅니다.
명령 프롬프트에서 디렉터리를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파티션으로 변경합니다. attrib 명령을 실행하여 파일 숨기기를 해제합니다. attrib -r -s -h 시스템 드라이브로 이동하고 동일한 명령을 실행합니다. attrib -r -s -h bootmgr 파일의 이름을 bootmgr.old (으)로 바꿉니다. ren c:\bootmgr bootmgr.old 시스템 드라이브로 이동합니다. bootmgr 파일을 복사한 다음 시스템 예약 파티션에 붙여넣습니다. 컴퓨터를 다시 시작합니다.
방법 5: 시스템 하이브 복원
Windows에서 시스템 레지스트리 하이브를 메모리에 로드할 수 없는 경우 시스템 하이브를 복원해야 합니다. 이 단계를 수행하려면 Windows 복구 환경을 사용하거나 ERD(응급 복구 디스크)를 사용하여 C:\Windows\System32\config\RegBack 디렉터리에서 C:\Windows\System32\config (으)로 파일을 복사하세요.
문제가 계속되면 시스템 상태 백업을 대체 위치로 복원한 다음 바꿀 레지스트리 하이브를 검색해 볼 수 있습니다.
참고 Windows 10, 버전 1803부터 Windows에서는 더 이상 시스템 레지스트리를 RegBack 폴더에 자동으로 백업하지 않습니다. 이 변경은 의도적인 것이며, Windows의 전체 디스크 공간 크기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레지스트리 하이브가 손상된 시스템을 복구하려면 시스템 복원 지점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Windows 10 버전 1803부터 시스템 레지스트리가 RegBack 폴더에 더 이상 백업되지 않음을 참조하세요.
커널 단계
시스템이 커널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여러 증상이 나타나거나 여러 오류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이러한 오류 메시지는 다음 예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다음 복구 부팅 옵션을 한 번에 하나씩 시도해 보세요.
시나리오 1: 안전 모드 또는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으로 컴퓨터 시작해 보기
고급 부팅 옵션 화면에서 안전 모드 또는 안전 모드(네트워킹 사용) 로 컴퓨터를 시작해 봅니다. 이러한 옵션 중 하나가 작동하는 경우 이벤트 뷰어를 사용하여 부팅 문제의 원인을 식별하고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로그에 기록된 이벤트를 확인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다음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이벤트 뷰어를 열 수 있습니다. 시작 메뉴로 이동하여 관리 도구 를 선택한 다음 이벤트 뷰어 를 선택합니다.
MMC(Microsoft Management Console)에서 이벤트 뷰어 스냅인을 시작합니다. 콘솔 트리에서 이벤트 뷰어를 확장한 다음 보려는 로그를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시스템 로그 또는 애플리케이션 로그를 선택합니다. 세부 정보 창에서 보려는 이벤트를 엽니다. 편집 메뉴에서 복사를 선택합니다. 이벤트를 붙여넣을 프로그램에서 새 문서를 엽니다. (예: Microsoft Word). 그런 다음 붙여넣기를 선택합니다. 위쪽 화살표 또는 아래쪽 화살표 키를 사용하여 이전 또는 다음 이벤트에 대한 설명을 봅니다.
클린 부팅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하려면 시스템 구성( msconfig )을 사용하여 클린 부팅을 수행하세요. 선택 모드를 선택하여 서비스를 한 번에 하나씩 테스트하면 문제의 원인이 되는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 시스템 서비스를 포함해 보세요.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문제가 있는 서비스는 타사 서비스입니다.
오류가 있는 것으로 발견된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하고 정상 모드를 선택하여 컴퓨터를 다시 시작해 봅니다.
자세한 지침은 Windows에서 클린 부팅을 수행하는 방법을 참조하세요.
컴퓨터가 드라이버 서명 사용 안 하게 설정 모드로 시작하면 드라이버 서명 적용 사용 안 에서 컴퓨터를 시작한 후 다음 문서에 설명된 단계에 따라 드라이버 서명 적용이 필요한 드라이버 또는 파일을 확인합니다. 드라이버 서명 누락으로 인한 부팅 문제 해결(x64)
참고 컴퓨터가 도메인 컨트롤러인 경우 DSRM(디렉터리 서비스 복원 모드)을 시도합니다. 중지 오류 “0xC00002E1” 또는 “0xC00002E2″가 발생하는 경우 이 방법이 중요한 단계입니다.
예
경고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사용하거나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레지스트리를 잘못 수정하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면 운영 체제를 다시 설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Microsoft는 이러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보장할 수 없습니다. 레지스트리 수정에 따른 모든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오류 코드 INACCESSIBLE_BOOT_DEVICE(STOP 0x7B)
이 중지 오류를 해결하려면 다음 단계에 따라 드라이버를 필터링합니다.
시스템의 ISO 디스크를 디스크 드라이브에 넣어 WinRE(Windows 복구 환경)로 이동합니다. ISO는 동일한 Windows 버전이거나 그 이후 버전이어야 합니다. 레지스트리를 엽니다. 시스템 하이브를 로드하고 이름을 test로 지정합니다. 다음 레지스트리 하위 키에서 타사 드라이버에 대한 하위 필터 및 상위 필터 항목을 확인합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ontrolSet001\Control\Class 찾은 각 타사 드라이버에 대해 상위 또는 하위 필터를 선택한 다음 값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전체 레지스트리에서 유사한 항목을 검색합니다. 적절하게 처리한 다음 레지스트리 하이브를 언로드합니다. 표준 모드에서 서버를 다시 시작합니다.
자세한 문제 해결 단계는 중지 오류 7B 또는 Inaccessible_Boot_Device에 대한 고급 문제 해결을 참조하세요.
Windows 업데이트를 설치한 후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려면 다음 단계를 사용하여 보류 중인 업데이트를 확인합니다.
WinRE에서 명령 프롬프트 창을 엽니다.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 DISM /image:C:\ /get-packages 보류 중인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제거합니다. DISM /image:C:\ /remove-package /packagename: name of the package DISM /Image:C:\ /Cleanup-Image /RevertPendingActions 컴퓨터를 시작해 봅니다.
