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Home » 블루라이트란 | 블루라이트 왜 차단해야 할까요? 안과 전문의가 설명해드립니다. ㅣ 아이엠닥터 79 개의 베스트 답변

블루라이트란 | 블루라이트 왜 차단해야 할까요? 안과 전문의가 설명해드립니다. ㅣ 아이엠닥터 79 개의 베스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블루라이트란 – 블루라이트 왜 차단해야 할까요? 안과 전문의가 설명해드립니다. ㅣ 아이엠닥터“?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u.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u.taphoamini.com/photos.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아이엠닥터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92,752회 및 좋아요 660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블루 라이트란 무엇인가요? 블루 라이트는 가시광선 중에서도 380~500nm 영역에 존재하는 강한 에너지를 지닌 짧은 파장의 빛을 말합니다. 태양광에도 많은 양이 포함되어 있는데 우리가 파란 하늘을 볼 수 있는 이유도 블루 라이트 때문입니다.

블루라이트란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블루라이트 왜 차단해야 할까요? 안과 전문의가 설명해드립니다. ㅣ 아이엠닥터 – 블루라이트란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모두들 한 번쯤은 블루라이트를 차단해야 된다고 들어보셨을거예요.
그런데 정말 그 블루라이트가 화면 속에만 존재할까요?
고가의 블루라이트 안경을 맞추신 분들!
정말로 이게 실효성이 있을지 궁금하셨죠?
안과 전문의가 정확한 답을 내려드리겠습니다.
안과, 피부과, 성형외과 의사들이 한 자리에!
우리에게 꼭 필요한 신뢰감 가득한 의학정보,
이제부터 [아이엠닥터] 채널에서 확인하세요 🙂

블루라이트란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블루라이트 – 나무위키:대문

더 자세히 말하자면 380∼500nm[1]의 파장을 가진 파란색 계열의 가시광선이다. 흔히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에서 나오는 것이라 생각하지만 블루라이트는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12/1/2021

View: 713

아직도 ‘블루라이트’가 눈 건강을 해친다고 생각하나요?

블루라이트란, 우리 눈에 파란색으로 보이는 빛으로, 380~500나노미터(nm)수준의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다. 또한 파장이 짧을수록 에너지의 크기는 커지며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healthumer.com

Date Published: 5/7/2021

View: 3559

블루라이트(Blue Light)란 무엇인가? – 네이버 블로그

블루라이트(Blue Light, 청광)는 가시광선 파장내 380~500nm 사이의. 가장 강한 파란색 계열의 빛으로, 장기간 노출시 망막내 광화학적 손상을 일으 …

+ 여기에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12/4/2021

View: 7474

블루라이트란 무엇이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 별통닷컴

블루라이트(Blue Light)는 380 – 500 나노미터 사이의 파장영역에 존재하는 파란색 계열의 빛을 가리킵니다. 청색광이라고도 부르며, 여드름 치료 등 의료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byeoltong.com

Date Published: 9/5/2021

View: 628

눈 건강을 위해 ‘블루라이트’를 잡아라! – 삼성화재 프로포즈

‘블루라이트’란 380~500나노미터 사이의 파장에서 존재하는 파란색의 계열 빛으로 피부과에서 여드름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던 파장이랍니다. 특히 우리 일상생활에서 사용 …

+ 여기에 표시

Source: blog.samsungfire.com

Date Published: 5/22/2022

View: 6001

블루라이트, 정말 눈 건강에 치명적일까?

블루라이트란? … 가시광선 중 380 ~ 500nm(나노미터)의 짧은 파장을 내는 파란색 계열의 빛. 모니터나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Red, Green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md2biz.tistory.com

Date Published: 11/25/2022

View: 8727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블루라이트란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블루라이트 왜 차단해야 할까요? 안과 전문의가 설명해드립니다. ㅣ 아이엠닥터.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블루라이트 왜 차단해야 할까요? 안과 전문의가 설명해드립니다. ㅣ 아이엠닥터
블루라이트 왜 차단해야 할까요? 안과 전문의가 설명해드립니다. ㅣ 아이엠닥터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블루라이트란

  • Author: 아이엠닥터
  • Views: 조회수 92,752회
  • Likes: 좋아요 660개
  • Date Published: 2020. 4. 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iZnbpnPBSWA

아직도 ‘블루라이트’가 눈 건강을 해친다고 생각하나요?

