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Home » Pbr Per 뜻 | [주식투자 용어 이해] Per Pbr Roe Roa Eps의 뜻과 의미 상위 284개 베스트 답변

Pbr Per 뜻 | [주식투자 용어 이해] Per Pbr Roe Roa Eps의 뜻과 의미 상위 284개 베스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pbr per 뜻 – [주식투자 용어 이해] PER PBR ROE ROA EPS의 뜻과 의미“?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u.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u.taphoamini.com/photos.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나인NINE – 쩐내나는 주식투자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35,133회 및 235843 Like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PER과 PBR은 그 기업의 주식이 시장에서 어떻게 평가되는지를 분석하는 지표이고, ROE와 ROA는 기업 자체의 수익을 분석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가치주를 발굴할 때 PER과 PBR의 수치는 낮을수록, ROE와 ROA는 높을수록 좋다고 보기도 합니다.

pbr per 뜻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주식투자 용어 이해] PER PBR ROE ROA EPS의 뜻과 의미 – pbr per 뜻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ROE가 높고 PER과 PBR이 낮은 기업에 투자하라는 의미를 알고 계시나요?
주식 투자를 할 때 다양한 지표들의 의미에 대해서 공부합니다.

pbr per 뜻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주식용어] 주식 PER 뜻 / 주식 PBR 뜻 – Exhalation 숨

PBR이란 우리말로 주가 순자산 비율이라고 하며, Price Bookvalue Ratio라고 합니다. 이는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비율(PBR = 주가 / 주당 순자산 …

+ 여기를 클릭

Source: sophia0215.tistory.com

Date Published: 4/30/2022

View: 6589

[알기쉬운 경제지표] PER과 PBR – 조선비즈

일반적으로 주가가 싼 지, 비싼 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로 쓰이는 것이 PER(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과 PBR(Price on Book-value Ratio …

+ 여기를 클릭

Source: biz.chosun.com

Date Published: 6/2/2022

View: 7780

[주식 종목 분석] ‘PER, PBR, EPS, BPS, ROE’ 의미 해석과 계산 …

EPS, PER, BPS, PBR, ROE 용어 뜻과 계산식 요약. [관련글] 기업가치 평가 방법 ☞ 기업가치 … EPS 주당 순이익 (Earning Per Share, 株當純利益).

+ 여기를 클릭

Source: www.waytoliah.com

Date Published: 2/7/2021

View: 788

주식 용어 정리: PER, PBR, ROE, EPS, PDR 뜻 – 캐시워크

PER 주가수익비율: 주가를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것 (낮을수록 좋다) · PBR 주당순자산비율: 주가가 한 주당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지를 보기위한 주가 …

+ 여기에 보기

Source: cashwalk.tistory.com

Date Published: 1/19/2022

View: 7549

주식용어 : PER, PBR 뜻 – 김롬새의 차트로 투자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 용어 중 기초적인 PER, PBR, RO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ER. PER은 Price Earning Ratio의 약자입니다. 주당 순이익 …

+ 여기를 클릭

Source: doctor-rom.tistory.com

Date Published: 6/12/2021

View: 1970

주식 ROE, PBR, PER 뜻 간단하게 정리 – 림시티

주식 ROE, PBR, PER 뜻 간단하게 정리. 오랜만에 책 정리를 하다가 처음 주식을 시작했을 때 읽었던 책들이 나와서 다시 한번 ‘기본’이라는 것을 생각하게 됐다.

+ 더 읽기

Source: limcity.tistory.com

Date Published: 9/27/2022

View: 2304

주식 기본 용어 PER, PBR, ROE 뜻 확인하기

내용 중 PER, EPS, PBR, BPS가 보이는데, 도대체 무슨 뜻일까?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다. PER, 주가수익비율. PER(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은 …

+ 여기에 보기

Source: dolmengi.tistory.com

Date Published: 11/29/2021

View: 3632

[주린이 탈출 과제] EPS, PER, PBR, ROE – 브런치

PER과 동일하게 ‘몇배’ 단위이다. 예를 들어 PBR이 2라면, 회사가 망해서 모든 자산을 청산했을때,. 1주당 1000원을 받을 수 있는 주식이 …

+ 더 읽기

Source: brunch.co.kr

Date Published: 4/22/2021

View: 2529

경영 용어 PBR/PER 뜻 – 경제용어 설명 사이트

경영 용어 PBR/PER 뜻 PBR 혹은 P/B라고도 쓰면 Price-To-Book Ratio의 약자이다. 우리말로는 주가장부가치비율이라고 부르며 주가와 장.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terms.entinfo.net

Date Published: 4/20/2021

View: 4144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pbr per 뜻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주식투자 용어 이해] PER PBR ROE ROA EPS의 뜻과 의미.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식투자 용어 이해] PER PBR ROE ROA EPS의 뜻과 의미
[주식투자 용어 이해] PER PBR ROE ROA EPS의 뜻과 의미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pbr per 뜻