컴퓨터가 시작되지 않는 경우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WinRE에서 명령 프롬프트 창을 열고 메모장과 같은 텍스트 편집기를 시작합니다. 시스템 드라이브로 이동하여 windows\winsxs\pending.xml 을(를) 검색합니다. pending.xml 파일이 발견되면 파일 이름을 pending.xml.old (으)로 변경합니다. 레지스트리를 연 다음 HKEY_LOCAL_MACHINE의 구성 요소 하이브를 테스트로 로드합니다. 로드된 테스트 하이브를 강조 표시한 다음 pendingxmlidentifier 값을 검색합니다. pendingxmlidentifier 값이 있으면 삭제합니다. 테스트 하이브를 언로드합니다. 시스템 하이브를 로드하고 이름을 test로 지정합니다. 다음 하위 키로 이동합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ontrolSet001\Services\TrustedInstaller Start 값을 1 에서 4 (으)로 변경합니다. 하이브를 언로드합니다. 컴퓨터를 시작해 봅니다.
시작 프로세스 후반부에 중지 오류가 발생하거나 중지 오류가 여전히 생성되는 경우, 메모리 덤프를 캡처할 수 있습니다. 좋은 메모리 덤프는 중지 오류의 근본 원인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커널 생성 또는 전체 크래시 덤프를 참조하세요.
Windows 10 또는 Windows Server 2016의 페이지 파일 문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페이지 파일 소개를 참조하세요.
중지 오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지 오류 또는 블루 스크린 오류 문제에 대한 고급 문제 해결을 참조하세요.
경우에 따라 덤프 파일에 드라이버와 관련된 오류가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windows\system32\drivers\stcvsm.sys 이(가) 없거나 손상되었습니다. 이 경우 다음 지침을 따르세요.
드라이버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확인하세요. 드라이버가 타사 부팅 드라이버인 경우 그 기능을 이해해야 합니다.
드라이버가 중요하지 않고 종속성이 없는 경우 시스템 하이브를 로드한 다음 드라이버를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합니다.
중지 오류가 시스템 파일 손상을 나타내는 경우 오프라인 모드에서 시스템 파일 검사기를 실행합니다. 이 작업을 수행하려면 WinRE를 열고 명령 프롬프트를 연 후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 SFC /Scannow /OffBootDir=C:\ /OffWinDir=C:\Windows 자세한 내용은 시스템 파일 검사기(SFC)를 사용하여 문제 해결을 참조하세요. 디스크가 손상된 경우 다음 디스크 확인 명령을 실행합니다. chkdsk /f /r
중지 오류에 일반 레지스트리 손상이 표시되거나 새 드라이버 또는 서비스가 설치된 것으로 생각되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WinRE를 시작하고 명령 프롬프트 창을 엽니다. 메모장과 같은 텍스트 편집기를 시작합니다. C:\Windows\System32\Config\ (으)로 이동합니다. 이름에 .old 을(를) 추가하여 5개의 모든 하이브 이름을 바꿉니다. Regback 폴더에서 모든 벌통을 복사하여 Config 폴더에 붙여넣은 다음 컴퓨터를 일반 모드에서 시작해 보세요.
윈도우7, 윈도우10 부팅 안 됨 오류 – 복구 방법 소개 #1
728×90
반응형
서론
윈도우7,10을 사용하다가 윈도우가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부팅에 필요한 시스템파티션의 손상이나 디스크 손상, 윈도우손상이 주로 발생되는데요.
이런 오류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아래와 같은 오류 메시지를 보여주면서 윈도우로 부팅이 되지 않는 증상을 보입니다.
오류메시지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아래와 같은 오류 메시지가 발생되면서 윈도우로 부팅이 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그 원인과 조치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려 보려고 합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볼 때는 윈도우가 실행되지 않는 부팅 불량 증상은 같지만, 윈도우 설치 환경이나 설치 상태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오류 메시지는 다르게 표시 됩니다.
브랜드PC의 경우 제조사에서 복원솔루션을 설치해 놓은 경우 파티션이 5개 이상으로 설정된 시스템에서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으로 수정 조치가 안될 수 있습니다. 복원솔루션을 이용해서 복구를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EFI 모드로 설치 된 윈도우7,10이 부팅이 안될 때
Reboot and Select proper Boot device
or Insert Boot Media in selected Boot device and press a key 오류 메시지 발생됨
● Legacy 모드로 설치 된 윈도우7,10이 부팅이 안될 때
BOOTMGR is missing
Press Ctrl + Alt + Del to restart 오류 메시지 발생됨
● 위와 같은 오류와 부팅안됨 증상이 발생되는 원인
0. 윈도우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FreeDos, Linux System
1. 윈도우 부팅용 시스템파티션(ESP) 손상 또는 시스템파일 손상
2. 윈도우가 설치된 디스크가 포멧 된 경우
3. 바이러스나 악성코드로 인하여 부팅에 필요한 윈도우 시스템파일이 손상된 경우
4. 디스크 손상(불략섹터, 충격, 수명 저하 등)으로 인한 경우
5. 메인보드와 디스크를 연결하는 SATA케이블 불량 또는 케이블 접속불량인 경우
6. BIOS설정에서 부팅 디스크 선택이 잘 못 되었을 경우
7. 두개의 디스크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이전 윈도우설치 디스크(2)에 500MB의 ESP영역이 있는데, 새 디스크(1)를 추가하면서 1번 디스크에 ESP영역이 생성되지 않고, 2번디스크에 이미 생성되어있는 ESP영역을 사용하여 1번 디스크에 윈도우가 설치된 후, 2번디스크를 제거하거나 Diskpart 명령 진입하여 clean 명령으로 2번디스크의 파티션 전체를 지웠을 경우에 부팅정보가 담긴 ESP(=Efii System Partition) 영역이 지워졌을 때 발생됨
위에 나열한 부팅 안됨 증상중에서 1,3,7번에 대한 부팅오류 증상에 대한 조치 방법을 설명할까 합니다.
● 참고사항
윈도우가 부팅이 되는 경우에는 부팅 시 F8 (윈도우7이하, 윈도우10은 추가 설정 필요) 키를 눌러서 안전모드로 부팅해서 시스템복구 및 CMD 명령창에서 복구하는 방법을 이용해 볼 수 있지만, 위와 같은 오류 메시지가 발생되는 부팅불량 증상의 경우에는 윈도우로의 진입 조차 되지 않음으로 윈도우자체적으로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음
따라서 윈도우복구미디어를 미리 만들어 놓았거나, 윈도우 설치용 USB나 복구미디어용 파일이 담긴 WINPE를 이용해서 복구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 단계별 조치방법
준비: 윈도우설치용 USB 준비 필요 (윈도우복구미디어 기능 포함된 설치 이미지 사용) [YMtech_USB#16 포스팅 참고]
◈ 설치 및 복구용 이미지 다운
설치용 이미지에는 복구모드가 포함되어 있으니 용량에 따라 필요한 iso 파일을 받으시면 됩니다.