블루라이트의 위험성은 과장?

“디지털 기기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가 눈에 손상을 가한다는 과학적인 증거는 없다”

-미국 안과협회

[헬스컨슈머] ‘블루라이트’ 이름만 들어도, 안구 건조증을 유발하고 눈의 망막을 손상시킬 것 같은 이미지가 떠오를 것이다. 그런데 블루라이트는 정말 눈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던 것일까? 아마 많은 이들이 이런 의문이 들기 전에 이미 ‘블루라이트는 눈 건강에 안 좋다’라며 확신하고 있을지 모른다.

또한 이 파란 빛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TV,컴퓨터,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와 관련 있어서, 시중에는 블루라이트 차단제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아마 당신도 ‘요즘 컴퓨터를 많이 하는데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을 사볼까?’라며 고민하고 있을지 모른다. 이처럼 한 번쯤 블루라이트 차단제품의 구입을 망설였다면 블루라이트가 정말 해로운지부터 정확히 알아둘 필요가 있다.

사진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블루라이트의 위험성은 과장되었다]

사람들은 흔히 블루라이트가 눈 건강에 안 좋다고 생각하고 있다. 즉, 블루라이트가 눈의 피로와 안구 건조증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또한 자외선보다 블루라이트가 망막에 해롭다는 의견들도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동안 우리가 익숙하게 알고 있던 블루라이트의 위험성은 과장된 것이었다. 2016년,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올라온 논문과 2017년도에 미국안과협회가 내놓은 공식입장을 종합해보면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블루라이트가 눈을 손상 시킨다’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는 없다고 언급되어있다. 미국안과협회에 따르면, 블루라이트는 우리가 매일 보는 태양빛에도 존재하며 태양빛으로 노출되는 블루라이트의 양이 전자기기 속 블루라이트보다 훨씬 많다고 한다.

이와 관련해서, 컬러테크연구소의 김환 교수는 “스마트폰 속 블루라이트의 세기는 하늘에 존재하는 블루라이트의 10만분의 1수준도 안 된다. 만일 블루라이트가 유해하다면 우리는 하늘(자연광에 존재하는 블루라이트)을 보고 시각을 잃었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한편, 블루라이트가 황반변성의 원인이라는 말도 있다. 황반변성은 망막에 위치한 황반의 기능이 떨어지면서 시력이 떨어지고 심할 경우 실명까지 이르는 질환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 블루라이트가 원인이라는 근거는 아직 증명된 바가 없으며, 현재 황반변성의 주 위험요인으로는 나이, 가족력, 흡연이 거론되고 있다. 따라서 블루라이트가 황반변성의 원인이라는 것은 과장된 말이다.

그렇다면 블루라이트는 정확히 무엇이고 왜 블루라이트가 눈 건강에 해롭다고 말하는 것일까?

[블루라이트, 도대체 무엇인가]

블루라이트란, 우리 눈에 파란색으로 보이는 빛으로, 380~500나노미터(nm)수준의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다. 또한 파장이 짧을수록 에너지의 크기는 커지며, 파장의 길이에 따라서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 순서로 나눌 수 있다. 뒤에 배열된 색일수록 파장이 짧고 에너지의 크기가 크다. 따라서 파란 계열인 블루라이트는 에너지가 큰 빛에 속한다. 이에 에너지가 큰 빛은 시력에 영향을 주지 않느냐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다.

2014년, 일본 기후대학 연구팀이 블루라이트와 망막세포에 관련한 연구결과를 발표한 적 있다. 이 연구는 블루라이트가 쥐의 망막세포에 손상을 줬다는 내용이다. 또한 미국 톨레도 대학 연구팀의 최근 연구에서는 블루라이트가 사람의 망막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다고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와 같은 연구들은 ‘블루라이트가 사람의 눈에 안 좋다’라는 인식을 심어주는데 한 몫을 했을 것이다. 그러나 미국안과협회에 실린 기사는 일본 연구팀의 결과에 대해 ‘실험이 사람의 실제 눈에서 일어나는 상황과 다르다’ 등의 근거를 들며 블루라이트의 위험성을 증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언급했다. 결론적으로, 블루라이트가 사람의 눈에 해롭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으며 논란은 현재 진행 중이다.