  • Author: 나인NINE – 쩐내나는 주식투자
  • Views: 조회수 35,133회
  • Likes: 235843 Like
  • Date Published: 2021. 2. 1.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TSbx2pq9p38

PER, PBR, ROE, ROA 설명 이렇게 쉽다고요? 초보자를 위한 주식가치 분석용어

▶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식 투자를 할 때 가장 기본적인 지표 네 가지인 PER, PBR, ROE, ROA. 특히 기업 가치는 좋은데 시장에서 저평가되는 가치주를 분석할 때 이 네 지표는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먼저 PER(Price Earning Ratio)은 주가수익비율, 즉 주가가 그 기업의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김 대리 말처럼 대체 우리가 왜 그게 몇 배인지를 알아야 하냐고요? 우리가 투자하고자 하는 기업이 시장에서 저평가되었는지, 고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내가 어느 자동차 기업의 주식을 사려고 할 때, 동종 업계의 PER를 비교해 보면 그 회사의 시장에서의 평가를 알 수 있는 거죠. 그걸 누가 다 계산하냐고요? 걱정하지 마세요. HTS나 MTS 들어가보면 기업 재무정보에 다 계산되어 있으니까요. PBR(Price Book-value Ratio)은 주가순자산비율로, 주가가 그 기업의 순자산에 비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A기업의 총 주식이 10주인데, 2천 만원에 모두 샀다고 봅시다. 그런데 회사 순자산이 4천 만원이면 PBR은 0.5인 거죠. 그만큼 시장에서 그 기업이 가치에 비해 저평가되었다는 뜻입니다.그럼 ROE와 ROA는 뭘까요. ROE(Return On Equity)는 자기자본이익률, 즉 기업이 자기자본으로 운영할 때 기간 동안 얼마를 벌어들였는지에 대한 비율입니다. ROA(Return On Assets)는 총자산순이익률로, 기업의 총자산으로 당기순이익이 얼마나 올랐는지 가늠하는 지표이고요. 한 마디로 ROE는 투입한 자본(시드머니) 대비 수익, ROA는 부채를 포함한 기업의 총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해서 이익을 냈는지 알아볼 수 있는 거죠.정리하자면 PER과 PBR은 그 기업의 주식이 시장에서 어떻게 평가되는지를 분석하는 지표이고, ROE와 ROA는 기업 자체의 수익을 분석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가치주를 발굴할 때 PER과 PBR의 수치는 낮을수록, ROE와 ROA는 높을수록 좋다고 보기도 합니다. 물론 업종별로 차이가 있으니 잘 살펴보시고요. 이 모든 지표는 앱에서 재무정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는 것도 잊지 마세요![출처 : 대신증권 공식블로그][ⓒ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용어] 주식 PER 뜻 / 주식 PBR 뜻

반응형

주식-용어-PER, PBR

안녕하세요? 나의 달님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주식 용어 PER, PBR의 뜻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마지막에 참고하면 좋을 포스팅 링크도 같이 걸어드리오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오늘의 포스팅 순서:

1. 주식 PER 뜻 (주가 수익 비율)

2. 주식 PBR 뜻 (주가 순자산 비율)

3. 국내 주식 투자: 참고하면 좋을 만한 포스팅

1. 주식 PER이란? = 현재 주가가 1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가?

PER이란 우리말로 주가 수익 비율이라고 하며, Price Earning Ratio의 줄임말입니다. 투자자들 간에 ‘퍼’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이는 주가가 그 회사의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왜 알아야 하는가? 투자자는 PER를 통해 각기 다른 주식의 상대적인 가격을 파악할 수 있고, 또 PER는 특정 회사의 주식의 가치뿐만 아니라 전체 주식시장의 가치가 저평가되어있는지, 고평가되어있는지를 살펴보기에 유용한 척도가 되어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구하는 방법은 “PER = 현재 매매되는 주가 / EPS (주당순이익)”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 A기업의 주식 가격이 만 원인 경우, 1년간 1주당 순이익이 1,000원이라면 PER은 10이라는 계산이 나옵니다.

당연히 기업의 순이익이 주식 가격에 비해 크면 클수록 분모 자리가 커지기에 PER 값은 낮게 나타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PER이 낮으면 기업의 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다는 의미로, 그 정도로 기업 가치에 비해 주식의 가치가 저평가되어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같은 원리로 PER이 높다면 기업이 내는 이익에 비해 주가가 높이 책정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론상으로 PER 수치가 낮은 주식은 앞으로 주가가 올라갈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당연히 비슷한 주가를 가지고 있는 종목이라면 아무래도 순이익을 많이 내는 주식으로 마음이 가지 않을까요?