1) YMtech_pass.iso : 윈도우10 복구모드(Recovery Boot)와 WINPE , 1.7GB [다운가능]
2) YMtech_USBv9.8W10u.iso : 최신버전 윈도우10+EasyDrv7 포함 , 15.52GB[다운가능]
=> v9.x 설치이미지 사용방법 설명 보기링크
– 크롬브라우저로 받을 경우 아래 이미지를 참고 하세요!
1.윈도우복구용 이미지나 설치 이미지가 담긴 USB로 부팅해서 복구하는 방법
-복구하고자하는 컴퓨터에 설치된 윈도우가 UEFI방식인지 Legacy 방식인지 확인이 필요함
UEFI방식으로 설치되었다면 윈도우가 설치된 디스크가 여러개의 파티션으로 나눠져 있을 것이고, Legacy 방식으로 설치가 되었다면 윈도우가 설치된 디스크가 한개나 두개의 파티션으로 구성되어 있을 겁니다.
-윈도우7 부터는 Legacy 모드로 설치될 경우 ESP영역(약500MB)이 추가로 생성되면서 그 영역에 부팅에 필요한 파일들이 생성되어 들어가게 되어있음으로 HDD COPY툴 등의 비 정상적인 방법으로 윈도우를 설치하게 되면 이후 사용상에 여러가지 오류들이 발생될 수 있음으로, 반드시 ESP영역이 윈도우가 설치되는 디스크에 생성되도록 설치를 하여야 합니다.
-참고로 이 방법은 제조사의 복구솔루션이 세팅된 시스템(c드라이브가 5개 이상의 파티션으로 나눠져 있는 구조)에서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준비된 부팅USB(=윈도우설치USB)를 고장난 시스템에 설치된 환경(UEFI, Legacy)에 맞게 부팅모드를 선택해서 부팅 해 주셔야 합니다.
LG 그램 노트북 – 전원키자마자 F10키를 꾹꾹꾹 누르고 있으면 됨.
USB를 PC에 연결한 후 부팅메뉴선택키를 눌러서 아래와 같은 부팅 메뉴가 보이면…
-아래는 GIGABYTE 사의 메인보드 입니다-
사용하는 부팅USB가 Sandisk일때
UEFI 모드로 부팅을 하려면 UEFI:SanDisk…. 을 선택하시면 되고
LEgacy 모드로 부팅을 하려면 Sandisk 를 선택 하시면 됩니다.
ESP(=Efi System Partition)영역의 부팅정보파일이 손상되었을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UEFI모드 부팅메뉴에서 WIndows Boot Manager…가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ESP가 손상되었음으로 부팅이 되지 않게 됩니다. 이와 같이 윈도우7,10 에서는 ESP영역이 손상되거나 부팅정보파일이 손상된 문제로 인하여 윈도우로 부팅이 되지 않는 현상이 많은 원인으로 발생될 수 있습니다.
-원인: 바이러스감염, 디스크의 물리적인 손상(BAD SECTOR), 사용자실수로 삭제, 윈도우 중복 재설치, 디스크를 추가하여 윈도우를 새로 설치하면서 ESP영역중복사용, 기타 파티션을 건드는 프로그램의 오류로 인한 손상….등등
UEFI 모드로 부팅을 했을 경우 아래와 같이 BCD 부트메뉴에서 UEFI 라는 이름으로 보이게 됩니다.
(윈도우설치USB의 BCD를 편집했을 경우에만 UEFI가 보임, 아래와 같이 보이도록 편집해서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여기에서 가장 아래에 있는 윈도우복구미디어[UEFI] Windows10 x64 Recovery Boot 를 선택하여 부팅 해 줍니다.
Legacy 모드로 부팅 했을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BCD 메뉴가 보여 집니다.
가장 아래에 있는 Windows10 x64 Recover Boot 를 선택 해 주시면 됩니다.
USB로 부팅이 진행됩니다.
복구미디어가 시작되면 한글입력기를 선택 합니다.
복구 옵션선택 창에서 문제해결을 선택 합니다. – 아래는 UEFI 모드로 부팅 했을 때 옵션-
아래는 Legacy 모드로 부팅 했을 때 보여지는 옵션 입니다. 문제해결을 선택합니다.
2. 고급옵션-시동복구 이용하기
고급옵션에서 시동복구를 선택 합니다.
대상운영 체제를 선택한 후 시동복구를 진행합니다.
윈도우가 복구할 수 있는 오류라면 위 단계에서 복구가 완료되었다는 메시지가 나오면서 복구가 완료되고,
복구할 수 없는 심각한 오류인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복구실패가 됩니다.
위와 같이 시동복구가 실패할 경우에는 심각한 오류가 발생된 상태임으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복구를 시도해 줍니다.
이 방법은 윈도우가 설치된 드라이브-C 드라이브-는 정상적으로 보존이 된 상태일 때 복구가 가능합니다. 즉 윈도우 부팅시스템파티션(ESP)만 손상이 되었을 때 복구가 가능한 방법입니다.
일반적인 악성코드나 바이러스로 인해서 ESP영역만 손상된 경우에는 윈도우는 멀쩡히 살아 있으며, 부팅에 필요한 정보만 손상이 되었기 때문에 아래 과정을 거쳐서 부팅파일만 복구 해 주시면 복구될 확률이 높습니다.
3. 고급옵션-명령 프롬프트 이용하기 : 부트정보 복구
고급옵션 선택화면으로 돌아가서 명령프롬프트를 선택 한 후 아래 과정을 진행 해 줍니다.
X 드라이브로 된 명령프롬프트 창이 열립니다.
bootrec /fixmbr [엔터]
bootrec /fixboot [엔터]
명령어를 차례대로 입력 해 줍니다. 부팅정보가 수정 됩니다.
완료된 후 USB 제거한 후 윈도우가 정상적으로 부팅되는지 확인 합니다.
복구가 안되면 다음 단계를 진행합니다.
3. 고급옵션-명령 프롬프트 이용하기: ESP복구
다시 고급옵션-명령프롬프트를 선택 해 줍니다.
명령프롬프트 창에서 Diskpart 를 실행 해 줍니다.
diskpart가 실행되면 현재 시스템에 설치된 디스크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list disk 를 입력 한 후 아래 화면처럼 보이는 시스템의 디스크 정보를 확인 합니다.