사진제공: 게티이미지코리아

[숙면을 방해하는 것은 사실]

다만, 블루라이트가 숙면을 방해한다는 사실은 근거 있는 말이다. 빛은 수면을 유도하는 생체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를 억제한다. 블루라이트도 빛이기 때문에 멜라토닌의 분비를 억제하고 숙면을 방해하게 된다. 또한 하버드 대학 연구팀에 따르면, 녹색 빛과 블루라이트를 노출시켜 각각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블루라이트가 녹색 빛보다 멜라토닌을 2배 더 억제했다. 이를 통해 블루라이트가 멜라토닌을 억제하는 힘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내용들을 정리해보자면, 블루라이트가 숙면을 방해하는 것은 근거 있는 말이지만 눈 건강에 영향을 끼친다는 과학적 근거는 부족하다. 이에 블루라이트에 대한 입증되지 않은 과장된 정보들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블루라이트 차단필름,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 등이 시중에 널리 팔리고 있는 추세다. 소비자를 현혹하기 위해 거짓된 정보들을 사실인 것 마냥 홍보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사람들도 많다. 따라서 소비자가 자세한 정보를 찾아보고 구입하는 습관을 지녀야 한다. 즉, 아무 것도 모른 채로 과장된 현혹에 넘어가지 말라는 뜻이다.

저작권자 © 헬스컨슈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블루라이트(Blue Light)란 무엇인가?

특히 자기 전에 보는 스마트폰은 수면의 질을 1/3로 떨어뜨린다고 합니다.

그러니 아침에 찌뿌둥하고 잠이 덜 깬 느낌이지요.

자기 전에 스마트폰 시청…안 할 수 없을까요? ㅠㅠㅠ

그리고 무엇보다도 위험한 상황은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빠져있는 게임!!!

모니터 한 곳만 죽어라 응시하게 됩니다.

안구건조증을 유발하고 시력저하의 주범입니다.

이러한 라이프스타일은 쉽게 고쳐지지 않습니다.

블루라이트란 무엇이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최근들어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전자기기의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했습니다. 그 덕에 생활이 더욱 편리해진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런 긍정적인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블루라이트’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오늘은 이 블루라이트라는 것이 어떤 것이고, 또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블루라이트란?

블루라이트(Blue Light)는 380 – 500 나노미터 사이의 파장영역에 존재하는 파란색 계열의 빛을 가리킵니다. 청색광이라고도 부르며, 여드름 치료 등 의료목적으로 이용되기도 하기 때문에 꼭 나쁜 것만은 아니지요. 하지만 사람들의 사용빈도가 많은 스마트폰·TV·PC·LED 조명 등의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에서 블루라이트가 방출되어 문제가 건강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블루라이트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블루라이트는 가시광선 영역에 속하지만 자외선 영역에도 가까운 파장을 지니고 있습니다. 전자기기 등의 사용으로 블루라이트에 노출되면 눈에 피로가 쉽게 쌓이는 것은 물론, 시력저하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각막과 망막에 손상을 가져올 수도 있으며, 장기간 노출이 반복되면 황반변성 등의 질환을 야기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블루라이트에 노출되면 호르몬 분비에 이상을 초래하여 불면증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잠자기 전에 스마트폰을 가급적 보지마라고 하는 것이지요. 더군다나 최근에는 블루라이트가 암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기도 했습니다.

블루라이트와 별개로 스마트폰을 장시간 보고 있는 행위 자체는 눈깜빡임 횟수를 현저하게 떨어뜨려 안구건조증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안구가 건조해지면 눈이 뻑뻑하거나 침침해지고, 이물감·눈시림·각막손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블루라이트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방법은?

이렇게 인체에 여러가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블루라이트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역시 블루라이트에 최대한 노출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겠지요. 스마트폰·TV·컴퓨터 등 전자기기의 사용시간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화면에 블루라이트 차단 필름을 부착하거나 블루라이트 방출을 줄인 제품을 사용하는 것도 현명한 방법이겠지요.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렌즈 등 블루라이트 차단 제품도 시중에 판매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눈에 해가 될 수 있는 원인을 차단했다면, 안구질환을 예방하고, 눈을 튼튼하고 건강하게 만들기 위해 영양을 보충하는 것도 중요할 듯 합니다. 눈 건강에 좋은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좋겠지요.