PER 비교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주가수익비율(PER) (naver.com)

이렇게 주가는 10,000원으로 같은데 주당 순이익이 1,000원과 2,000원으로 다른 두 회사가 있습니다. PER를 계산해보니 A회사는 10, B회사는 5입니다. 어느 쪽에 더 투자하고 싶으신가요? 당연히 주당 순이익이 높고, 따라서 PER이 낮은 B회사가 더 가격적으로 메리트가 있다는 생각이 드시지 않나요? ☆ 하지만 물론 시장에서는 항상 B회사가 투자자의 선택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PER이 높음:

① 주당순이익은 평균적이지만 주가가 높을 수 있음 (지금보다는 장차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의 경우)

② 주가는 평균적이지만, 주당순이익이 낮을 수 있음

PER이 낮음:

① 주당순이익은 평균적이지만, 주가가 낮을 수 있음 (외부요인의 영향일 수 있음)

② 주가는 평균적이지만, 주당순이익이 높을 수 있음

주식의 시장가격에는 다양한 요인과 변수가 작용하기 때문에 PER을 맹신하기보다는 참고할 때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 참고로 PER을 계산할 때 순이익이 어느 해를 기준으로 하는지 또한 유심히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은 직전년도의 순이익을 가지고 계산하는데, 직전년도는 비교적 최근이라고 할지라도 현재에는 그 흐름이 들어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한편 현재 시점에서 회사가 앞으로 어느 정도의 실적을 낼지는 예측하기 어려운 일이므로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추정 순이익을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2. 주식 PBR이란? = 기업 주가가 순자산 대비 몇 배인가?

PBR이란 우리말로 주가 순자산 비율이라고 하며, Price Bookvalue Ratio라고 합니다. 이는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비율(PBR = 주가 / 주당 순자산가치)으로서,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해서 얻는 수치입니다. 순자산을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의 합계라고 한다면, 그것에 비해 주가가 1주당 몇 배로 거래되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순자산에는 당연히 부채 금액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다시 정리하면, PBR은 기업의 주가가 순자산(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의 합)에 비했을 때,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알려줍니다.

구하는 방법은 “PBR = 주가 / 주당순자산”이 되겠습니다. PBR이 1인 경우가 있다면, 특정 시점의 주가와 회사의 1주당 순자산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겠죠. PER과 마찬가지로 PBR의 수치가 낮으면 기업의 순자산가치는 큰데 주가에 그것이 적절히 반영되지 않았고, 따라서 그 기업의 자산의 가치가 시장에서 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BR이 낮은 기업은 성장력, 수익력이 높겠죠. 반대로 수치가 높을 경우, 고평가된 종목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PER, PBR은 투자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지표가 되지만,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참고 지표로서만 쓰는 것이 좋습니다.

※ 요약: PER, PBR 차이는?

맨 앞에서 살펴본 PER은 기업의 수익성과 주가의 관계를 평가하는 지표, PBR은 한 회사의 재무 상태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둘 다 수치가 낮을수록 시장에서 저평가되어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주식 PER 확인, PBR 확인은 네이버 금융에서도 할 수 있습니다.

주식-PER, PBR-확인

3. 국내 주식 투자: 참고하면 좋을 만한 포스팅

1. 키움증권 배당금 확인 방법 / 국내주식 해외주식 배당금 조회, 카카오톡 알림 어떻게? [클릭]

2. 국내 고배당주: 2021 맥쿼리인프라 주가, 배당금, 배당일 [클릭]

3. 국내 배당주 투자: 배당기준일 배당락일 배당성향 배당수익률 뜻 [클릭]

4. 카카오 주식, 카카오 배당금 및 지급일 정리 [클릭]

5. 주식 차트 보는법 기초: 양봉, 음봉, 시가, 고가, 저가, 종가 뜻 [클릭]

6. 시가총액 뜻,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종목 [클릭]

7. 유상증자란? 주식 유상증자, 무상증자 뜻 [클릭]

8. 8월 공모주 청약 일정 [클릭]

9. 삼성전자 2분기 배당금 확인, 삼성전자 우선주 배당금은? [클릭]

지금까지 주식 용어 PER(주가 수익 비율), PBR(주가 순자산 비율)의 개념을 살펴본 뒤 국내 주식투자 관련 참고할 만한 포스팅을 알려드렸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주식 종목 분석] ‘PER, PBR, EPS, BPS, ROE’ 의미 해석과 계산 방법

반응형

EPS, PER, BPS, PBR, ROE 용어 요약 (한눈에 보기)

EPS, PER, BPS, PBR, ROE 용어 뜻과 계산식 요약

[관련글] 기업가치 평가 방법 ☞ 기업가치평가 (Valuation) 방법

EPS 주당 순이익 (Earning Per Share, 株當純利益)

– 기업의 순이익(당기순이익)을 유통주식수로 나눈 수치

– 1주당 얼마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기업의 수익성을 비교해보기 좋음)