디스크 0 과 1은 시스템에 장착된 디스크 이며, 디스크 2는 부팅에 사용된 USB 입니다.-크기로 구분합니다-
윈도우가 설치된 디스크 0 을 선택하기 위해서 sel disk 0 을 입력 합니다.
-Tmi: 이 DIskpart에서 확인되는 디스크0,1,2는 메인보드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SATA포트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디스크0은 메인보드의 SATA1 번 포트에 연결된 디스크이며, 윈도우 OS는 디스크0에 설치하는 것이 Setup.exe의 기본값입니다. 디스크1이나 다른 디스크에 설치해도 부팅은 가능하지만, 이때는 ESP영역에 윈도우가 설치된 디스크위치와 경로가 그에 맞게 수정되어 기록되기 때문에 다른 디스크에 설치되어도 정상적으로 알아서 부팅이 되게 되어지는 것이고, 그 정보가 손상되었거나 기본정보인 디스크0으로 부팅정보가 수정되게 되면 디스크1에 설치된 윈도우는 부팅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되게 되는 것입니다. 가장 무난하게 사용하려면 디스크를 추가하더라도 디스크0에 윈도우를 설치하는 습관을 들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윈도우 설치시에도 느끼셨겠지만 디스크0에 윈도우를 설치하면 설치과정에서 자동으로 ESP영역을 추가로 생성하지만, 디스크1,2,3등에 설치하게 되면 이미 디스크0에 생성된 ESP를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나중에 그 디스크0을 제거한다면 ESP영역이 없어져서 부팅정보가 삭제됨으로 디스크1에 설치된 윈도우가 부팅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됩니다.
두개 이상의 디스크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기존에 윈도우를 설치했던 디스크를 그대로 놔두고 추가로 디스크를 설치해서 윈도우를 추가한 디스크에 설치하는 경우라면 기존 디스크의 케이블을 제거한 후 설치하시거나 기존디스크0의 ESP영역(Legacy는 500MB, UEFI는 100MB)을 디스크관리 항목에서 제거한 후 설치를 진행 해 주시면 새로운디스크에 ESP영역을 추가로 생성해서 윈도우가 설치될 것 입니다.
하지만, 추가한 디스크가 SATA포트 몇번에 연결되었는지에 따라서
설치과정에서 디스크0이 어떤 디스크인지에 따라서 부팅정보파일이 생성되는 위치가 자동으로 디스크0으로 지정되기 때문에 윈도우 설치 대상 디스크가 디스크0이 아닐 경우에는 무조건 디스크0에 부팅정보를 기록하게 윈도우설치프록램이 설정되어있습니다. 따라서, 추가한 디스크에 윈도우를 클린설치를 하시려는 경우에는 기존에 장착된 m.2 SSD를 분리해 놓거나 일반 2.5인치 SSD의 SATA데이터 케이블을 분리 하신 후 추가한 SSD만을 연결한 후 윈도우10을 설치해 주시는 게 좋습니다.
또한, 여러개의 디스크를 사용하시는 경우에는 디스크관리 형식(CSM=Legacy, UEFI모드)을 한가지로 통일 해서 설치하시길 추천 드립니다. 아마도 BIOS에서 어떤모드로 설정 했는지에 따라서 연결된 디스크 포멧형식이 결정되기 때문에
이부분을 잘 이해하지 않으실 경우에는 윈도우설치과정에서 윈도우가 설치할 수 없는 디스크라는 오류를 보게 되실겁니다.
자세한 디스크0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detail disk 를 입력 해 줍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자세한 디스크 0 에 대한 정보가 보여집니다.
디스크 0 은 3개의 볼륨(파티션)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윈도우는 C 드라이브에 Win10edu라는 볼륨명으로 된 파티션에 설치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볼륨2는 RAW파티션으로 100MB 크기입니다. 따라서 이 볼륨2 가 ESP(Efi System Partition)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선택된 디스크 0 에 대한 파티션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list par 를 입력 해 줍니다.
디스크 0에는 3개의 파티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스크 0은 UEFI 모드로 설치된 디스크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으로 디스크 0에 대한 부팅정보를 수정하려면 초기 USB로 부팅할 때 UEFI 모드로 부팅을 해 줘야 한다는 이야기 입니다. 혹시라도 Legacy모드로 부팅을 했다면 다시 재부팅 해서 UEFI모드로 부팅모드를 바꿔서 복구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디스크 0 정보중에서 가장 오른쪽 끝에 Gpt 항목에 * (별표) 표시가 있는 것으로도 디스크 0 이 GPT 형식 즉 UEFI모드로 부팅된 상태로 윈도우가 설치 되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확인하 detail disk 명령을 통해서 윈도우10이 설치된 디스크와 볼륨명, 드라이브 레터를 확인합니다.
또 ESP 영역을 확인 해 줍니다.
ESP영역을 편집하기 위해서 드라이브 레터를 지정 해 줍니다.
sel vol 2 를 입력해서 볼륨2를 선택해 줍니다.
assign letter=b 를 입력 해서 ESP영역의 볼륨에 B로 드리이브 명을 지정 해 줍니다.
간혹 특정시스템에서는 윈도우가 설치된 드라이브명이 C 였으나 악성코드 등으로 드라이브명을 다른 것으로 바꿔서 부팅이 되지않는 경우도 있음으로 반드시 윈도우가 설치되어있는 드라이브 명을 기억 하는 게 좋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볼륨레이블로 알아보기 쉽도록 윈도우를 사용할 때 윈도우가 설치된 C 드라이브에는 Win10 과 같이 볼륨명을 지정 해 주시고, D와 같이 Data백업용으로 사용하는 디스크에는 Data 등으로 볼륨명을 지정 해 주시면
이렇게 복구모드에서 명령창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오류로 윈도우가 설치된 C 드라이브가 다른 레터로 바뀌어 있거나 드라이브명이 할당이 되어있지 않는다면
assign 명령을 통해서 윈도우가 설치된 드라이브 명도 지정 해 주셔야 합니다.
다시 list vol 명령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ESP 영역의 볼륨이 B로 드라이브명이 지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ESP파티션볼륨이 B 이고, 윈도우가 설치된 파티션이 C 드라이브인것을 확인 했으니…Disk part를 종료합니다.
exit를 입력하면됩니다.
이제 손상된 ESP영역(B드라이브)을 FAT32 형식으로 포멧하고 볼륨명을 ESP로 구분하기 쉽게 지정 해 줍니다.
아래와 같이 명령창에
format b: /fs:fat32
입력 하고 실행 해 줍니다. 경고가 뜨면 Y를 입력 해서 계속 진행합니다.