당근, 아로니아, 블루베리, 브로콜리 등은 베타카로틴, 안토시아닌 등 눈 건강에 도움을 주는 항산화성분이 풍부한 음식입니다. 특히, 안토시아닌은 시력을 유지하고, 안구기능을 개선하는 등 눈 건강에 이로운 영양소이며, 안구질환 예방에도 좋습니다.

달걀 노른자에 풍부한 루테인, 등푸른생선과 견과류에 풍부한 오메가-3, 새우·연어 등에 풍부한 아스타잔틴 등의 영양소도 눈의 피로를 해소하고 눈을 튼튼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식품입니다.

이상 블루라이트란 무엇이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눈 건강을 위해 ‘블루라이트’를 잡아라!

우리 일상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고 많이 사용하는 TV, PC, 스마트폰! 우리 눈이 블루라이트에 장시간 노출되면 눈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답니다. 그럼 블루라이트에 노출되지 않기 위해 우리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요?

▣ 블루라이트란?

‘블루라이트’란 380~500나노미터 사이의 파장에서 존재하는 파란색의 계열 빛으로 피부과에서 여드름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던 파장이랍니다. 특히 우리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TV, 컴퓨터 등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와 LED 조명기기에서 많이 방출되고 있습니다.

▣ 블루라이트가 눈 건강에 미치는 영향

미국 톨레도대 연구팀에 따르면 망막 시상 세포에 청색광과 적외선, 가시광선 등 다양한 파장의 빛을 비춰 본 결과 다른 빛에서는 세포 변화가 없었지만 청색광을 쪼인 세포는 변형되고 파괴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해요. 특히 어두운 곳에서는 청색광이 망막 세포에 더 많이 침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블루라이트는 수면에도 방해를 준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지속적으로 블루라이트에 노출될 경우 인체의 뇌는 현재 시간을 낮으로 인지해 멜라토닌 생성을 감소시킨답니다. 그래서 숙면을 취할 시간임에도 깨어 있게 돼 수면리듬을 방해하게 되는 것이죠.

이렇게 눈에 미치는 악영향이 확인된 만큼 블루라이트의 위험성이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요. 그럼 우리는 눈 건강을 위해 블루라이트를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 마사지로 눈 휴식 시켜 주기

오랜 시간 모니터를 보게 되면 눈 깜빡임의 횟수가 줄어들게 되는데요. 깜빡이는 횟수가 줄어들

게 되면서 눈에 피로가 쌓이게 된답니다. 눈을 자주 깜빡여 주면서 건조 증상을 완화하고 마사지

도 같이 하면 안검염에도 도움이 됩니다.

[눈 건강 마사지 방법] 1. 검지와 중지를 이용해 눈을 중심으로 눈 주변 근육들을 마사지하듯 눌러주세요. 2. 관자놀이 부분을 약하게 누르기 시작하면서 조금씩 세게 누른 후 마지막에 세게 눌러주세요. 3. 눈을 감고 손가락을 펴서 눈동자 위를 가볍게 눌러주세요. 4.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상하좌우로 돌리면서 스트레칭을 해주세요.

2. 어두운 적색 등 사용하기

야간 조명을 위해 어두운 적색 등을 사용하는 게 좋아요. 해가 진 이후에는 블루라이트가 눈에 들어오는 것을 차단해야 해요! 붉은빛은 일주기 리듬을 바꾸고 뇌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을 억제할 수 있는 가장 적은 힘을 가지고 있답니다.

3. 블루라이트 차단 필터 사용하기

시중에 블루라이트를 차단해주는 필름이 판매되고 있어요. 필름을 모니터나 스마트폰 화면에 부착하면 눈 보호에 도움이 된답니다. 필름을 부착하기 번거롭다면 필름을 붙이지 않고도 간편하게 블루라이트를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요. 그 방법을 알려 드릴게요!

[PC 야간 모드 설정하기(윈도우10)]

디스플레이 → 야간 모드 설정 → 지금 켜기

야간 모드는 블루라이트를 줄여주고 더 따뜻하게 보이도록 해주는 기능이랍니다. 모니터를 오래 보고 계신 분들이라면 야간 모드를 설정해보세요.

[스마트폰 블루라이트 필터 설정하기]

디스플레이 → 야간 모드 설정 → 디스플레이 → 블루라이트 필터

스마트폰으로 블루라이트 필터를 활성화시키면 좀 더 편하게 스마트폰을 이용하실 수 있어요.