– EPS가 높을수록 배당여력이 크다는 의미로 주가에 좋은 영향

– 기업 예상 주가 계산 : 예상 EPS × PER

EPS 주당 순이익 계산해보기 예시 (삼성전자 예시)

PER 주가수익비율 (Price earning ratio, 株價收益率)

– 주가와 EPS(주당 순이익)을 비교하는 지표

– 주가가 그 회사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지를 알 수 있음

– 1주당 주가를 EPS로 나눈 값. 다만 더 간단하게 시가총액/당기순이익으로 구할 수 있음

– PER이 낮다면 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다는 의미. 즉 낮으면 저평가, 높으면 고평가로 분류

– 주식 투자 기법에는 저 PER주(저평가주)를 매수하는 것이 좋다고 나와있지만, 개별 종목의 경우 성장주는 PER이 심리를 반영해 훨씬 높은 경우가 다반수. 또는 회사 자체에 문제가 있어서 저 PER인 경우도 많음

– E는 과거이익, P는 현재주식가격임

– PER의 역수는 일반적으로 국채 금리보다 높으며. 이 차이를 Yield gap이라 부름.

PER 주가수익비율 계산해보기 예시 (삼성전자 예시)

BPS 주당 순자산 가치 (Book-value Per Share)

– 기업이 보유한 순자산을 회사가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

– 기업의 순자산을 1주당 얼마로 환산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지표 (기업의 자산가치 측정 가능)

– 만약 BPS가 높다면 회사가 망해도 주주들은 어느 정도 손해를 덜 수 있음

– EPS와 다르게 주가와의 상관관계는 매우 낮음

BPS 주당 순자산 가치 계산해보기 예시 (삼성전자 예시)

PBR 주가 순자산비율 (Price Book-value Ratio, 株價純資産比率)

– 기업의 순자산에 대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

– 주가를 1주당 순자산(장부가격에 의한 주주 소유분)으로 나눈것으로 주가의 상대적 수준을 알 수 있음

– PBR이 낮다면 장부가치보다 주가가 낮다는 의미

– 일반적으로 저 PBR이 고 PBR 대비 높은 주가수익률을 나타냄 (다만, 부채가 반영되지 않으므로 주의 필요)

– 경영성과가 좋을 수록 PBR 배율이 높게 나타남

– PER과 함께 가치 평가를 위해 많이 사용되며, 두 지표는 보완 관계에 있음

– 순자산과 주가의 배율이라는 점에서 $PER × ROE =PBR$ 공식 성립

PBR 주가 순자산 비율 계산해보기 예시 (삼성전자 예시)

ROE 자기 자본 이익률 (Return On Equity, 自己資本利益率)

– 기업이 보유한 자본에 비해 얼마의 이익을 창출했는지 알아보는 지표

– 대표적 수익성 지표로 ROE가 낮다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해당 업종이 불황일 수 있음

– 이익을 자본으로 나눈 값 (당기순이익/자기자본 × 100)

–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의 이익을 낸다는 의미

ROE 자기 자본 이익률 계산해보기 예시 (삼성전자 예시)

* 삼성전자 예시 ROE 산식 : (지배주주지분)당기순이익[당기]/((지배주주지분)자본총계[당기]+(지배주주지분)자본총계[전기])/2)

링크 : 삼성전자(A005930) | Snapshot | 기업정보 | Company Guide (fnguide.com)

예시 계산을 위한 삼성전자 기업정보/재무정보 요약 (출처: fnguide.com)

링크 : 삼성전자(A005930) | Snapshot | 기업정보 | Company Guide (fnguide.com)

[관련글] EV/EBITDA ☞ EV/EBITDA 의미 해석과 계산 방법

[관련글] 기업가치 평가 방법 ☞ 기업가치평가 (Valuation) 방법

반응형

주식 용어 정리: PER, PBR, ROE, EPS, PDR 뜻

반응형

오늘은 주식용어 정리 PER PBR ROE EPS PDR 뜻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올해는 주식시장이 역대급으로 폭락장을 이어오고 있는만큼 기회가 될 수 있으니 주식 기본 용어부터 확인 해보는건 어떨까요?

1. 주식 용어 정리

PER 주가수익비율: 주가를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것 (낮을수록 좋다)

PBR 주당순자산비율: 주가가 한 주당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지를 보기위한 주가 기준 (낮을수록 좋다)

ROE 자기자본이익률: 자기자본의 운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반영하는 지표 (높을수록 좋다)

EPS 주당순이익: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그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높을수록 좋다)

PDR 주가수익비율: 주가순자산비율인 PER과 주가순자산비율인 PBR 만으론 설명할 수 없는 높은 주가를 정당화 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높을수록 좋다)

주식용어 정리

1). PER 주가수익비율

주가를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것 (낮을수록 좋다)

어떤 기업의 주식이 만원이라고 했을때 1주당 수익이 천원 이라면 PER은 10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해당기업의 순이익이 주식가격보다 크면 클수록 PER는 낮습니다. 즉, PER가 낮으면 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다라고 할 수 있으며

기업의 주각가 저평가 되어있다고 볼 수 있어요

2). PBR 주당순자산비율

주가가 한 주당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지를 보기위한 주가 기준 (낮을수록 좋다)

장부가에 의한 한 주당 순자산으로 나누어 구하고 PBR 또한 PER과 함께 주식 투자에서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3). ROE 자기자본이익률

자기자본의 운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반영하는 지표 (높을수록 좋다)

기업이 자기자본을 활용해서 1년간 얼마나 벌여들였는지를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 입니다.