포멧이 완료되면 볼륨레이블을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구분하기 쉽게 저는 ESP로 지정 해 줬습니다.
● 이제 B 드라이브에 윈도우 부팅 정보를 새로 생성 해 주어야 합니다.
아래와 같이 (UEFI 부팅 정보를 생성할 때)
bcdboot C:\windows /s B: /f UEFI
또는 (Uefi와 Legacy 모드 부팅 정보를 생성할 때)
bcdboot C:\windows /l ko-kr /s B: /f All
명령어를 입력 해 줍니다.
C:\Windows – 는 윈도우가 설치된 드라이브명과 폴더를 지정 해 주고
B: 는 – ESP 영역의 드라이브 명 입니다. 저는 B로 지정했기에 B로 지정 해 주었습니다.
다른 드라이브 레터 보다는 B가 가장 무난한 것 같습니다.
(A,B는 과거 프로피디스크(Floppy Disk, 5.25inch & 3.5 Inch)로 사용되었던 고정된 디스크드라이브 명입니다)
부팅 파일을 만들었습니다.
라고 나오면 정상적으로 부팅파일이 ESP 영역에 만들어 진 것입니다.
●이제 컴퓨터를 재부팅 하고 USB를 제거한 후 정상적으로 윈도우로 부팅이 되는 지 확인 합니다.
4. ESP복구 후 부팅 확인
정상적으로 UEFI부트 모드에서 ESP영역에 부팅파일이 생성이 되었다면 UEFI모드 부트메뉴에서 아래와 같이
Windows Boot Manager….라는 이름으로 부팅순서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게 1순위로 되어있어야 정상적인 부팅이 됩니다.
Legacy 모드 부팅메뉴에서는 설치된 디스크를 1순위로 지정 해 주시면 됩니다.
● 윈도우복구모드로 부팅 복구가 되지 않는 경우
윈도우PE로 부팅 한 후 디스크에서 중요한 자료를 백업 한 후
디스크 전체를 포멧하는 클린설치로 윈도우를 새롭게 설치해 줘야 합니다.
설치할 때는 여러개의 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SATA1 포트에 디스크를 한개만 연결해서 설치과정에서
디스크0에 윈도우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를 진행하셔야 복잡한 오류를 방지 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설치 프로그램은 디스크0에 부팅정보영역을 생성하도록 되어있음으로 , 요즘처럼 m.2 SSD를 장착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m.2 ssd가 디스크1번이되고, SATA 포트에 연결한 HDD가 디스크0으로 설정이 되어서 설치됨으로, 사용자가 m.2 ssd로 윈도우를 지정하고 설치하더라도 SATA 포트에 연결된 디스크(HDD나 SSD)에 부팅영역이 생성되면서 그 쪽에 부팅정보가 기록되는 경우가 발생됩니다. 이런 현상은 Legacy모드로 설치할 때 발생되며 UEFI모드로 설치할 때는 자동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디스크에 부팅정보영역이 생성되게되면 디스크를 추가해서 추가한 디스크에 UEFI모드로 윈도우를 설치하게 되면 자동으로 이전 디스크에 설치된 부팅영역이 새 디스크로 이동되어서 설치가 됨으로 위와같은 부팅정보영역이 없어져서 발생되는 부팅안됨 오류가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윈도우1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되도록이면 UEFI모드로 설치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2021.5.16 추가 –
또한 윈도우 설치중에 디스크 손상등의 오류가 발생된다면, SATA케이블이나 디스크를 교체 하는 작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물론 m.2 SSD를 장착할 수 있는 메인보드에는 m.2 SSD를 장착한 후 그 디스크에 윈도우를 설치하는 게 가장 좋습니다. 때론 메인보드 시스템에 따라서 m.2 SSD가 디스크1로 인식되는 경우가 있음으로 이점 유념 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ESP영역만 손상되었을 경우 부팅시스템파일을 복구해서 윈도우부팅오류를 수정 하는 방법을 설명드렸습니다.
이 방법은 듀얼OS가 설치된 시스템에서는 적용이 안될 수 있습니다. 단일 OS만 설치된 시스템에서 잘 적용됩니다.
또한 ESP 영역이 디스크에 존재 하지만 손상되었을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한 방법입니다.
만약에 C드라이브로 사용하는 디스크에 ESP영역 또는 부팅시스템영역이 아애 없는 상황(Legacy 모드로 윈도우를 설치 한 후 디스크를 추가해서 다시 윈도우를 추가로 설치했을 경우, 원래 디스크에 부팅정보영역이 존재하며 그 영역을 공유해서 새 디스크에 윈도우가 설치된 경우, 해당 디스크를 제거하면, 현재 디스크에는 윈도우만 설치가 되어있지, 부팅정보영역은 없어져 버린 상태가 됨)이라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윈도우7, 윈도우10 부팅 안 됨 오류 – 복구 방법 #2-TEST 후 포스팅 업데이트 예정 입니다. -2021.05.16 내용추가 수정-
추가된 디스크에 윈도우를 설치했을 경우 드라이브 레터가 E이후로 설정이 되어있고, 부팅정보영역이 없어졌음으로
윈도우가 설치된 동일한 디스크에 부팅정보를 만들어 주면 될 것 같습니다. 아직 테스트 하지는 못했지만
bcdboot F:\windows /l ko-kr /s F: /f All
< F: 는 diskpart 로 확인된 윈도우가 설치된 디스크 드라이브명입니다 >
윈도우리커버리로 부팅한 후 이 명령어로 동일한 디스크에 부팅정보를 생성 해 주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로 ESP 영역을 생성해 주지 않고 그냥 단일파티션에 윈도우도 설치하고 부팅정보도 생성 해 주는 오래전 방식입니다.