이 밖에도 안경 렌즈 내면에 코팅을 입혀 블루라이트의 반사광으로 인해 발생하는 눈부심 현상과 빛이 눈으로 입사되는 현상을 줄여주는 청색광 차단 안경도 있어요. 시중에 청색광을 차단하는 안경이 많이 나오고 있어 쉽게 구입하실 수 있답니다.

하루 종일 TV, PC, 스마트폰 화면의 블루라이트로 인해 지친 내 눈… 나의 소중한 눈 건강을 위해 블루라이트를 차단하는 습관을 길러주세요!

안질환으로 인해 치료비가 걱정되신다면 다양한 질병과 상해를 보장해주는 삼성화재 실손의료비보험을 확인해보세요. 자세한 내용은 하단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삼성화재 실손의료비보험 확인하기(클릭)

출처 : YTN 사이언스 투데이, 의학채널 비온뒤

다양한 보험 정보와 생활Tip이 궁금하다면? 삼성화재 SNS와 친구가 되어주세요 🙂 ▼

블루라이트, 정말 눈 건강에 치명적일까?

요즘 안경이나 모니터를 사러 가면 직원으로부터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이 들어간 제품을 보여드릴까요?” 라는 이야기를 자주 듣습니다. 왜 이런 이야기를 하는지 물어보니 스마트폰이나 모니터에서 나오는 빛 중 청색을 띠는 블루라이트가 우리 눈에 좋지 않다고 하더라구요. 왜 하필 청색광만 눈에 안좋다는 걸까요? 문득 호기심이 생겨서, 정말 블루라이트가 눈 건강에 치명적인 건지 제 나름대로 정리를 해봤습니다.

블루라이트란?

· 블루라이트 가시광선 중 380 ~ 500nm(나노미터)의 짧은 파장을 내는 파란색 계열의 빛.

모니터나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Red, Green, Blue 3가지 색상(RGB)의 빛을 혼합하여 화면을 출력합니다. 학창시절 미술시간에 배웠던 빛의 삼색광 원리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실제로 적용한 것이죠.

위의 그림과 같이, 빛(가시광선)은 색상에 따라 고유한 파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빛은 붉은색에 가까워질수록 파장이 길어지며, 푸른색에 가까워질수록 파장이 짧아집니다. 파장과 에너지는 서로 반비례 관계이므로, 빛이 붉을수록 에너지가 작고, 푸를수록 에너지가 커집니다.

잠깐 빛에 대해 더 이야기를 하자면, 우리 눈이 빛의 색을 인식할 수 있는 범위는 빨강~보라까지의 가시광선 영역입니다. 빨간색을 벗어난 고파장(저에너지) 영역은 빨간빛의 바깥 영역이라고 해서 적외선, 보라색을 벗어난 저파장(고에너지) 영역은 보라빛의 바깥 영역이라고 해서 자외선이라고 부르죠. 자외선을 차단해야 하는 이유도 자외선의 고에너지가 피부에 닿으면 피부에 손상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블루라이트는 빨강~보라 사이의 가시광선 영역 중 약 380 ~ 500nm의 짧은 파장을 내는 파란색 계열의 빛을 의미합니다. 아까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RGB색상을 혼합하여 화면을 출력한다고 했었죠? RGB중 가장 짧은 파장, 즉 가장 고에너지 영역의 빛인 B가 바로 블루라이트입니다.