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 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으로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

4). EPS 주당순이익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그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높을수록 좋다)

이 주당순이익은 PER인 주가 수익비율의 계산의 기초가 되기때문에 꼭 알고있어야 겠습니다.

기업의 EPS가 높을수록 투자 가치가 높겠습니다.

5). PDR 주가수익비율

주가순자산비율인 PER과 주가순자산비율인 PBR 만으론 설명할 수 없는 높은 주가를 정당화 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높을수록 좋다)

토요타나 테슬라 같은 기업들이 랠리를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오는데 PDR은 이런 주식들의 랠리를 설명하기 만들어진 용어라고 생각 하면 됩니다.

주식용어정리

한주를 시작하기 전에 설레이는 마음으로 로또 1등 당첨번호를 확인하는 우리들, 한주를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 건강관리 정보와 마음을 움직이는 좋은 글귀 및 유쾌해 질 수 있도록 웃긴 동영상 을 한페이지 모두 담아 정기적 으로(매주 토요일) 발행을 하고 있습니다.

로또당첨번호도 확인하시고 한주를 시작할 수 있는 건강과, 마음가짐, 유쾌함을 드리기위해 유익한 정보가 될 수 있도록 열심히 포스팅 하겠습니다.

카카오채널도 운영을하고 있어요 친구 추가를 하시면 편하게 당첨번호 및 1등 배출점등 유용한 정보를 매주 토요일 저녁 9~10시 로또당첨번호와 함께 보드로 발행하고 있어요 많은 구독 부탁드립니다.

친구 추가를 하시면 편하게 당첨번호 및 1등 배출점등 유용한 정보를 로또당첨번호와 함께 보드로 발행하고 있어요 많은 구독 부탁드립니다. 카카오뷰 채널: 로또당첨번호조회

방문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반응형

주식용어 : PER, PBR 뜻

안녕하세요 김롬새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 용어 중 기초적인 PER, PBR, RO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ER

PER은 Price Earning Ratio의 약자입니다. 주당 순이익이라고도 부르는데요.

현재 기업이 벌어들이는 순이익을 대비해서 주가가 어느 정도가 되냐를 나타나는 지표입니다.

주가/EPR = PER 인데요. EPR은 한 주당 얼마를 벌어느냐를 수치로 나타낸 것입니다.

삼성전자를 예로 볼까요?

현재 주가 : 78,300

EPS : 5159

78,300/5159 = 15.177….

네이버 증권에 나와있는 것처럼 반올림해서 15.18이 나옵니다.

책이나 다른 곳을 찾아보면 PER 1을 기준으로 1보다 높으면 고평가 1보다 낮으면 저평가라고 하는데요. 딱히 그렇지는 않습니다. 사실 요즘 같은 시대에 PER을 보며 투자하는 것이 맞나? 싶은데요. 많이들 저평가라고 하는 삼성전자도 1이라는 수치를 훌쩍 넘은 15입니다.

테슬라의 경우에는 현재가 기준으로 PER이 500이 넘는데 과연 고평가라고 할 수 있을까요? 테슬라에 대해 깊게 공부해보신 분들이라면 그렇게 생각을 안 할 거라 생각합니다.

어느 정도 참고 지표이지 맹신할 지표는 절대 아닙니다.

PBR은 Price Book-value Ratio입니다. PER이 순이익으로 계산을 했다면 PBR은 순자산으로 계산을 합니다.

주가/BPS=PBR입니다. BPS는 주당 순자산 가치를 뜻합니다.

78300/42447 = 1.84

이처럼 PER PBR은 EPS와 BPS로 계산이 됩니다.

주식 ROE, PBR, PER 뜻 간단하게 정리

오랜만에 책 정리를 하다가 처음 주식을 시작했을 때 읽었던 책들이 나와서 다시 한번 ‘기본’이라는 것을 생각하게 됐다. 나는 아는 것을 글로 쓰면 이해가 더 잘 되는 사람이라 앞으로 진짜 기본 중의 기본 개념부터 블로그에 하나씩 정리를 하고 넘어가 볼까 한다.

정말 찐 초보도 알아들을 수 있도록 최대한 쉽고 명확하게 표현을 해보려고 노력을 해보려고 하니, 혹시 이 글을 읽으면서 함께 공부를 하시는 분이 있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좋겠다.