● 조치 순서정리
1. USB로 부팅
2. 복구모드로 진입
3. 고급옵션에서 시동복구를 시도해 봄
4. 시동복구로 복구가 안되면 다시 고급옵션으로 돌아간 후
5. 명령프롬프트로 진입
6. diskpart 를 실행한 후 ESP영역 확인 및 B로 드라이브명할당
7. list disk, detail disk 로 윈도우가 설치된 디스크의 정보를 확인하고
8. 설치된 윈도우가 Uefi모드로 설치(약4개 파티션생성됨)되었는지 Legacy 모드(약 1개, 2개의 파티션)로 설치되었는지 확인 하고 그에 맞게 USB 부팅모드 선정해서 부팅필요
9. 윈도우가 설치된 파티션볼륨을 확인하고 드라이브명이 C로 되어있는지(1개의 윈도우만 설치해서 사용중인 일반적인 경우)도 확인필요
10. diskpart를 종료하고
11. format b: /fs:fat32 명령으로 B 드라이브(ESP영역)를 FAT32로 포멧함
12. bcdboot C:\windows /s B: /f UEFI 나 bcdboot C:\windows /l ko-kr /s B: /f All 명령으로
B드라이브(ESP)에 부팅정보를 새롭게 생성 해 주는 작업 필요. 두 명령 중에서 해당 시스템에 맞는 명령어를 사용해 주는 게 필요합니다. 저는 Legacy, UEFI 설치환경 모두 bcdboot C:\windows /s B: /f UEFI 명령으로 복구가 성공하였음
13. 복구작업이 완료 되었으면 USB를 제거한 후 재붙이 해서 윈도우 정상부팅 여부 확인 필요
14. BIOS에서 부팅 1번 순위 설정 확인 필요
※ 참고사이트
Windows 10 부팅 불가-Microsoft 커뮤니티
[FIX] Windows 10 Master Boot Record Is Corrupted더위키-USB부팅
더위키-UEFI
나무위키-UEFi
이 포스팅이 도움되셨다면 공감♡표시 꾹!~ 댓글로 복구 성공여부를 남겨 주세요.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World in Korea
728×90
[PC진단]Windows Boot Manager 오류/부팅순서
Windows Boot Manager 오류/부팅순서
(Windows Boot Manager Error / Boot Sequence)
Windows 기반 컴퓨터가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지 않을 경우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부팅 문제를 해결 하려면 먼저 확인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1. 부팅 MRB/PBR(부트스트랩 코드)
1-1. PC의 펌웨어 전원 켜짐 자체 테스트 및 펌웨어 설정을 로드합니다.
1-2 .유효한 시스템 디스크가 감지되면 사전 부팅 프로세스 가 종료됩니다.
1-3. 펌웨어 마스터 부트 레코드(MBR)을 읽고 Windows 부팅 관리자를 시작 합니다.
2. Widows 부팅 관리자
2-1. %SystemDrive%\bootmgr
2-2. Windows 부팅 관리자를 찾아 Windows 부팅 파티션에 Windows 로더(Winload.exe)을 시작합니다.
3. Windows 운영 체제 로더
3-1. %SystemRoot%\system32\winload.exe
3-2. Windows 커널을 시작하는데 필요한 필수 드라이버가 로드되고 커널에서 실행을 시작합니다.
4. Windows NT OS 커널
4-1. %SystemRoot%\system32
toskrnl.exe
4-2. 시스템 레지스트리 하이브 및 BOOT_START에 표시된 추가 드라이버 커널 메모리에 로드합니다.
5. 부팅오류 예시
Windows Boot Manager의 역할 및 부팅 순위가 #1이어야 하는 이유
반응형
윈도우 10에서부터는 바이오스 부팅이 Windows Boot Manger로 설정되어 1순위에 위치해 부팅이 이뤄지게 됩니다. 그런데, 이 Windows BootManager가 무엇인 지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윈도우 부트 매니저가 왜 있는지, 무엇인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왜 1순위어야 하는지를 질문으로 물어봤는데, 위 글을 요약하면 운영체제라서 1순위에 있는 거라는 말인데 윈도우 부트 매니저는 그런 게 아닙니다..
이 분은 윈도우 관련 지식인 답변을 하시는 분이 아님
■ Windows BootManager란?
→ 윈도우 부트 매니저라는 것은 메인보드가 UEFI이며, CSM 설정이 UEFI로 되어있고 윈도우 설치 환경이 UEFI로 설치가 이뤄진 컴퓨터에서 나타나는 부팅 방식입니다.
이 부팅 매니저는 레거시로 설치된 컴퓨터에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윗 분 말대로 하면 윈도우 부트 매니저가 없으니, 윈도우가 설치되지 않은 것 이겠죠… 그러니, 답변 남긴 분이 설명한 내용은 틀린 말입니다…
§ Windows BootManger 부팅 방식
→ UEFI CSM으로 설치된 컴퓨터의 경우는 디스크 구조 또한 efi 파티션이 존재합니다. EFI 파티션은 윈도우 부팅 시 필요한 파티션으로 운영체제가 설치된 SSD/HDD에 존재해야 합니다. 디스크 관리에서 EFI파티션이 주 파티션 바로 좌, 우측에 위치하고 바로 옆에 주 파티션이 위치해야 올바르게 구동이 이뤄집니다.
EFI파티션
여기서 보이는 EFI 시스템 파티션은 바이오스 부팅 탭에서 보이는 [Windows BootManger(운영체제가 설치된 디스크)]입니다.
§ 요약
UEFI로 설치된 윈도우는 EFI 시스템 파티션이 존재하고 이 EFI 시스템 파티션은 부팅 구동에 관여하는 파티션으로 이것이 바이오스 부팅 탭에 보이는 [Windows BootManger(운영체제가 설치된 디스크)]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Legacy(레거시) 타입으로 설치된 운영체제는 Windows BootManger 항목 자체가 없습니다. 레거시의 경우는 MBR 디스크 구조를 가졌기 때문에 EFI 파티션 자체가 없고, C드라이브(운영체제가 설치된 드라이브)에 윈도 파일을 불러와 부팅이 이뤄지는 구조입니다.
■ Windows BootManger가 1순위이어야 하는 이유
→ 앞서 설명 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윈도우를 구동하기 위한 EFI 시스템 파티션이 Windows BootManger이기 때문에 이것이 #1(1순위)가 아니면 윈도우 부팅 속도가 느려지거나, 부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1순위로 두어야 하는 것입니다.
예) SSD(A)가 1개 있고, HDD(B)가 1개가 있으면, 부팅 순서는 #1 Windows BootManger(A)/#2 HDD(B)/#3 SSD(A) 순서로 되어도 부팅이 제대로 이뤄집니다. 그러나, #1 HDD(B)/#2 Windows BootManger(A)/#3 SSD(A) 순서로 되면 HDD를 읽어드리기 때문에 Boot Loader 오류가 생겨버립니다.
§ 가장 이상적인 부팅 순서
#1 Windows BootManger(A) #2 SSD(A) #3 HDD(B) 입니다.
반응형
윈도우 업데이트 후 윈도우부팅 오류 해결
반응형
어제 윈도우 업데이트 후 컴퓨터 키려고 하는데
계속 아래 화면처럼 옵션선택만 나오고 접근이 안되어서 거의 45분동안 절망에 빠져있었습니다,,,
계속(종료하고 windows 10으로 계속)을 누르면 계속해서 옵션선택 화면이 나와서 실패.