블루라이트의 유해성에 대하여

요즘에는 스마트폰이 보편화되면서 하루의 대부분을 스마트폰 또는 모니터를 보는 일이 많아졌습니다. 그래서인지 스마트폰이나 모니터 디스플레이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 같아요. 블루라이트를 오래 보면 눈 건강에 안좋다는 이야기가 돌면서, 실제로 블루라이트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 필름, 또는 장치가 많이 팔리고 있죠.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블루라이트가 신체리듬에 안좋은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는 있지만, 실제로 눈건강에 치명적이라는 연구결과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프랑스 국제 조명기구인 CIE의 연구결과 와 권위있는 과학저널인 네이쳐에 실린 논문 에 따르면, 극단적인 장기간의 관찰조건 하에서도 디스플레이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가 눈 건강에 미치는 유해성에 대한 원인을 찾을 수 없으며, 자연광에서의 블루라이트 방사 수준에 비하면 디스플레이가 내뿜는 블루라이트의 수준은 지극히 미미하기 때문에 푸른하늘을 직접 보는것보다 덜 유해하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일각에서는 블루라이트가 황반변성을 유발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이 역시 아직 역학관계가 제대로 입증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다만, 블루라이트가 신체리듬에 좋지 않다는 사실은 이미 증명이 되었습니다. 망막에는 mRGCs(Melanopsion-Containing Retinal Ganglion Cells)라는 신경세포들이 존재하는데, 이 신경세포들은 밤낮을 구분하여 뇌가 특정 호르몬을 분비할 수 있도록 뇌에 신호를 보내는데, 밝은 낮에는 활동성을 증가시키는 ‘세로토닌’을, 어두운 밤에는 수면을 유도하는 ‘멜라토닌’을 분비하라고 뇌에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하버드 의과대학의 스티븐 W. 록리 박사의 논문 에 따르면, 이 mRGCs 세포들이 파장 460nm인 블루라이트에 노출되면 같은 시간동안 파장이 555nm인 그린라이트(초록빛)에 노출되었을 때 보다 멜라토닌의 생성량이 절반정도로 감소했으며, 노출시간에 따라서 멜라토닌의 생성량이 더욱 감소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즉, mRGCs가 블루라이트에 노출되면 수면 사이클을 조절하는 멜라토닌 호르몬이 감소하여 수면장애를 일으키며, 장시간 블루라이트에 노출되면 아예 수면 사이클이 무너진다는 것이죠.

다시 한번 결론을 말씀드리자면, 현재까지는 블루라이트가 눈에 직접적으로 악영향을 끼친다는 증거는 없으며, 다만 밤에 블루라이트에 노출되면 수면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눈 건강에 좋은 습관들

실제로 블루라이트 보다는 어두운 곳에서 밝은 빛을 보는 행위 자체가 눈에 안좋다는 연구 결과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눈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실제로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추천하는 눈 건강에 좋은 습관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눈 건강에 좋은 습관 ① 스마트폰을 50분 사용 후 10분간 휴식을 취한다. ② 야간 조명은 적색 등을 사용하며, 잠들기 전에는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한다. ③ 야간에 파란 불빛을 봐야 하는 작업이 있다면, 블루라이트 필터를 끼는게 좋다. ④ 낮에는 오히려 푸른 하늘(블루라이트)를 쬐어야 건강에 좋다.

스마트폰이나 모니터, 책을 장시간 바라보게 되면 눈 깜빡임 횟수가 줄어들어 눈이 쉽게 피로해지고 안구건조증이 올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를 50분정도 사용하면 10분정도는 먼 곳을 보면서 눈을 쉬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야간에는 블루라이트가 멜라토닌 생성을 억제하여 수면에 방해가 되므로, 야간에는 되도록 청색보다는 적색 조명을 두는 것이 좋으며, 잠들기 전에는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부득이 야간에 푸른 불빛 아래에서 작업을 해야 한다면 블루라이트 필터를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낮의 푸른 하늘은 우리 주변에 있는 가장 강력한 블루라이트입니다. 낮에 햇빛을 쬐면 우리 몸을 활성화 시키는 세로토닌이 분비되므로 오히려 신체리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마치며

오늘은 블루라이트가 무엇인지, 그리고 블루라이트가 실제로 눈 건강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해보았습니다. 분명한 사실은 블루라이트가 우리 몸의 생체리듬을 흩트리는 원인이라는 점입니다. 블루라이트에 대해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되도록 밤에 자기 전에는 스마트폰 이용을 자제하는 것이 규칙적인 수면습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블루라이트란

다음은 Bing에서 블루라이트란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블루라이트 왜 차단해야 할까요? 안과 전문의가 설명해드립니다. ㅣ 아이엠닥터

  • 마이너의사들
  • 블루라이트
  • 안경
  • 근시
  • 사시
  • 안과
  • 닥터
  • 아이엠닥터
  • 의사
  • 의학

블루라이트 #왜 #차단해야 #할까요? #안과 #전문의가 #설명해드립니다. #ㅣ #아이엠닥터


YouTube에서 블루라이트란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블루라이트 왜 차단해야 할까요? 안과 전문의가 설명해드립니다. ㅣ 아이엠닥터 | 블루라이트란,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