ROE/ PBR/ PER 의미와 관계

기억해 둘 것

내가 생각하기에 초보자가 위의 용어의 의미를 파악하려면 기억해야 할 것은 간단하게 딱 세 가지밖에 없다. 그 세 가지는 바로 ‘순이익, 순자산, 시가총액’ 일단 이렇게 딱 세 개만 머릿속에 저장해 보자.

더 간단하게 이야기하자면 ‘이익, 자산, 가격’ 딱 세 가지만 알면 저 복잡한 영어 약자에 주눅 들지 않고 제대로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럼 이 세 가지 개념을 가지고 어떻게 각각의 의미를 풀 수 있는지 아래에서 차근차근 하나씩 알아보자.

1. ROE

ROE는 순이익과 순자산을 가지고 계산한다. 즉, ROE=(순이익÷순자산) x100.

예를 들어 순이익이 10억이고 순자산이 100억 인 회사가 있다면 ROE는 10%인 셈이다.(%로 표시)

그 뜻을 들여다보면, ROE는 어떤 회사가 똑같은 ‘자본(순자산)’을 가지고 얼마나 ‘수익(순이익)’을 올렸는가 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똑같은 자본으로 얼마나 ‘효율성’이 높은 지를 측정하는 것으로 더 쉽게 이야기하자면, 어떤 회사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일하는가 하는 것을 알아보는 것이다.

사람으로 치자면 어떤 사람이 이 회사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일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사람에게도 이런 지표를 만들 수 있다면 어떤 사람이 회사에서 월급보다 적은 일을 하고 있는지 어떤 사람이 월급보다 많은 수익을 회사에 벌어다 주는지 딱 보일 듯.

이 지표는 특히 워런 버핏이 즐겨 들여다보는 지표로 유명한데 참고하자면 워런 버핏은 ROE비율이 15% 이상으로 3년 동안 꾸준히 성장하는 회사를 찾으라는 조언을 한 적이 있다. 장기투자를 한다면 주식을 찾을 때 이 점을 고려해 보는 것도 좋겠다.

2. PBR

PBR은 순자산과 시가총액을 가지고 계산한다. 즉, PBR=(시가총액÷순자산).

예를 들어 시가총액이 100억이고 순자산도 100억 인 회사가 있다면 PBR은 1배인 셈이다.(‘배’로 표시)

그 뜻을 들여다보면, PBR은 어떤 회사가 가진 ‘자본(순자산)’의 ‘가격(시가총액)’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즉 PBR이 1배라는 것은 그 회사가 가진 순자산과 가격이 똑같다는 말이 된다. 위에서 살펴본 ROE가 ‘효율성’을 이야기한다면 PBR은 단순히 ‘가격’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이것을 뒤집어 보면, 1주당 이 회사의 자산이 어느 정도인가를 나타낸다고도 할 수 있다. PBR이 1배라면 1주당 가격과 자산이 똑같다는 말이 된다. 이렇게 생각해보면 PBR이 낮으면 회사의 자산을 다 팔아 청산을 해도 투자금이 남는다는 말이 돼서 무조건 PBR이 1배보다 낮으면 좋을 것 같지만 그건 또 아니다.

옛날의 공장을 지을 토지가 많이 필요한 회사의 경우에는 토지 가격이 높아 PBR이 낮은 편이지만, 요즘의 콘텐츠 산업 같은 경우 공유 오피스를 이용해도 되고 굳이 토지와 같은 자산이 없어도 이익을 많이 창출할 수 있는 구조가 되므로 PBR이 높다고 무조건 안 좋다는 말은 성립되지 않는다.

하지만 요즘에는 콘텐츠 회사들도 점점 토지 투자에 눈을 뜨는 경우도 있어서 PBR을 살펴볼 때는 업종과 자산의 종류를 조금 더 세심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런 이유로 투자자들이 조금 더 눈여겨보는 지표는 아래 설명할 PER이라고 할 수 있다.

3. PER

PER은 순이익과 시가총액을 가지고 계산한다. 즉, PER=(시가총액÷순이익).

예를 들어 시가총액이 100억이고 순이익 10억 인 회사가 있다면 PBR은 10배인 셈이다.(‘배’로 표시)

그 뜻을 들여다보면, PER은 어떤 회사의 ‘수익(순이익)’에 따른 ‘가격(시가총액)’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즉, PER이 10배라는 것은 그 회사의 가격이 순이익에 비해 10배라는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PBR이 ‘자본’을 중심으로 회사를 본다면 PER ‘이익’을 중심으로 회사를 보는 것.

더 쉽게 말하자면, 지금 주식 가격에 비해 이 회사가 10배의 ‘고평가’를 받고 있다고 단순하게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렇게 단순하게 보면 PER이 무조건 낮은 회사가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하지만 또 그렇게 말할 수는 없다.