문제 해결에 들어가면 이 PC 초기화, 고급옵션 2가지가 나옵니다
이 PC 초기화를 누르면 “내 파일 유지”, “모든 항목 제거”가 나오는데
저는 중요한 파일들이 들어있기 때문에 절대 모든항목제거(포맷)는 누를 수 없었고,
“내 파일 유지”를 눌러서 “클라우드 다운로드”, “로컬 다시 설치” 모두 눌러봤지만 다 오류가 떠서 실패했어요
이제 “문제 해결”의 “고급옵션”만 남은상태…
일단 아래 사진은 마이크로소프트 부팅오류 도움말에서 가져온 사진 이긴 한데
저의 경우 이전 빌드로 돌아가기 가 아닌 UEFI 펌웨어 설정 옵션이 있었습니다
https://answers.microsoft.com/ko-kr/windows/forum/all/windows-10-%EA%B3%A0%EA%B8%89-%EB%B6%80%ED%8C%85/1248a844-4f9b-45f8-a31d-155e16662f52
1. 시스템 복원 -> 복원지점을 설정한 적이 없어서 실패.
2. 명령 프롬프트 -> 폰으로 구글링 해서 모든 명령어 다 입력해봤지만 실패.
3. 시스템이미지 복구 -> 오류뜨면서 안됨
4. 시동 복구 -> 오류뜨면서 안됨
5. 시작 설정 -> 그냥 다시시작 될뿐 안됨
6. UEFI 펌웨어 설정 -> 누르니 F12눌렀을 때 나오는 BIOS화면이 나오더군요!
부팅오류니까 Boot 메뉴로 이동…
Boot Option Priorities 옵션에 Windows Boot Manager ….가 선택되어 있는 것이 보여요
부트옵션 #1를 클릭해서 열어보니
Windows Boot Manager (SATA : Samsung SSD ….) 등 SATA로 시작하는 3개의 옵션이 있더라구요
바이오스모드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priorities” 라고 적혀있는걸 보니 맨위에있는 것이 가장 우선순위 높은 부팅장치라고 생각되어서(맨위에 있는 옵션으로 부팅) 부트옵션 순서를 드래그하여 바꾸어주었습니다
문제 해결에 급급해서 스샷은 못찍어 왔으나 대략 말로 설명하자면 ..
아래와 같이 부트옵션이 있고, SATA(1)이라는 옵션이 가장 맨위에 있었음.
그러나 SATA(1)은 부팅오류가 나는 애이므로, SATA(2)를 드래그해서 SATA(1)자리와 변경!
변경전
SATA(1)
SATA(2)
SATA(3)
변경후
SATA(2)
SATA(1)
SATA(3)
이렇게 변경하고 재부팅하니 윈도우부팅이 정상작동되었습니다
이것마저 안됐으면 다 포맷하고 재설치 해야됐는데 진짜 다행이었어요 ㅠㅠㅠㅠㅠㅠ
윈도우 계정 로그인하고 바탕화면 보이자마자 안도의 한숨을 쉬고
바로 시스템 속성을 열어서 시스템복원지점을 설정했습니다……
다음에는 또 이런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끝입니다
728×90
반응형
UEFI 바이오스 부팅순서에서 Windows Boot Manager 사라졌을 때 복구하기
에이서(Acer) 노트북 아스파이어 ES1-131-P3ZB에 GPT+UEFI 기반으로 윈도우10을 설치했었습니다.
① 윈도우10만 단일설치했을 때는 Macrium Reflect 툴로 SSD 마이그레이션 하더라도 UEFI 바이오스 부팅순서에 Windows Boot Manager는 정상적으로 살아있었습니다. => 문제없음.
② 윈도우10&우분투 16.04 듀얼부팅 설치 상태에서 Macrium Reflect 툴로 SSD 마이그레이션 했더니 UEFI 바이오스 부팅순서에 Windows Boot Manager가 사라졌습니다. GRUB은 생존.
②의 경우, 윈도우10 설치용 USB로 부팅 후 명령프롬프트에서
bootrec /fixmbr
bootrec /fixboot
bootrec /rebuildbcd
등 MBR 환경을 복구하는 명령어로도 해결되지 않았고, diskpart와 연계하는 해결법을 동원해도 바이오스 부팅순서에 Windows Boot Manager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 문제 발생.
▲ 이게 사라졌다는 거죠. -_-;;
언젠가는 GRUB을 날릴 상황이 올지도 모르는데, 윈도우 부팅을 GRUB에 100% 의존하는 것은 안좋다고 생각하여… 해결책을 모색해봤습니다.
우선 윈도우10 설치용 USB로 부팅을 합니다.
(설치용 USB가 없다면 http://jimnong.tistory.com/659 를 참고해서 만드세요.)
▲ 다음 클릭.
▲ 컴퓨터 복구(R) 클릭.
▲ 문제 해결 클릭.
▲ 시동 복구 클릭.
▲ Windows 10 클릭. (윈도우 여러개 깔았었으면 알아서 고르세요.ㅋ)
▲ “PC 진단 중” 이라는 문구가 뜰 겁니다. 기다리면 복구가 진행됩니다.
※ “시동 복구” 대신 “명령 프롬프트”를 선택한 다음
cd C:\sources\recovery
StartRep.exe
라고 입력해도 같은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복구가 잘 됐다고 메세지가 뜨면 다행이고, 복구 실패했다고 뜨더라도 당황하지 말고 재부팅 후 UEFI바이오스 부팅순서 정하는 곳으로 들어가보세요.
▲ 살아난 Windows Boot Manager 를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 북한의 뽀뽀송
※ 2020. 01. 25. 추가.
만약 본문대로 따라했는데도 Windows Boot Manager 복구가 안 된다면
[윈도우10] Macrium Reflect 우분투 듀얼부팅(UEFI) 마이그레이션 방법, 부팅문제 해결기위의 글을 참고해보세요. “2. 부팅 불가 문제 해결” 부분부터 보시면 됩니다.
(거의 모든 부팅 불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고, 힘들면 동네 PC 수리점이나 저한테 의뢰하세요. -_-;; )
※ 2020. 01. 25. 추가2.
최근 KB4528760 업데이트 설치가 실패하면서 UEFI 바이오스에서 Windows Boot Manager가 사라지는 증상을 경험했습니다(링크).