사람들이 앞으로 이익을 많이 올릴 것이라고 평가하는 회사, 특히 미래에 중심이 될 사업을 하는 회사들의 PER은 대체적으로 높은 편이다. 예를 들어 미국 자동차 회사의 평균 PER은 약 12배 정도이지만 테슬라의 경우는 140을 넘나들고 있다.

또한, PER 10배 이하로 저평가된 회사의 경우 현재 사람들의 기대도 없고 앞으로도 사람들이 기대하지 않을 영원히 저평가되는 회사일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니 PER을 볼 때는 그 회사와 사업 영역, 방식에 대해 다각도로 분석하는 지혜가 필요하겠다.

결론

거창하게 결론이랄 것도 없지만 지금도 여전히 갈 길이 멀고 여전히 초보 투자자이지만 그동안의 경험에 비추어 보면, 위의 세 가지 지표는 중요하기도 하고 중요하지 않기도 한 것 같다.

주식투자를 하기 위해 이러한 지표들을 무시하고 무조건 시장의 심리나 자신의 ‘감’만을 믿는 것도 위험하고, 무조건 이러한 지표들을 믿으며 이에 딱 맞는 회사를 찾기만 하면 무조건 돈을 번다는 생각도 위험한 것 같다.

어떤 회사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를 하려면 이러한 지표들은 기본적으로 들여다봐야 하는 것이고, 그 외에도 그 회사가 해나가는 사업이나 시장의 분위기에 대해 정말 다각도로 접근을 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 싶다. 물론 이렇게 하는 것이 귀찮기는 하지만 말이다.

하지만 이 두 가지가 적절하게 결합이 될 때 혼란한 시장에서 방향을 잃지 않고 꾸준하게 나아갈 수 있는 투자자로 성장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오늘 이렇게 다시 정리를 해보니 나 자신도 다시 각오를 다지는 계기가 되고 재미있어서 다음에도 꾸준히 기초적인 부분을 정리하는 연습을 해볼까 한다.

썸네일

주식 기본 용어 PER, PBR, ROE 뜻 확인하기

주식 기본 용어 PER, PBR, ROE 뜻 확인하기

주식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는 무엇이 있을까?

바로 오늘 설명할 PER, PBR, ROE를 꼽을 수 있겠다.

주식을 처음 접하는 초보자들이 저평가된 종목과 고평가된 종목을 그나마 구분 지을 수 있는 지표기 때문이다.

위는 우리가 익히 잘 알고있는 삼성전자의 투자정보이다.

내용 중 PER, EPS, PBR, BPS가 보이는데, 도대체 무슨 뜻일까?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다.

PER, 주가수익비율

PER(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은 현재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 것이다.

쉽게 말해서 기업이 1주당 얼마나 버는지의 비율을 뜻한다.

[PER의 공식 : 현재주가 ÷ ※주가순이익(EPS)]

※주가순이익(EPS) : 기업이 일정 기간 안에서 얻은 전체 수익에서 모든 비용을 빼고 남은 순수한 수익을 뜻한다.

코스피의 평균 PER은 10정도로, 이보다 낮다면 시장 평균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저평가 되었다. 라고 생각할 수 있겠다. 당연히 업종마다의 업종 PER이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동종업계와의 PER을 비교해보는 것이 좋겠다.

PER이 높다는 것은 당연히 주식이 고평가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겠으나,

그만큼의 시장의 기대감을 받는다는 것으로 고 평가되었다고 해서 나쁜 뜻으로 생각할 수는 없다.

하지만 PER은 낮을수록 좋다는 것이 기본이다.

PBR, 주가순자산비율

PBR(Price Book Value Ratio : 주가순자산비율)은 현재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 것이다.

쉽게 말해 현재 주가가 순자산 대비 몇 배로 거래가 되는지를 뜻한다.

[PBR의 공식 : 현재 주가 ÷ ※주당순자산(BPS)]

※주당순자산(BPS) : 회사 청산 시에 주주가 배당받을 수 있는 자산의 가치를 뜻한다.

PBR이 보통 낮을수록 저평가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겠다.

순자산이 커질수록 PBR은 낮아지므로 PBR은 수치가 낮을수록 좋다는 것이 기본이다.

순자산이 크다는 것은 그만큼 튼튼하고 안정적인 기업이다는 것과 같으니까 말이다.

하지만 PBR이 낮으니까 무조건으로 좋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매 시장 상황에 따라서 다르게 평가될 수도 있고,엔터나 게임 등의 인적자원이 기업의 가치인 회사들은 PBR로 회사의 가치를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기업의 정확한 현재의 가치를 파악하기는 힘들다는 점도 있다.

이 공식들은 모두 전 분기 실적에서 나온 값이기 때문이다.

ROE, 자기자본이익률

ROE(Return On Equity : 자기자본이익률)은 회사가 투입한 자기자본 대비 얼마만큼의 이익이 났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회사의 수익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로 볼 수 있겠다.