Windows 10 부팅 관리자 및 부팅 문제 수정
어떤 부팅 관리자인지 알아보기
공식적으로 Windows 부팅 관리자 (BOOTMGR)는부트 매니저라고 불리는 소프트웨어의 작은 조각. BOOTMGR은 Windows 10, Windows 8, Windows 7 또는 Windows Vista 운영 체제 시작을 시작하는 데 사용됩니다. 부팅 메뉴에서 Windows를 부팅 할 운영 체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본 부트 항목을 설정하여 운영 체제에서 자동으로 원하는 항목을로드 할 수 있습니다.
“BOOTMGR is missing”은 일반적인 시작 중 하나입니다.Windows의 오류. 때로는 컴퓨터가 켜진 직후 “BOOTMGR을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 될 수 있습니다 BOOTMGR 오류의 가능한 원인은 손상된 파일 및 잘못 구성된 파일, 하드 드라이브 및 운영 체제 업그레이드 문제 및 오래된 BIOS, 손상되었거나 느슨한 하드 드라이브 인터페이스 케이블 또는 PC가 부팅 할 수 있도록 적절히 구성되지 않은 하드 드라이브 또는 플래시 드라이브에서 부팅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때로는 간단한 Windows 재시작으로부팅 관리자 문제.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트릭을하지 않는다면 전문적인 Windows 부팅 수정 도구가 좋은 선택입니다. Windows Boot Genius는 Windows 부팅 관리자 문제를 진단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 최초의 PC 유틸리티로 부팅 실패, 충돌, 정지, 검은 화면 또는 죽음의 파란색 화면과 같은 다른 Windows 부팅 문제를 피할 수 있습니다.
1 부 : Windows 10에서 부팅 할 때 부팅 할 기본 운영 체제를 변경하는 방법 (부팅 관리자)
이전 버전의 Windows 10을 이중 부팅 할 때Windows 8.1과 같은 Windows 버전의 경우 기본 운영 체제가 자동으로 실행되기 전에 부팅 할 운영 체제를 선택할 때 30 초가 소요됩니다.
기본 부팅 및 기타 부팅 옵션을 변경하려면을 클릭하십시오. 기본값 변경 또는 다른 옵션 선택 에 (게) 뒤집기 옵션 창문. 여기서 타이머를 변경하고, 부팅 할 기본 운영 체제를 선택하고 다른 작업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부 : Windows Boot Genius를 사용하여 Windows 부팅 관리자 오류 및 기타 Windows 부팅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Windows Boot Genius는 4 가지 유틸리티가 내장 된 포괄적 인 Windows 도구입니다.
Windows Rescue : Windows 10 / 8.1 / 8 / 7 / XP / Vista에서 부팅 문제를 해결하십시오.
Windows 10 / 8.1 / 8 / 7 / XP / Vista에서 부팅 문제를 해결하십시오. 비밀번호 및 키 복구 : Windows 로그인 암호 재설정 또는 제거 (Microsoft 계정 암호).
Windows 로그인 암호 재설정 또는 제거 (Microsoft 계정 암호). 데이터 복구: 실수로 삭제, 디스크 손상 또는 포맷으로 인해 내부 / 외부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검색하십시오.
실수로 삭제, 디스크 손상 또는 포맷으로 인해 내부 / 외부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검색하십시오. 디스크 도구 : 디스크 또는 파티션 백업 또는 복원, 파티션 관리 및 데이터 지우기
다음은 Windows 10을 수정하기위한 지침입니다. BOOTMGR에 오류 및 기타 Windows 부팅 문제가 없습니다.
시작하기 전에 Windows Boot Genius를 다운로드하여 실행 가능한 컴퓨터에 설치하십시오.
1 단계: 먼저 부팅 가능한 CD / DVD 또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만들어야합니다. CD / DVD를 PC의 CD-ROM 드라이브에 넣거나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컴퓨터에 연결하십시오. 이 소프트웨어는 ISO 파일과 통합되어 있으므로 CD / DVD / USB에 구울 수 있습니다.
2 단계 : 성공적으로 부팅되지 않는 구운 부팅 디스크를 Windows 10에 넣고 CD / DVD / USB에서 컴퓨터를 부팅하도록 BIOS (UEFI)를 설정합니다.
Windows 10에서 BIOS (UEFI) 설정을 입력하려면 아래 단계를 따르십시오.
시작 메뉴를 클릭하고 설정을 선택하십시오.
업데이트 및 보안 옵션 선택> 복구
고급 시작에서 지금 다시 시작을 클릭하십시오.
문제 해결 옵션 선택
UEFI 펌웨어 설정 선택
다시 시작을 클릭하여 컴퓨터를 UEFI (BIOS) 화면으로 부팅합니다.
3 단계 : 컴퓨터가 부팅 디스크에서 성공적으로 부팅되면 Windows Boot Genius의 기본 인터페이스를 볼 수 있습니다. Windows 응급 복구 탭에는 솔루션 센터와 기능 센터가 있습니다.
당신이 Windows 운영 체계에 신참 인 경우에부팅 문제의 원인을 알지 못합니다. 솔루션 센터에는 자주 발생하는 부팅 문제의 증상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자신의 상황에 맞는 것을 선택하십시오. 프로그램의 오른쪽 부분에 표시된 세부 지시 사항을 따라갈 수 있습니다.
고급 사용자의 경우 문제의 원인을 정확히 알고 있다면 기능 센터로 이동하여 해당 도구를 선택하여 문제를 해결하십시오.
Windows Boot Genius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디자인하고 화면상의 팁을 사용하여 친숙한 PC 부팅 문제를 처리 할 수 있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Windows 부팅 관리자가 무엇인지, BOOTMGR이없는 경우 어떻게해야 하는지를 알아 봅니다. Windows Boot Genius는 필요할 때 사용할 수있는 다양한 Windows 복구 도구 키트입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window boot manager 해결
다음은 Bing에서 window boot manager 해결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중랑구 컴퓨터수리 Windows Boot Manager가 떠서 데이터 복구 후 윈도우10 설치
- 중랑구컴퓨터수리
- 컴퓨터수리
- Windows Boot Manager
- 데이터복구
- 윈도우10설치
- 파티션손상
중랑구 #컴퓨터수리 #Windows #Boot #Manager가 #떠서 #데이터 #복구 #후 #윈도우10 #설치
YouTube에서 window boot manager 해결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중랑구 컴퓨터수리 Windows Boot Manager가 떠서 데이터 복구 후 윈도우10 설치 | window boot manager 해결,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