[ROE의 공식 : 당기순이익 ÷ 평균 자기자본 X 100]

ROE가 간단하게 말해서 투자 대비 수익률을 뜻하기 때문에, ROE가 높다는 것은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어서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ROE가 높은 것이 좋은 것으로 해석하면 되겠다. ROE는 연평균 15% 이상인 종목이 투자가치가 있다고 본다.

기업의 정확한 가치를 물론 위와 같은 지표들로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이런 지표들로 인해서 미래의 가치를 읽을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줄 수는 있겠다.

같이 보시면 좋아요.

주식을 처음 접하는 주식 초보자들이 꼭 알아야만 하는 기본 주식 용어에 대해서 정리해봤다. 이 지표들을 무조건 우선으로 봐야 하는 것은 아니나, 이런 기본적인 수치로 최악의 기업을 걸러내는 종목을 보는 눈을 키우는 것이 좋겠다.

[주린이 탈출 과제] EPS, PER, PBR, ROE

각 지표들의 개념을 알아보자

주린이 탈출 1주차 과제 중

‘내가 산 주식의 EPS, PER, PBR, ROE 적어주기’를 하기 위해

해당 용어들을 공부합니다.

[1] EPS (Earning Per Share) = 주당순이익

[ 개념 ]

말그대로 한 주 당 순이익이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삼성전자를 살펴보면 EPS가 4,021원으로 나와있는데,

삼성전자 주식 1주가 4,021원을 벌어왔다는 뜻이다.

EPS는 높을 수록 좋다.

[ 계산식 ]

EPS = 당기순이익/발행주식수

회사가 얼마나 돈을 벌었는지 회계장부에 당기순이익이라는 항목을 찾아볼 수 있는데,

당기순이익을 발행한 주식수로 나눈값이다.

[2] PER (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

[ 개념 ]

현재 주가가 지난 1년간의 순이익과 비교하여 몇 배에 거래되고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이다.

PER은 원단위, 달러단위가 아닌 ‘몇 배’라는 단위를 이용한다.

PER이 10이라는 의미는 현재 회사가 벌어들이는 돈에 비해 주가가 10배 비싸다는 뜻이다.

예를들어 회사가 1주당 1000원을 버는데 주가는 10,000원에 거래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PER은 낮을 수록 좋다.

[ 계산식 ]

PER = 현재주가 / EPS

[3] BPS (Book-value Per Share) = 주당 순자산

[ 개념 ]

말그대로 1주당 순자산이 얼마인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삼성전자를 살펴보면 BPS가 40,232원으로 나와있는데,

삼성전자가 회사 문을 당장 닫고 회사의 모든 자산을 처분했을 때

1주당 40,232원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BPS은 높을 수록 좋다.

[ 계산식 ]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의 평가총액에서 보유하고 있는 부채총계를 빼서 순자산을 계산한다.

그리고 이 순자산을 발행한 주식수로 나눈다.

순자산 = 자산총계 – 부채총계

BPS = 순자산 / 발행주식수

[4] PBR (Price Book-value Ratio) = 주가순자산비율

[ 개념 ]

PER과 동일하게 ‘몇배’ 단위이다.

예를 들어 PBR이 2라면, 회사가 망해서 모든 자산을 청산했을때,

1주당 1000원을 받을 수 있는 주식이 현재 2000원에 거래되고 있다는 뜻이다.

PBR은 낮을 수록 좋다.

[ 계산식 ]

PBR = 현재주가 / BPS

[5] ROE (Return On Equity) = 자기자본이익률

[ 개념 ]

기업이 자본을 이용하여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 나타내는 지표이다.

퍼센트 단위이다.

예를들어 ROE가 10%이면 10억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의미한다.

ROE가 높다는 것은 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며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이다.

ROE는 높을 수록 좋다.

[ 계산식 ]

ROE = 당기순이익 / 자본총액

[6] 애플의 지표 분석

저는 애플 주식을 샀으므로

https://stockrow.com/AAPL 에서 애플 지표를 살펴보겠습니다.

EPS = 3.28달러

PER = 40.05배

PBR = 35.07배

ROE = 73.69 %

[ Reference ]

https://travel.plusblog.co.kr/306

https://dipsy-encyclopedia.tistory.com/5

키워드에 대한 정보 pbr per 뜻

다음은 Bing에서 pbr per 뜻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주식투자 용어 이해] PER PBR ROE ROA EPS의 뜻과 의미

  • 주식용어
  • ROE
  • ROA
  • PER
  • PBR
  • EPS
  • 의미
  • 저평가
  • 기업
  • 투자
  • 벨류에이션

[주식투자 #용어 #이해] #PER #PBR #ROE #ROA #EPS의 #뜻과 #의미


YouTube에서 pbr per 뜻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식투자 용어 이해] PER PBR ROE ROA EPS의 뜻과 의미 | pbr per 뜻,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